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948Y1 - 접이식 지구본 - Google Patents

접이식 지구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948Y1
KR200266948Y1 KR2020010036127U KR20010036127U KR200266948Y1 KR 200266948 Y1 KR200266948 Y1 KR 200266948Y1 KR 2020010036127 U KR2020010036127 U KR 2020010036127U KR 20010036127 U KR20010036127 U KR 20010036127U KR 200266948 Y1 KR200266948 Y1 KR 200266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globe
main body
flesh
un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정하
Original Assignee
성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정하 filed Critical 성정하
Priority to KR2020010036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948Y1/ko

Links

Landscapes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할 때에는 구형으로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적은 체적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지구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접이식 지구본(1)은, 지도(11)가 인쇄되어 있고 접고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 구형의 본체(10); 상기 지도(11)의 북극점(12)과 남극점(13)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관통 설치된 지축대(20); 및 상기 북극점(12)과 상기 남극점(13)을 연결하는 상기 본체(1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지축대(20)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에 따라 길게 펴진 상태와 원호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가변되는 다수의 살부재(3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부재(30)의 상단은 상기 지축대(20)의 상측에 상하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살부재(30)의 하단은 상기 지축대(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축대(20)는, 상기 살부재(30)의 상단이 고정되는 소직경대(23)와, 상기 소직경대(2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상기 살부재(30)의 하단이 고정되는 대직경대(24)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지구본{Foldable Globe}
(기술분야)
본 고안은 지구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할 때에는 구형으로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적은 체적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지구본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지구본 표면 상태를 구형으로 제작한 지구본은, 금속, 종이,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속이 빈 구형(球形)의 표면에 경위도, 수륙분포, 지형 및 그 밖의 지구 표면 상태를 나타낸 지도(다원추도법에 의해 제작된 지도)를 표시하고 지축을 연직 방향에서 약 23.5도 기울여 회전(자전)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은 지구본은 평면 지도와는 달리 넓은 지구 표면의 상태를 거리, 면적, 형태 등의 변형 없이 표현할 수 있고, 각 지점의 위치관계, 지구운동, 주야와 계절의 관계 등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특히 학습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구본은 많은 체적을 점유하는 구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보관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운반과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구본에 내포되어 있는 보관,운반 및 휴대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관, 운반 및 휴대할 때에는 최소한의 체적을 가지도록 접을 수 있고 사용할 때에는 통상의 지구본과 같은 구형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지구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접이식 지구본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구체예에서 본체를 제거한 상태의 작동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접이식 지구본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구체예에서 본체를 제거한 상태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접이식 지구본 10: 본체
11: 지도 12: 북극점
13: 남극점 20: 지축대
21: 제한편 22: 로커
23: 소직경대 24: 대직경대
30: 살부재 31: 고정편
32: 이동편 40: 받침대
41: 받침판 42: 지축대꽂이
본 고안에 따라, 사용할 때에는 구형으로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적은 체적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지구본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지구본은, 본체, 지축대 및 다수의 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지도가 인쇄되어 있고 접고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축대는 상기 지도의 북극점과 남극점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에 관통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살부재는 상기 북극점과 상기 남극점을 연결하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지축대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에 따라 길게 펴진 상태와 원호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가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부재의 상단은 상기 지축대의 상측에 상하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살부재의 하단은 상기 지축대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축대는, 상기 살부재의 상단이 고정되는 소직경대와, 상기 소직경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상기 살부재의 하단이 고정되는 대직경대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축대에는, 상기 본체가 구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지나쳐납작한 구형으로 되는 것이 차단하는 제한편과, 상기 본체가 구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로커를 구비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이식 지구본은 상기 지축대를 세워 놓을 수 있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축대를 꽂으면 상기 지축대의 경사가 지축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경사가 유지되게 하는 지축대꽂이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지구본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지구본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접이식 지구본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구체예에서 본체를 제거한 상태의 작동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접이식 지구본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구체예에서 본체를 제거한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지구본(1)은, 사용할 때에만 구형으로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최소한의 체적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체(10), 지축대(20) 및 다수의 살부재(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속이 빈 구형으로 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지도(11)가 인쇄되어 있다. 본체(10)는 용이하게 접히고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소재, 예를 들면 천, 플라스틱 합성수지 시트 또는 종이 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축대(20)는 통상적인 지구본에서 지축에 대응하는 것으로서,본체(10)에 관통 설치된다. 즉, 지축대(20)는 본체(10)에 인쇄된 지도(11)의 북극점(12)과 남극점(13)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구본의 지축을 형성한다. 지축대(20)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나무,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을 긴 봉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살부재들(30)에 의해 상기 지축대(20)에 유지된다. 살부재(30)는 북극점(12)과 남극점(13)을 연결하는 본체(1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휘어도 부러지지 않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길게 펼쳐지는 탄성의 재질(예, 플라스틱 합성수지 막대, 대나무 등)로 제작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부재(30)의 상단은 지축대(20)의 상측에 상하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그 하단은 지축대(20)의 하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살부재들(30)을 지축대(20)에 장착하는 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축대(20)의 상단에 고정편(31)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편(31)의 둘레에 살부재들(30)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편, 지축대(20)에 이동 가능한 환형의 이동편(32)을 삽입하고 이동편(32)의 둘레에 살부재들(30)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축대(20)에 대한 살부재(30)의 장착 구조에 따라, 살부재(30)의 하단을 지축대(20)를 따라 위로 밀어 올리면 살부재들(30)이 원호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변형되면서 그 전체적인 윤곽이 구형을 형성하게 되고, 다시 살부재(30)의 하단을 지축대(20)를 따라 아래로 당기면 살부재들(30)이 길게 펴지면서 접혀져서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즉, 살부재(30)의 하단을 올리거나 내려서 그 상단과 하단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킴에 따라, 살부재(30)는 길게 펴진 상태와 원호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가변되는 것이며, 결국 살부재들(30)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플렉시블한 본체(10)도 살부재들(30)의 변형에 따라 길게 접혀진 상태와 구형으로 펼쳐진 상태로 가변된다.
살부재들(30)은 본체(10)의 내면에 반드시 고정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살부재들(30)의 균일한 배치를 유지하여 전체적으로 보다 완벽한 구형 골격을 형성하도록 하고 살부재들(30)과 본체(10)의 변형에 일체성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살부재들(30)을 본체(10)의 내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부재(30)의 본체(10)에의 고정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접착제로 접합하는 방법이나 본체(10)의 내면에 살부재(3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여 여기에 살부재(30)를 끼워 넣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축대(20)에는 제한편(21)과 로커(22)를 구비시킬 수 있다. 제한편(21)은 본체(10)가 지구에 대응하는 완전한 구형으로 펼쳐진 이후에 살부재(30)의 상단과 하단이 더 이상 가까워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부재이고, 로커(22)는 본체(10)가 지구에 대응하는 완전한 구형으로 펼쳐진 이후에 살부재(30)의 상단과 하단의 간격이 다시 벌어져버리는 것을 제한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제한편(21)의 작용으로 본체(10)가 구형 상태를 지나쳐 납작한 구형으로 되는 것이 방지되고, 로커(22)의 작용으로 구형상태로 펼쳐진 본체(10)가 손을 놓아도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로커(22)를 작동하여 록킹 상태를 해제하면, 살부재(30)가 다시 펴질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본체(10)가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접이식 지구본(1)에는, 지축대(20)를 세워 놓을 수 있는 받침대(4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40)로는 평평한 받침판(41)의 대략 중앙에 지축대꽂이(42)를 장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지축대꽂이(42)는 여기에 지축대(20)를 꽂아 놓을 때 지축대(20)의 경사를 지구 지축의 경사도인 약 23.5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적인 접이식 지구본(1)의 경우에는, 본체(10)를 구형으로 펼쳤을 때 본체(1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지축대(20)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짐으로 이를 받침대(40)에 세웠을 때 다소 불안정하게 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불안정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축대(20)를 살부재(30)의 상단이 고정된 소직경대(23)와, 소직경대(2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살부재(30)의 하단이 고정되는 대직경대(24)로 분리 구성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살부재들(30)을 지축대(20)에 장착하는 구조로는, 소지경대(23)의 상단에 환형의 고정편(31)을 고정하고 이 고정편(31)의 둘레에 살부재들(30)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편, 대직경부대(24)의 하측에 환형의 고정편(31)을 삽입 고정하고 이 고정편(31)의 둘레에 살부재들(30)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축대(20)의 구성 및 살부재(30)의 장착 구조에 따라, 본체(10)의 북극점(12) 쪽을 아래로 누르면 소직경대(23)가 대직경대(24)의 안으로 더욱 깊게 삽입되면서 살부재(30)가 휘어서 본체(10)가 구형을 형성하게 되고, 아래로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소직경대(23)가 대직경대(24)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살부재(30)가 펴져서 본체(10)가 접혀지게 된다. 본 구체예도 전술한 제한편(21)과 로커(22)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지구본(1)에 의하면, 보관, 운반 및 유대에 불편함이 없는 지구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지도(11)가 인쇄되어 있고 접고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 구형의 본체(10);
    상기 지도(11)의 북극점(12)과 남극점(13)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관통 설치된 지축대(20); 및
    상기 북극점(12)과 상기 남극점(13)을 연결하는 상기 본체(1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지축대(20)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의 간격을 변화시킴에 따라 길게 펴진 상태와 원호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가변되는 다수의 살부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지구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부재(30)의 상단은 상기 지축대(20)의 상측에 상하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살부재(30)의 하단은 상기 지축대(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지구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대(20)는, 상기 살부재(30)의 상단이 고정되는 소직경대(23)와, 상기 소직경대(2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상기 살부재(30)의 하단이 고정되는 대직경대(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지구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대(20)에는, 상기 본체(10)가 구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지나쳐 납작한 구형으로 되는 것이 차단하는 제한편(21)과, 상기 본체(10)가 구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로커(2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지구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대(20)를 세워 놓을 수 있는 받침대(4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지축대(20)를 꽂으면 상기 지축대(20)의 경사가 지축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경사가 유지되게 하는 지축대꽂이(4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지구본.
KR2020010036127U 2001-11-23 2001-11-23 접이식 지구본 KR200266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127U KR200266948Y1 (ko) 2001-11-23 2001-11-23 접이식 지구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127U KR200266948Y1 (ko) 2001-11-23 2001-11-23 접이식 지구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948Y1 true KR200266948Y1 (ko) 2002-03-06

Family

ID=7307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127U KR200266948Y1 (ko) 2001-11-23 2001-11-23 접이식 지구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9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2521A (en) Lantern type electric lamp
KR102557117B1 (ko) 독서대
US5738314A (en) Collapsible bag holder apparatus
KR200266948Y1 (ko) 접이식 지구본
US6769793B2 (en) Expandable decoration
USD445837S1 (en) Table top advertising media support with indicia magnifying base
KR100676742B1 (ko) 파라솔 받침대
JP2000226820A (ja) 自立形筒状表示体
US6851836B2 (en) Collapsible lampshade
US3716211A (en) Foldable stand
US3263353A (en) Lamp construction
US7950173B2 (en) Portable information sign device
JP4740402B1 (ja) イーゼル
US20050248248A1 (en) Prayer and meditation mantel and pedestal
KR200245969Y1 (ko) 화병지지구조
US6357897B1 (en) Sideless collapsible frame lampshade
EP0370961A3 (en) Portable, folding book-rest with adjustable incline
KR20200145155A (ko) 다중 배너 거치대
JPH082694Y2 (ja) 中空地球儀
KR200280203Y1 (ko) 플라워형 인테리어 파라솔
TWM529251U (zh) 樂器置放架之結構改良
JPH11196939A (ja) テーブル
KR200329057Y1 (ko) 악보대의 높낮이 조절장치
JPH0713012Y2 (ja) 模型スタンド構造
JPH09112812A (ja) 折り畳み自在な支承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