KR200268031Y1 -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031Y1
KR200268031Y1 KR2020010035902U KR20010035902U KR200268031Y1 KR 200268031 Y1 KR200268031 Y1 KR 200268031Y1 KR 2020010035902 U KR2020010035902 U KR 2020010035902U KR 20010035902 U KR20010035902 U KR 20010035902U KR 200268031 Y1 KR200268031 Y1 KR 200268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topper
rod
loss prevention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만
Original Assignee
우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만 filed Critical 우영만
Priority to KR2020010035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0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031Y1/ko

Links

Landscapes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낚시 대의 손잡이 측 로드의 끝에 장착되는 마개와, 상기 마개에 연결되며 낚시 대의 분실을 방지하는 분실 방지구를 포함하는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된 와셔와 탄성부재에 의해 제 1,2실로 양분된 중공체의 마개; 일 측은 상기 제 1실측에 장착된 와셔에 고정되고 타 측은 제 2실 측으로 노출된 고정핀; 상기 제 2실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구;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림구에 대해 연결된 연결 끈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분실 방지구에 구비된 연결고리를 낚시 대의 마개에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보관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Prevention apparatus for loss of fishing rod}
본 고안은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를 낚시 대의 마개에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보관이 용이한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낚시 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대는 다단으로 결합된 로드(10)와 로드(10)의 끝 단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마개(20)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20)는 통상적으로 로드(10)의 끝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다단으로 결합된 로드(10)의 어느 하나가 파손되었을 경우 분리하여 A/S 할 때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낚시 대는 한 조를 이루는 앞 받침대와 뒤 받침대에 의해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낚시 대에 미끼를 달아놓은 상태에서 조사(釣士)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물고기가 낚시 대를 끌고 도망가는 경우가 종종 뒤따랐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된 것이 낚시 대의 마개(20)에 고리(21)를 구비하고, 그 고리(21)에 별도로 제작된 분실 방지구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분실 방지구(30)는 통상적으로 연결고리(31)와 끈(33) 그리고 걸림구(32)로 구비된다.
따라서, 분실 방지구(30)에 구비된 연결고리(31)를 마개(20)에 구비된 고리(21)에 연결한 후 그 걸림구(32)를 뒤 받침대의 뒤쪽 아래로 늘어뜨린 후 사용하게되는데, 특히 밤낚시를 할 경우 별도의 조명기구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고리(21)에 연결고리(31)를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낚시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마개(20)에 구비된 고리(21)로부터 분실 방지구(30)를 분리한 후 태클박스 등에 보관해야 하므로 분실 방지구(30)를 별도로 보관해야하는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낚시 대에서 흔히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의 하나는 낚시 줄이 늘어지지 않도록 낚시 대의 끝 부분을 물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낚시 대의 로드(10)와 로드(10)의 사이로 물이 유입하게 되고, 그와 같이 유입된 물에 의해 로드(10)와 로드(10)가 연결되는 부분이 제대로 접혀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조사들은 낚시 대의 마개(20)를 분리한 후 그 부분에 동전을 대고 거꾸로 충격을 가해 낚시 대를 억지로 끼워 접게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낚시 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실 방지구에 구비된 연결고리를 낚시 대의 마개에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보관이 용이한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낚시 대의 로드와 로드의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로드와 로드의 사이가 팽창되더라도 로드와 로드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낚시 대 분실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낚시 대 분실 방지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대 분실 방지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로드 200;마개
201;제1 실 202;제2 실
210;와셔 220;탄성부재
230;고정핀 240;연결 끈
250;걸림구 251;걸림 봉
260;연결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낚시 대의 손잡이 측 로드의 끝에 장착되는 마개와, 상기 마개에 연결되며 낚시 대의 분실을 방지하는 분실 방지구를 포함하는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된 와셔와 탄성부재에 의해 제 1,2실로 양분된 중공체의 마개; 일 측은 상기 제 1실측에 장착된 와셔에 고정되고 타 측은 제 2실 측으로 노출된 고정핀; 상기 제 2실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구;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림구에 대해 연결된 연결 끈을 포함하는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구는 관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끈이 감겨지는 걸림봉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는 손잡이 측 로드(100)의 끝에 마개(200)가 장착된다.
상기 마개(200)는 중공체인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도가 강한 합성수지로 제작해도 무관하다.
상기 마개(200)는 내부에 장착된 와셔(210)와 탄성부재(220)에 의해 제 1,2실(201)(202)로 양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셔(210)와 탄성부재(22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개(200)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재는 경량체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미관을 고려하여 구리관,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관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와셔(210)와 상기 탄성부재(220)에는 고정핀(230)이 관통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230)은 그 일 측은 상기 제 1실(201)측에 장착된 와셔(21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 2실(202)측으로 노출되며 고리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2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에는 연결 끈(240)이 매듭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 끈(240)의 다른 쪽 끝은 걸림구(250)에 고정된다.
상기 걸림구(250)는 마개(200)의 타단부 측에 억지로 끼워지며 또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구(250)와 그 걸림구(250)가 결합되는 마개(200)의 타단부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구(250)는 관축 방향으로 상기 연결 끈(240)이 감겨지는 걸림봉(251)이 돌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4와 같이 와셔(210)와 탄성부재(220)를 마개(200)에 별도로 설치하고, 그 마개의 내측에는 상기와 같이 고정핀(230)을 장착한 후 연결 끈(240)에 의해 상기 고정핀(230)과 걸림구(25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상기 마개(200)와 상기 걸림구(250)의 사이에는 별도로 제작된 연결관(260)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연결관(260)은 상기 연결 끈(240)과 걸림구(250)를 수납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도 2와 같이 낚시 대는 앞 받침대와 뒤 받침대에 낚시 대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 마개(200)에 구비된 걸림구(250)는 마개(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Y" 형상을 갖는 뒤 받침대의 후방 하측을 향해 늘어뜨린 상태에서 사용된다.
물론, 상기 걸림구(250)는 조사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물고기가 낚시 대를 끌고 갈 경우 걸림구(250)가 뒤 받침대의 "Y"자 홈에 걸려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만 여기서 본 고안의 제1 특징부는 상기와 같이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를 사용하던 중 낚시 대를 거둘 경우에는 상기 연결 끈(240)을 상기 걸림구(250)에 돌출 구비된 걸림봉(251)에 일부 감은 후 걸림구(250)를 마개(200)에 결합하여 보관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마개에 형성된 제2 실(202)에 연결 끈(240)을 수납하고 마개에 걸림구를 결합한 상태에서 일체로 보관하게 되므로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의 사용에 편의를 부여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2 특징부는 예를 들어 낚시 대의 일 부분이 물에 젖어 큰 내경을 갖는 로드(100)의 내측에 작은 외경을 갖는 다른 로드(100)의 결합이 되지 않을 경우 마개(200)로부터 걸림구(250)를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낚시 대를 수직으로 세워 충격을 가한다.
상기와 같이 낚시 대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충격을 가하게 되면 마개(200)가 설치되는 측의 낚시 대의 로드(100)는 마개(200)의 내측에 장착된 와셔(210)를 향해 충격이 가해지며 그 충격에 의해 낚시 대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마개는 길이를 좀 더 길게 제작하고, 그 외주면에 다양한 형상의 도안을 하여 손잡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에 의하면, 분실 방지구에 구비된 연결고리를 낚시 대의 마개에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낚시 대의 로드와 로드의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로드와 로드의 사이가 팽창되더라도 로드와 로드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2)

  1. 낚시 대의 손잡이 측 로드의 끝에 장착되는 마개와, 상기 마개에 연결되며 낚시 대의 분실을 방지하는 분실 방지구를 포함하는 낚시 대의 분실 방지구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된 와셔와 탄성부재에 의해 제 1,2실로 양분된 중공체의 마개;
    일 측은 상기 제 1실측에 장착된 와셔에 고정되고 타 측은 제 2실 측으로 노출된 고정핀;
    상기 제 2실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구;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림구에 대해 연결된 연결 끈을 포함하는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관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끈이 감겨지는 걸림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KR2020010035902U 2001-11-21 2001-11-21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KR200268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902U KR200268031Y1 (ko) 2001-11-21 2001-11-21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902U KR200268031Y1 (ko) 2001-11-21 2001-11-21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031Y1 true KR200268031Y1 (ko) 2002-03-15

Family

ID=7311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902U KR200268031Y1 (ko) 2001-11-21 2001-11-21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0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711A (ko) * 2018-08-23 2020-03-04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711A (ko) * 2018-08-23 2020-03-04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KR102172402B1 (ko) * 2018-08-23 2020-10-30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876A (en) Lure container
US6227132B1 (en) Boat drain plug with cable tether
US6178684B1 (en) Collapsible fishing net mechanism
US2692106A (en) Fishing rod holder
KR200268031Y1 (ko)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US20180161222A1 (en) Foot Support For A Wheelchair
US5157864A (en) Crab trap apparatus
KR200414633Y1 (ko) 낚싯대 보관구
KR200221827Y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NL1005317C2 (nl) Bevestigingsinrichting voor het onder spanning bevestigen van een elastische draad in het inwendige van een hengel.
KR0134930Y1 (ko) 농업용 호스릴의 꼬임방지구 고정구조
KR200154783Y1 (ko) 낚시대의 낚시줄 안내구
JP2001204299A (ja) タモ網
CN212065408U (zh) 一种用于与竿稍连接的主线转环结构
KR200176904Y1 (ko) 낚시용 도레의 구조
KR200235442Y1 (ko) 낚시대의 무게중심 변경장치
KR200239327Y1 (ko) 낚시 뜰채의 손잡이 길이 조절용 캡
US10023269B2 (en) Collapsible anchor
KR200248276Y1 (ko) 가로봉이 장착되는 깃대
KR200257988Y1 (ko) 낚시용 뜰채 손잡이 구조
JP3151099B2 (ja) 物干し竿
JPH02138932A (ja) 釣り竿支持具の釣り竿固定装置
CA1111249A (en) Tension release coupling for fishing line
BG4017U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механично почистване
SU1642969A1 (ru) Рыболовна снаст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