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895Y1 -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895Y1
KR200267895Y1 KR2020010039148U KR20010039148U KR200267895Y1 KR 200267895 Y1 KR200267895 Y1 KR 200267895Y1 KR 2020010039148 U KR2020010039148 U KR 2020010039148U KR 20010039148 U KR20010039148 U KR 20010039148U KR 200267895 Y1 KR200267895 Y1 KR 200267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rmwork
wire mesh
arc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현
Original Assignee
권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현 filed Critical 권오현
Priority to KR2020010039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895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하단 내부에서 거푸집과 바닥과의 사이를 인위적으로 막아 주는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출을 막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절곡한 철망을 거푸집의 하단 내면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철망(21)을 길이방향으로 호형 또는 S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호의 바깥쪽이 근목(22) 내면에 선접촉하도록 부착시킨 것이다. 콘크리트(24)를 거푸집(23) 내에 타설하여 양생하고 난 후에 거푸집(23)과 근목(22)을 제거하면 콘크리트(24)에 철망(21)의 바깥쪽 호가 가지는 최정점만이 하나의 띠(선)를 이루며 나타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24) 내에 매몰된 채 양생되어 있어서 철망(21)의 부식 부위가 최소화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Defender for lower part of concrete mold}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하단 내부에서 거푸집과 바닥과의 사이를 인위적으로 막아 주는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나 골조를 세우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할 때 거푸집의 하부에는 타설된 콘크리트 하중이 크게 작용한다. 이로 인하여 바닥과 거푸집의 하단 틈새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막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도 1과 같이 거푸집(1)의 하부 내에 합판(2)을 부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콘크리트(3) 양생 후 거푸집(1)을 해체하게 되면 추가로 부착한 합판(2)의 해체 작업이 뒤따르고 그에 따른 폐자재도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합판(2)을 제거하면 콘크리트(3)가 합판(2)의 두께 만큼 들어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3)의 두께가 합판(2)의 두께 만큼 얇아져 구조적인 문제가 생기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 실용신안등록 20-187707(2000.04.20 등록)이다. 이 고안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감부재인 철망(11)을 ㄴ자 형태로 절곡한 것으로, 도 4와 같이 근목(根木)(12)의 안쪽으로 절곡된 철망(11)을 붙이고 이 근목(12)을 거푸집(13) 하부에 설치하여 철망(11)의 양면이 거푸집(13)과 콘크리트(14)가 타설되는 바닥에 각각 닿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마감부재는 근목 내면에 밀착되도록 직각으로 절곡시킨 것이기 때문에 부식 문제가 생기게 된다. 다시 말해서, 양생 후에 거푸집을 뜯어내게 되면 마감부재인 철망이 콘크리트의 겉으로 드러나게 되어 철망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까지 빠르게 부식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었던 것이다. 콘크리트가 건축물의 내벽을 이루는 경우에는 벽지를 바르게 되는데, 이러한 벽지를 바를 때 도포하는 풀에는 황산이 들어 있어서 철의 부식을 더욱 빠르게 하여 벽지 표면으로녹이 배어 나오는 문제까지 생기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바닥과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거푸집 내면의 하부에 덧대는 마감부재가 거푸집의 제거 후에도 부식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거푸집 설치 상태의 마감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의 콘크리트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거푸집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마감부재를 사용한 종래의 거푸집 마감구조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거푸집 마감부재 사시도.
도 6은 그 마감부재를 사용한 거푸집 마감구조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거푸집 마감부재 사시도.
도 8은 그 마감부재를 사용한 거푸집 마감구조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31:철망, 22,32:근목, 23,33:거푸집, 24,34:콘크리트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출을 막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절곡한 철망을 거푸집의 하단 내면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철망을 길이방향으로 호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호의 바깥쪽이 근목 내면에 선접촉하도록 부착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콘크리트를 거푸집 내에 타설하여 양생하고 난 후에 거푸집과 근목을 제거하면 콘크리트에 철망의 바깥쪽 호가 가지는 최정점만이 하나의 띠(선)를 이루며 나타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 내에 매몰된 채 양생되어 있어서 철망의 부식 부위가 최소화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거푸집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마감부재를 사용한 거푸집 마감구조의 단면도이다.
마감부재는 철망(21)으로서 상하의 높이, 즉 폭이 일정하고 길이는 소요 길이 만큼 잘라 쓸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철망(21)의 형태는 철사를 그물 모양으로 엮은 크랏샤 스크린 중에서 후렛트 톱(Flat-Top)과 사이몬(Symon)을 사용한다. 그러나 철판을 프레스로 펀칭하여 마름모꼴의 구멍으로늘린 익스팬디드 메탈을 사용할 수 있다. 익스팬디드 메탈은 눈의 짧은 쪽 길이 약 6~15mm 정도가 적합하고, 크랏샤 스크린인 경우에는 눈의 한쪽 길이 약 3.5~15mm 정도가 적합하다.
이러한 철망(21)은 길이방향으로 중간의 약간 아래쪽을 중심으로 하여 호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절곡기로 절곡한다. 이러한 철망(21)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의 바깥쪽이 근목(22) 내면에 선접촉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근목(22)에 못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근목(22)은 거푸집(23) 하부에 함께 설치된 후 그 내부로 콘크리트(24)를 타설한다. 그러면 콘크리트(24)가 철망(21)의 호 바깥쪽 최정점 부분을 제외한 안쪽과 바깥쪽에 골고루 타설되어 양생이 이루어진다. 근목(22)과 거푸집(23)을 제거하면 상기한 철망(21)의 호가 가지는 최정점(S1)만이 길이방향(가로방향)으로 하나의 선을 이루며 노출되며, 철망(21)의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24)에 매설되어 있게 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거푸집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그 마감부재를 사용한 거푸집 마감구조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 마감부재인 철망(31)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일 실시예와 같이 상하의 높이, 즉 폭이 일정하고 길이는 소요 길이 만큼 잘라 쓸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철망(31)은 일 실시예와 같은 형상을 기본 바탕으로 하여 그 상단을 연장해서 바깥쪽으로 절곡시켜 길이방향으로 S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철망(31)의 형태는 상기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철사를 그물 모양으로 엮은 크랏샤 스크린 중에서 후렛트 톱과 사이몬을 사용하며, 철판을 프레스로 펀칭하여 마름모꼴의 구멍으로 늘린 익스팬디드 메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눈의 크기도 상기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크기를 취한다.
철망(31)은 길이방향으로 S자형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기로 절곡한다. 이러한 철망(31)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폭방향)으로 보았을 때 중간의 약간 아래에 위치하는 호의 바깥쪽 최정점(S2)이 근목(32) 내면에 선접촉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근목(32)에 못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근목(32)은 거푸집(33) 하부에 함께 설치된 후 그 내부로 콘크리트(34)를 타설한다. 그러면 콘크리트(34)가 철망(31)의 호가 가지는 바깥쪽 최정점(S2) 부분을 제외한 안쪽과 바깥쪽에 골고루 타설되어 양생이 이루어진다. 근목(32)과 거푸집(33)을 제거하면 상기한 철망(31)의 호가 가지는 최정점(S2)만이 길이방향(가로방향)으로 하나의 선을 이루며 노출되며, 철망(31)의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34)에 매설되어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양생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면 철망이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설되어 있으며 단지 철망의 바깥쪽 호의 최정점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횡방향으로 하나의 선을 이루며 약간 노출되어 있거나 시멘트풀에 의하여 매몰되어 있기 때문에 철망과 콘크리트의 부식을 극소화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콘크리트가 실내 벽면을 이룰 때에는 몰탈로 벽면을 살짝 마감처리하면 철망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황산이 들어있는 풀을 이용하여 벽지를 바르더라도 철망이 부식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벽지에 녹이 스며나오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Claims (2)

  1.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출을 막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절곡한 철망을 거푸집의 하단 내면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철망을 길이방향으로 호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호의 바깥쪽이 근목 내면에 선접촉하도록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목에 부착되는 철망은 그 상단을 연장해서 바깥쪽으로 절곡시켜 길이방향으로 S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KR2020010039148U 2001-12-18 2001-12-18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KR200267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48U KR200267895Y1 (ko) 2001-12-18 2001-12-18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48U KR200267895Y1 (ko) 2001-12-18 2001-12-18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895Y1 true KR200267895Y1 (ko) 2002-03-12

Family

ID=7311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148U KR200267895Y1 (ko) 2001-12-18 2001-12-18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8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3162C1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1024991B1 (ko) 중공 슬래브형 데크플레이트 구조 및 중공 슬래브형 데크플레이트의 시공방법
KR200267895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단 마감부재
US5337529A (en) Roof tile mounting system
KR200405522Y1 (ko)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CN213015376U (zh) 预埋件免拆模板
CN218175926U (zh) 一种地下室底板
KR200346435Y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200186237Y1 (ko) 콘크리트벽체의 연결철물 매립보조구
KR200379650Y1 (ko) 로프 고정장치
KR200420025Y1 (ko) 체결이 편리하고 변형에 강한 파스너
JP2512327Y2 (ja) 地中梁用コンクリ―ト型枠
KR200254797Y1 (ko) 콘크리트 누설 차단망
KR200249931Y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세퍼레이터
CN101255745B (zh) 一种组合钢筋砼空心楼板
CN101200946B (zh) 一种组合钢筋砼空心楼板
CN1641140B (zh) 一种组合钢筋砼空心楼板
KR200321432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하단 마감부재
KR200255967Y1 (ko) 도로용 장대 경계석
KR200172618Y1 (ko) 콘크리트 천장 시공용 장선을 걸기 위한 브라켓 일체형패널
KR200213293Y1 (ko) 거푸집 타이바아
CN101255728B (zh) 一种组合钢筋砼空心楼板
CN100370093C (zh) 一种组合钢筋砼空心楼板
CN101200943B (zh) 一种组合钢筋砼空心楼板
KR20040006435A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