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706Y1 - 충격 저감용 매트 - Google Patents

충격 저감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706Y1
KR200266706Y1 KR2020010036411U KR20010036411U KR200266706Y1 KR 200266706 Y1 KR200266706 Y1 KR 200266706Y1 KR 2020010036411 U KR2020010036411 U KR 2020010036411U KR 20010036411 U KR20010036411 U KR 20010036411U KR 200266706 Y1 KR200266706 Y1 KR 200266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vibration
impact
sound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섭
Original Assignee
이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섭 filed Critical 이흥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706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건축물의 층간 또는 벽간의 단열은 물론 소음 및 진동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충격 저감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건축물의 층간 및 벽간에 충격에 대한 방지 대책으로는 흡음제로 사용되는 그라스화이버나 또는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폴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충격과 진동에 의한 소음에는 전혀 대응하지 못함으로 하층 또는 옆집에서의 생활자에게 커다란 피해를 끼치게 되고,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단열재 및 흡음재를 두껍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벽체의 두께 증가로 실 평수가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완충기능이 있는 고무제와 흡음기능이 있는 스폰지체와 단열과 차음 및 방수기능이 있는 발포성형되는 가교시트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서 충격과 진동에 따른 소음의 방지는 물론 단열과 방수에도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충격에 대한 소음 및 진동 방지용.

Description

충격 저감용 매트{A mat reducing an imp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및 연립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에 있어서, 이종 매질의 다층구조에 의한 충격에너지의 감쇄 및 매질 특성에 의한 충격에너지의 흡수 효과로 층간 또는 벽간의 충격에 대한 소음 및 진동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충격 저감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 층상 및 연립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에 있어서는, 상층에서의 바닥면이 하층에서는 천장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층에서 어린이들이 뛰거나 물건을 옮기는 등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어 하층에서의 생활자에게 커다란 피해를 끼치고 있고, 또한 벽 사이를 두고 다세대의 가구가 연립되어 있기 때문에 옆집에서의 못질이나 건물 수선에 의한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역시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현재 이러한 구조로 된 건물의 층 또는 벽 사이에는 별도의 충격에 대한 방지 대책이 강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두께의 시멘트나 콘크리트등에 의한 바닥 및 벽체가 시공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스치로플 등의 단열재 또는 유리섬유 등의 흡음재가 삽입되어 단열 및 흡음 효과가 있도록 하면서 층상구조에 따른 어느 정도의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한 재질은 충격을 감쇄시키는 량이 극히 미미하기 때문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거의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시멘트나 콘크리트의 경우 경화에 의하여 내부의 고체 밀도가 높기 때문에 충격흡수가 전혀 이루어질 수 없고,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치로플의 경우에는 완충력이 있어 어느 정도의 충격 흡수는 가능하나 강한 충격에 의하여 부서지기 쉽고, 흡음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의 경우에는 완충 기능이 없어 충격량을 전혀 감쇄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효율적인 단열 및 흡음을 위해서는 단열재 및 흡음재의 두께가 두꺼워야 하나, 이에 따른 설치 공사비의 상승은 물론 벽 사이의 두께 차만큼 실 평수가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저가의 설치비를 위한 단열재 및 흡음재의 삽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흡음을 위한 다공질의 합성수지제 발포체와 우수한 탄성력에 의한 진동 완화를 위한 고무제와 차음과 방수등의 기능이 있는 합성수지제 발포 가교시트를 적층시켜 이종 매질의 다층구조로 구성토록 함으로서 충격 에너지의 흡수 및 적층 구조에 따른 충격 에너지 감쇄의 극대화로 소음 및 진동을 방지토록 된 충격 저감용 매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충격 저감용 매트의 층간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가교시트의 기포구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스폰지 체의 발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발포고무체의 기포상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층간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무 체 2: 스폰지 체
3: 가교시트 4: 기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으며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고무 체(1)의 상층으로 스폰지 체(2)와 가교시트(3)를 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 적층되어진 것이다.
이때 고무 체(1)는 천연고무를 사용하거나 또는 합성고무를 발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합성고무를 발포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발포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포(4)에 의하여 충격과 소음에너지의 흡수가 우수한 것이다.
또한 가교시트(3)는 합성수지를 발포하여 압출성형되어진 시트의 형태이고,기포(4)의 연결구조를 갖게 됨으로 방수가 가능하고, 이러한 연결된 기포(4)에 의하여 완충은 물론 소음에 대한 차음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교시트(3)의 제공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고분자 화합물에 발포제를 가하여 형성시킨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를 사용한 것으로, 폴리올레핀에 속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등에 발포체를 가하여 가열 발포시킨 후 시트 또는 판상으로 압출 성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무 체(1)와 가교시트(3) 사이에 스폰지 체(2)를 형성시킴으로서 탄성력이 더욱 부가되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의 스폰지 체(2)의 성형은 통상 가소성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인 폴리우레탄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높은 복원력에 의한 충격 흡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폰지 체(2)는 가교시트(3)와 융착이 가능한 것이고, 고무 체(1)와는 별도의 접착 매체에 의한 접착방식으로 적층되어지는 것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의 고무 체(1)와 스폰지 체(2)와 가교시트(3)를 적당한 두께의 차이로 선택 적용함으로서 충격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충격저감 패드를 바닥에 시공할 경우에는 고무 체(1)를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밀착토록 하여 가교시트(3)가 상층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층의 충격이 발포성형되어지는 가교시트와 고무 체의 이종매질에 따른 다공질 구조로 인하여 층상 구조에 따른 계면의 형성으로 충격에 의하여 매질을 통과하는 소음 및 진동의 산란 및 분산 효과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감쇄시킬 수있고, 또한 다공질 구조의 발포체에 의하여 기포 사이의 공기 점성 저항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시켜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의 감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고무체와 스폰지 체와 가교시트를 적층함으로서 이종매질에 의한 층상 구조에 따를 계면의 형성과 발포성형되어지는 기포에 의하여 완충은 물론 충격에 의한 소음의 흡수와 기포와 기포사에의 점성저항으로 충격에네지의 흡수가 가능하게 되어 흡음에 따른 충격저감은 물론 단열과 방수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고무체(1)와 스폰지 체(2)와 가교시트(3)가 접착되어 적층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고무체가 합성고무 발포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저감용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고무체와 스폰지체 및 가교시트의 층간 두께서 서로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저감용 패드.
KR2020010036411U 2001-06-07 2001-11-26 충격 저감용 매트 KR2002667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6973 2001-06-07
KR2020010016973 2001-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706Y1 true KR200266706Y1 (ko) 2002-03-04

Family

ID=7307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411U KR200266706Y1 (ko) 2001-06-07 2001-11-26 충격 저감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7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395B1 (ko)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체
KR200386633Y1 (ko) 다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패드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20080073905A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0995303B1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0763410B1 (ko)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KR100665085B1 (ko) 복합방음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66706Y1 (ko) 충격 저감용 매트
KR200331857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층간소음방지재
KR100756415B1 (ko)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200336862Y1 (ko) 층간 소음 차단용 복합판넬
KR20090062480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방음판
KR101564207B1 (ko)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패널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100407780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35788Y1 (ko) 차음 및 단열용 바닥충격음완충재
KR200455458Y1 (ko) 방수층 보호시트가 부착된 탄성 이피에스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KR100773470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방음판 구조
KR200466501Y1 (ko)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제진단열모듈판 및 이를이용한 습식 이중바닥구조
KR100556076B1 (ko) 온돌 마루 바닥 완충쉬트의 시공방법
KR102623179B1 (ko) 층간소음 완화형 바닥재 구조
KR10046839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KR102571170B1 (ko) 기능이 향상된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용 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