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427Y1 -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 Google Patents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427Y1
KR200267427Y1 KR2020010039881U KR20010039881U KR200267427Y1 KR 200267427 Y1 KR200267427 Y1 KR 200267427Y1 KR 2020010039881 U KR2020010039881 U KR 2020010039881U KR 20010039881 U KR20010039881 U KR 20010039881U KR 200267427 Y1 KR200267427 Y1 KR 200267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wick
pla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그린
Priority to KR2020010039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427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초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수조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화분은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소정 크기의 수조를 갖는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용토와 배지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식물생육환경에 원예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한 분리용기와, 상기 분리용기의 연부에 절곡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용기가 상기 수조로부터 분리이탈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분리용기의 바닦면으로부터 상기 수조를 향하여 관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용토와 배지셀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수직심지와, 상기 수직심지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심지에 의해 공급된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수평심지와, 상기 수평심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예식물의 뿌리가 상기 수조를 향한 침투현상을 방지하는 근침투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식재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신속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flowerpot}
본 고안은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초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수조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예식물의 관리는 살수방법으로써 식물이 식재된 배합토의 수분상태를 관찰하여 관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관수 및 시비(거름주기)를 해야하며, 그로 인해 식물의 상태에 적합한 정확한 양수분의 관리가 어려우며 특히, 식물관리의 전문지식이 부족한 소비자는 식물관리가 어려워 순식간에 식물을 고사위기에 까지 이르는 치명적인 위해상황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원예관리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1.02.21.일자로 "식물관리용기"라는 화분을 출원한 바 있으며, 이는 수조에 수용된 관수를 수직심지와 수평심지에 의해 배합토에게 수분을 공급해 주고, 이에 기초하여 한 번의 관수공급으로 2,3개월 정도 충분한 수분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화분은 일회의 물공급으로 인하여 적어도 2,3개월 정도 수분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잇점 때문에 지방관청에서 '아름다운 고장 만들기'의 일환으로 도시 미화의 차원으로 도로가 곳곳에 상당히 많은 수를 배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면 지방관청에서는 물공급을 위한 인력이 줄어듬에 따라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화분은 계절별로 원예식물이 식재되어 있으므로 원예꽃이 생육하지 못하는 겨울에는 거의 무용지물에 가까우며, 다시 봄이 되면 상기 원예꽃을 식재하여 도시환경을 아름답게 가꾸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겨울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는 그 시기에 알맞는 원예꽃이 적절하게 식재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계절에 따라 원예꽃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배양토와 식재할 화초를 별도로 준비하여 일일이 하나씩 옴겨 심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을 동시에 동원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많이 들어 경제적인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인력을 동시에 동원한다하더라도, 인력에 대한 원예꽃의 식재율의 증가는 인력수에 비례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인력수에서부터는 식재율이 거의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식재시간이 많이 걸리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1회의 관수공급으로 2개월이상 수분공급을 유지함은 물론 원예꽃의 화초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다른 용기에 옴겨심을 수 있도록 한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용기 3 ; 분리용기
5 ; 하층부 7 ; 상층부
8 ; 배수공 9 ; 방수부재
11 ; 통수공 13 ; 관통공
15 ; 수직심지 17 ; 수평심지
19 ; 근침투차단부재 21 ; 절곡부
23 ; 손잡이부
본 고안은, 상기 목적에 따라,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소정 크기의 수조를 갖는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용토와 배지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식물생육환경에 원예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한 분리용기와, 상기 분리용기의 연부에 절곡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용기가 상기 수조로부터 분리이탈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분리용기의 바닦면으로부터 상기 수조를 향하여 관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용토와 배지셀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수직심지와, 상기 수직심지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심지에 의해 공급된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수평심지와, 상기 수평심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예식물의 뿌리가 상기 수조를 향한 침투현상을 방지하는 근침투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화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소정 크기의 수조를 형성하는 본체용기(1)와, 상기 본체용기(1)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수조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용토와 배지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이와 같은 식물의 생육환경에 원예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분리용기(3)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용기(1)는 하층부(5)와 상층부(7)로 분리되어 있으며, 하층부(5)는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상층부(7)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상층부(7)는 상기 수조를 형성하여 수조의 내면을 따라 상기 분리용기(3)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층부(7)와 하층부(5)의 경계영역에 배수공(8)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비닐과 같은 방수부재(9)를 사용하여 방수처리를 하며, 상기 배수공(8)이 없이 제작된 경우에는 상층부가 물통 또는 수조 및 양액통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층부(7)의 수조에는 물과 양액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며, 저장능력에 따라 한 번의 급액으로 무인관리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지고, 같은 크기의 용기에서 기존의 식물관리방법 보다 4~8배의 급수횟수를 줄일 수 있어 원예식물관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본체용기(1)의 상층부(7)에는 측면에 복수의 통수공(11)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통수공(11)은 장마철의 근권부의 과습을 방지하고 원활한 산소공급을 해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용기(3)는 상기 본체용기(1)로부터 분리이탈시킬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으로 독립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바닦면에는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13)에 수조를 향하여 수직심지(15)가 다수개 마련되어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수직심지(15)는 상기 분리용기(3)의 바닦면으로부터 상기 수조를 향하여 관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조의 물 또는 양액을 모세관현상으로 흡수하여 용토와 배지셀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직심지(15)의 상부에는 모세관의 통로가 연결되도록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공급된 물 또는 양액을 상기 용토와 배지셀을 향하여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수평심지(1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평심지(17)의 상측에는 상기 원예식물의 뿌리가 상기 수조의 물 및 양액을 향하여 침투하여 발생하는 즉 뿌리가 물에 잠기어 산소부족으로 인하여 질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근침투차단부재(1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근침투차단부재(19)는 UV처리된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져 있으며, 아주 미세한 메쉬형태를 갖기 때문에 상기 수평심지(17)의 수분이 용토 및 배지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용기의 연부에는 상기 본체용기의 외측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21)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21)에는 작업자 및 관리자가 외력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용기(3)를 본체용기(1)로부터 분리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23)는 관리자가 어느 위치에서 건 간에 관계없이 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용기(1)의 외경을 따라 환형 태가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은 분리용기(3)의 손잡이부(23)를 이용하여 본체용기(1)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가능하기 때문에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화분에 대체할 수 있는 원예식물의 식재를 거의 실시간으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식재 전후의 생육조건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원예식물의 수명을 길게 유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23)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으므로 정면에서 바라보는 모양이 안정감을 더해 준다.
본 고안은 1회의 관수공급으로 2개월이상 수분공급을 유지함은 물론 원예꽃의 화초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다른 용기에 옴겨심을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식재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신속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초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이동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초의 교체를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원하는 원예식물(화초)을 빠른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 설치된 화분에 화초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전시되는 실시간이 연장되어 라이프사이클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소정 크기의 수조를 갖는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용토와 배지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식물생육환경에 원예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한 분리용기와;
    상기 분리용기의 연부에 절곡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용기가 상기 수조로부터 분리이탈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분리용기의 바닦면으로부터 상기 수조를 향하여 관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용토와 배지셀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수직심지와;
    상기 수직심지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심지에 의해 공급된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수평심지와;
    상기 수평심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예식물의 뿌리가 상기 수조를 향한 침투현상을 방지하는 근침투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KR2020010039881U 2001-12-24 2001-12-24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KR200267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81U KR200267427Y1 (ko) 2001-12-24 2001-12-24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81U KR200267427Y1 (ko) 2001-12-24 2001-12-24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427Y1 true KR200267427Y1 (ko) 2002-03-12

Family

ID=7307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881U KR200267427Y1 (ko) 2001-12-24 2001-12-24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4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1900A (en) Automatic pure cultivator
JP4947424B2 (ja) 縦型養液栽培装置を用いた根菜類育成方法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US5400545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of liquids to a plant
KR200490422Y1 (ko) 수경어항화분
CN207340665U (zh) 苗木培育装置
KR200267427Y1 (ko)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CN103004353A (zh) 基于毛管力供给营养液的植物栽培方法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CN203136509U (zh) 基于毛管力供给营养液的植物栽培装置
KR20210009746A (ko)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CN105075700A (zh) 植物容器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KR20130040056A (ko) 무동력 관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200191189Y1 (ko)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CN212065019U (zh) 一种可回收利用雨水的环保雨水种植容器
JP2002153134A (ja) 高設栽培容器
CN220441405U (zh) 一种园林景观墙
CN111837922B (zh) 一种植物控根培养装置
EP1051902A2 (en) Improved plant container
KR200288831Y1 (ko) 음료수 페트병을 재활용하여 실내에서 식물을 저면관수 방식으로 재배하는 무배수 거치대
KR200170451Y1 (ko) 작물재배용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