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462Y1 - 장신구 보관함 - Google Patents

장신구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462Y1
KR200266462Y1 KR2020010036711U KR20010036711U KR200266462Y1 KR 200266462 Y1 KR200266462 Y1 KR 200266462Y1 KR 2020010036711 U KR2020010036711 U KR 2020010036711U KR 20010036711 U KR20010036711 U KR 20010036711U KR 200266462 Y1 KR200266462 Y1 KR 200266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jewelry
outer case
storage box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공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공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공예
Priority to KR2020010036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4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462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단에 스토퍼를 형성한 서랍과 서랍의 진출범위를 제한하는 외부케이스 및 서랍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내부케이스로 구분 구성하여 보석 등의 장신구가 담겨진 서랍이 외부케이스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장신구 보관함의 사용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그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장신구 보관함(A)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에 걸림부(11a)를 갖는 서랍인출부(11)(11)를 다단으로 형성한 외부케이스(1)와, 내부에 서랍이동 통로(21)를 다단으로 형성하되, 서랍이동통로(21)의 양측 상, 하단에는 다수의 가이드구(22)를 돌출 설치한 채 상기 외부케이스(1) 내에 끼워지는 내부케이스(2)와, 판면에 다수의 통공(41)을 형성한 채 상기 외부케이스(1) 후면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커버(4)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보관함이다.

Description

장신구 보관함{accessory keeping box}
본 고안은 장신구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단에 스토퍼를 형성한 서랍과 서랍의 진출범위를 제한하는 외부케이스 및 서랍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내부케이스로 구분 구성하여 보석 등의 장신구가 담겨진 서랍이 외부케이스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장신구 보관함의 사용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그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이나 반지 등 여성들의 각종 장신구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 보관함(일명 보석함)이 안출, 사용되고있는 실정인바, 이들 장신구 보관함의 일반적인 구성은, 단순히 보관함 본체에 다단으로 서랍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서랍 수납부를 형성하되, 이때 서랍 수납부의 개방부 크기는 서랍의 외형크기보다 약간 큰 정도의 크기로 되는 것이므로 서랍을 열고 닫는데는 별문제가 없으나 서랍이 본체에 걸려 그 진출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어떠한 구성도 마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보관함 본체를 일정부분 기울이게 되는 경우 서랍은 본체의 수납부로부터 완전 이탈될 수 밖에 없게되므로 서랍에 담겨진 각종 장신구가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 또는 분실될 우려가 있는 것이므로 장식을 겸한 장신구 보관함의 각별한 취급이 요구되는 문제로 인해 장신구 보관함의 사용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와 함께 상품성을 크게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본체의 수납부에 대해 서랍이 단순히 끼워져 슬라이드 수납되도록 한 종래의 장신구 보관함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의 후단에 가이드판 역할을 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본체는, 서랍의 진출범위를 제한하는 외부케이스와 서랍이 슬라이드 수납되는 내부케이스로 구분 구성함으로써 각종 장신구가 담겨지는 서랍에 대한 본체로부터의 진출이 범위가 제한되게되어 서랍이 본체로부터 완전 이탈되는데 따라 장신구가 바닥에 쏟아지게 되는것을 미연이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케이스의 가이드턱을 타고 서랍이 진출 또는 후퇴 이동토록 하여 서랍의 슬라이드 이동이 한결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신구 보관함의 사용성 좋게 하고 상품성을 높인 장신구 보관함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보관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외부케이스 2:내부케이스
3:서랍 4:커버
11:서랍인출부 11a:걸림부
21:서랍이동통로 22:가이드구
31,32:스토퍼 41:통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은, 장신구 보관함(A)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에 걸림부(11a)를 갖는 서랍인출부(11)(11)를 다단으로 형성한 외부케이스(1) 내부에는 내부에, 서랍(3)이 설치되는 서랍이동 통로(21)를 다단으로 형성하되, 상기 서랍이동통로(21)에는 서랍(3)의 스토퍼(31)(32) 중 상, 하단 스토퍼(31)(31)와 각각 접촉되는 다수의 가이드구(22)를 돌출 설치한 내부케이스(2)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외부케이스(1) 후면의 개방부에는 판면에 다수의 통공(41)을 형성한 커버(4)를 차단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보관상태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외부케이스(1), 내부케이스(2), 서랍(3) 및 커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외부케이스(1)는 내부에 별도의 내부케이스(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을 개방부로 형성한 일정크기의 함체형으로 되어 전면에는 상, 하, 좌, 우로 각각 걸림부(11a)를 갖는 서랍인출부(11)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내부케이스(2)는, 그 내부에 서랍이(3)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서랍이송통로(21)를 다단으로 형성한 채 상기 외부케이스(1) 내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서랍이송통로(21)는 서랍(3)의 스토퍼(31)(32)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그 양측의 상, 하 대향위치에는 호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가이드구(22)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서랍(3)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할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서랍(3)은 상기 내부케이스(2)의 서랍이송통로(21)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그 후단에는 서랍이송통로(21)의 가이드구(22)와 접촉되는 상, 하단 스토퍼(31)(31)와 함께 그 일측으로는 측단스토퍼(32)(32)를 각각 연장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상 하단 스토퍼(31)와 측단스토퍼(32)는 외부케이스(1)의 서랍인출부(11)를 이루고있는 걸림부(11a)에와 접촉되면서 그 진출범위가 제한을 받게되므로 서랍(3)이 외부케이스(1) 외부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커버(4)는 내부케이스(2)가 삽입 설치된 외부케이스(1) 후면의 개방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판면에는 설치되는 서랍(3)의 위치에 대응하여 통공(41)을 형성함으로써 이 통공(41)을 이용하여 내부케이스(2)의 서랍이송통로(21)내에 설치된 서랍(3)을 외부케이스(1) 전면으로 일정부분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 보관함(A)의 실시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첩 등의 연결수단(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케이스(1)(1) 내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스(2) 내의 서랍(3)에 각종 귀금속 등의 장신구를 담아 넣어 보관하고 있던 상태에서 서랍을 열어 장신구를 꺼내고자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장신구 보관함(A) 사용자가 외부케이스(1) 후단을 차단하고 있는 커버(4)에 형성된 통공(41)에 손가락을 넣어 내부케이스(2)의 서랍이송통로(21) 내에 설치된 서랍(3)을 외부케이스(1)의 전면부측으로 가볍게 밀게되면, 서랍(3)은 내부케이스(2)의 서랍이송통로(21) 양측에 상하로 대향 형성된 가이드구(22) 상에서 슬라이드 이송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가 외부케이스(1)의 서랍인출부(11)를 통해 외부케이스(1) 외부로 일정부분 노출되게되고, 이후 사용자가 노출된 서랍(3)의 선단부를 당겨 서랍(3)을 인출하게되면 서랍(3)은 그 후단의 상, 하단 스토퍼(31)와 양측단 스토퍼(32)가 서랍인출부(11)를 이루는 걸림부(11a)에 걸려 그 인출이 정지될 때까지 외부케이스(1) 외측으로 인출되게되므로 본 고안의 장신구 보관함(A) 사용자는 서랍(3)에 담겨진 장신구를 꺼내거나 휴대 중인 장신구를 다시 서랍(3)에 담아 보관한 후 인출된 서랍(3)을 다시 밀어 넣어 외부케이스(1) 내에 은폐되는 상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서랍(3)에 대한 사용을 마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장신구 보관함(A)은 서랍(3)의 후단에 설치된 상, 하단 스토퍼(31)와 측단스토퍼(32)의 존재에 의해 외부케이스(1)의 서랍인출부(11)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되어 내용물(장신구)이 쏟아지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랍이송통로(21) 내에 형성된 가이드구(22)에 의해 서랍(3)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장신구 보관함에 의하면, 장신구 보관함을, 서랍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서랍이송통로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이 내부케이스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로 구성하되, 서랍 후단에 외부케이스의 서랍인출부가 접촉되어 그 인출범위가 제한되도록 상 하단 및 측단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각종 장신구가 담겨 보관되는 서랍의 슬라이드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서랍이 외부케이스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장신구 보관함의 사용성을 좋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장신구 보관함(A)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에 걸림부(11a)를 갖는 서랍인출부(11)(11)를 다단으로 형성한 외부케이스(1)와, 내부에 서랍이동 통로(21)를 다단으로 형성하되, 서랍이동통로(21)의 양측 상, 하단에는 다수의 가이드구(22)를 돌출 설치한 채 상기 외부케이스(1) 내에 끼워지는 내부케이스(2)와, 판면에 다수의 통공(41)을 형성한 채 상기 외부케이스(1) 후면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커버(4)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보관함.
KR2020010036711U 2001-11-28 2001-11-28 장신구 보관함 KR200266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711U KR200266462Y1 (ko) 2001-11-28 2001-11-28 장신구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711U KR200266462Y1 (ko) 2001-11-28 2001-11-28 장신구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462Y1 true KR200266462Y1 (ko) 2002-02-28

Family

ID=7307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711U KR200266462Y1 (ko) 2001-11-28 2001-11-28 장신구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4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448B1 (ko) 2008-02-12 2009-11-25 (주)민예서울 장신구 보관함
KR200450050Y1 (ko) 2008-07-25 2010-09-01 김승열 금고 내장형 헌금함
KR20210147243A (ko) 2020-05-28 202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신구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448B1 (ko) 2008-02-12 2009-11-25 (주)민예서울 장신구 보관함
KR200450050Y1 (ko) 2008-07-25 2010-09-01 김승열 금고 내장형 헌금함
KR20210147243A (ko) 2020-05-28 202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신구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0757A (en) Container system
US20210177698A1 (en) Pill container
US5139321A (en) Multiple-bin tray assembly for a medical dispensing cassette
KR200266462Y1 (ko) 장신구 보관함
US20200299028A1 (en) Case for coin tissue
US6971522B2 (en) Tablet case
US5152423A (en) Elastic clip gun
US7048116B2 (en) Case for a disc-like article
KR101392898B1 (ko) 다단의 수납박스
KR100928448B1 (ko) 장신구 보관함
JP2000118578A (ja) 小物類収納容器
KR200321921Y1 (ko) 서랍형 수납함
KR930005022Y1 (ko) 다목적 보관함
JP2001269217A (ja) コンパクト容器
JP2002159351A (ja) 小物収納箱
JP4168912B2 (ja) キャビネットの引出箱の構造
JP3226522U (ja) 一体型パレット
JPH0354578Y2 (ko)
JPS6315252Y2 (ko)
KR200172798Y1 (ko) 슬라이딩 도어 수납함
KR940007981Y1 (ko) 이쑤시개 수납케이스
JP3073929U (ja) 収納ケース
KR200308645Y1 (ko) 서랍형 수납함
KR101612273B1 (ko) 분리 이동형 수납박스
KR850003236Y1 (ko) 은단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