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410Y1 - 저금통겸용이 가능한 전원플러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저금통겸용이 가능한 전원플러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410Y1
KR200266410Y1 KR2020010035799U KR20010035799U KR200266410Y1 KR 200266410 Y1 KR200266410 Y1 KR 200266410Y1 KR 2020010035799 U KR2020010035799 U KR 2020010035799U KR 20010035799 U KR20010035799 U KR 20010035799U KR 200266410 Y1 KR200266410 Y1 KR 200266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wer plug
locking device
main body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식
Original Assignee
신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장식 filed Critical 신장식
Priority to KR2020010035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4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410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원플러그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에 대하여 상호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면판(13)과 하면판(17)을 가진다. 상기 상면판(13)과 하면판(17)은 각각 전원플러그본체관통부(138, 178)를 가진다.

Description

저금통겸용이 가능한 전원플러그 잠금장치 {Plug locking device serving as a money-deposit box}
본 고안은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전기 콘센트에 접속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원플러그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전자제품 또는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를 허락 받지 않은 자가 함부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별히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특징을 가진다.
전자제품이나 전기기기를 함부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엄격한 교육을 위하여 컴퓨터 또는 비디오의 사용 또는 시청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장에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공장기기를 외부인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이나 전기기기는 전원플러그를 통하여 전원을 받아 작동되므로,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전자제품이나 전기기기의 사용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경우, 전원플러그잠금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또한 제작비용이 저렴한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그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원플러그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저금통으로 활용가능한 전원플러그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는 바닥면의 외주면이 연장되어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호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면판과 하면판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 각각에는 전원플러그 와이어가 관통하는 전원플러그와이어 관통부가 그 중앙에서 각각 형성되어 이들 판의 전원플러그와이어관통부는 상기 회전에도 불구하고 서로 관통한다. 또한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 각각의 중앙부 외측에는 상기 전원플러그의 플러그 본체가 관통하는 플러그본체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에 의하여 이들 상면판과 하면판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서로 대응되면 공통의 관통부가 상기 본체의 개방부에 대하여 형성되고, 이들 상면판과 하면판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서로 대응되지 않으면 이들 판중 어느 하나의 전원플러그본체관통부가 아닌 부분이 다른 판의 전원플러그본체관통부를 막아 전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되어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는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이 상호 회전에 의하여 이들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었을 때 이들 상면판과 하면판의 회전을 막는 잠금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잠금장치결합부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장치는 자물쇠이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결합부는 상기 상면판과 상기 하면판 각각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자물쇠를 걸 수 있는 걸림부를 그 끝단에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이 상호 회전에 의하여 이들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었을 때 상호간에 측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에는 그 내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판은 상기 홈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상면판은 상기 홈내부에서 상기 하면판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은 상호간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판의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면판은 상기 하면판에 대하여 적은 마찰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판의 상부에는 상면판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가 설치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손쉽게 상기 상면판을 하면판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판의 상면에는 동전의 투입이 가능한 홈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고 잠금장치가 걸렸을 때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는 저금통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면판의 회전으로 상면판과 하면판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대응되어 공통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형성되었을 때 전원플러그를 전원플러그잠금장치의 내부로 삽입하는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로 전원플러그를 삽입한 후 상면판을 회전시켜 공통의 플러그본체관통부를 폐쇄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로 전원플러그를 삽입한 후 상면판을 회전시켜 공통의 플러그본체관통부를 폐쇄한 후, 잠금장치 결합부에 잠금장치인 자물쇠를 걸어 전원플러그를 함부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잠그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가 저금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본체 13: 상면판 17: 하면판
131, 171: 걸쇠 138, 178: 플러그본체관통부
1381, 1781: 전원플러그와이어 관통부
179: 돌기 135: 회전손잡이 103; 본체 홈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는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의 외주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부는 개방되는 본체(2)를 가진다. 이러한 본체(2)에 대하여 상호간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2)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상면판(13)과 하면판(17)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홈(103)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판(171)은 상기 홈(103)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상면판(13)은 상기 홈(103)내부에서 상기 하면판(17)의 상부에 안착된다. (도 2의 단면도 참고) 따라서, 상기 상면판(13)과 하면판(17)은 상기 본체(2)의 개방부를 덮으면서, 상면판(13)은 하면판(1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면판(17)의 상면에는 돌기(17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면판(13)은 상기 하면판(17)에 대하여 적은 마찰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면판(13)을 하면판(17)에 대하여 손쉽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면판(13)의 상부에 손잡이(135)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면판(13)과 하면판(17) 각각에는 전원플러그의 와이어(71)가 관통하는 전원플러그와이어 관통부(1381, 1781)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관통부(1381, 1781)는 이들 판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면판(13)과 하면판(17)의 상대적인 회전에도 불구하고 그 관통부들은 서로 관통된다.
이들 상면판(13)과 하면판(17) 각각의 판의 중앙부 외측에는 상기 전원플러그의 플러그 본체(17)가 관통하는 플러그본체관통부(138, 178)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면판(13)과 하면판(17)의 상대적 회전에 의하여 이들 상면판(13)과하면판(17)의 플러그본체관통부(138, 178)가 서로 대응되면 공통의 관통부가 상기 본체(2)의 개방부에 대하여 형성되게 된다. 역으로, 이들 상면판(13)과 하면판(17)의 플러그본체관통부(138, 178)가 서로 대응되지 않으면 이들 판중 어느 하나의 전원플러그본체관통부가 아닌 부분이 다른 판의 전원플러그본체관통부를 막아 전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는 상기 상면판(13)과 하면판(17)이 상호 회전에 의하여 이들의 플러그본체관통부(138, 178)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었을 때 이들 상면판과 하면판의 회전을 막는 잠금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잠금장치결합부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장치결합부는 상기 상면판(13)과 상기 하면판(17) 각각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자물쇠를 걸 수 있는 걸림부를 그 끝단에 가지는 걸쇠(131, 171)이다. 이들 걸쇠(131, 171)는 상기 상면판(13)과 하면판(17)이 상호 회전에 의하여 이들의 플러그본체관통부(138, 178)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 상기 본체(2)의 개방부가 폐쇄되었을 때 상호간에 측면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잠금장치는 자물쇠(5)이다. (도 4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의 작동을 도 3a부터 도 3c까지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도 3a를 참고로, 상면판(13)을 하면판(17)에 대하여 회전시켜 각각의 전원플러그본체관통부(138, 178)들이 서로 대응하여 공통의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면판(13)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135)를 잡고 상면판(13)을 회전시킬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원플러그를 상기 공통의 관통부를 통과하여 본체(2)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다음, 도 3b를 참고로, 상기 상면판(13)을 다시 회전시켜 상면판(13)의 플러그관통부(138)가 아닌 부분이 하면판의 플러그관통부(178)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 상면판과 하면판 각각에 형성된 걸쇠(131, 171)들이 상호간에 측면으로 배치된다. 또한, 전원플러그의 와이어부(71)는 상면판(13)과 하면판(17)에 대하여 공통으로 형성되는 전원플러그와이어 관통부(1381, 1781)를 관통하여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c를 참고로, 상기 걸쇠들(131, 171)에 걸쳐 자물쇠(5)를 채우고 키(6)로 잠근다. 그러면, 자물쇠 키를 소유하지 못한 자는 전원플러그를 함부로 사용할 수 없게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는 저금통으로도 활용가능하다. 이 경우, 상면판(13)에는 동전 투입홈(136)이 형성된다. 도 4는 저금통으로 활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플러그잠금장치를 보인다. 상면판(13)과 하면판(17)이 상호간에 대한 회전으로 상기 본체(2)의 개방부가 폐쇄되고, 잠금장치(5)가 걸렸을 때 저금통으로 활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그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또한 저금통으로도 활용가능한 전원플러그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7)

  1. 바닥면의 외주면이 연장되어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호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면판과 하면판과; 여기서,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 각각에는 전원플러그 와이어가 관통하는 전원플러그와이어 관통부가 그 중앙에서 각각 형성되어 이들 판의 전원플러그와이어관통부는 상기 회전에도 불구하고 서로 관통하며,
    각각의 판의 중앙부 외측에는 상기 전원플러그의 플러그 본체가 관통하는 플러그본체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에 의하여 이들 상면판과 하면판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서로 대응되면 공통의 관통부가 상기 본체의 개방부에 대하여 형성되고, 이들 상면판과 하면판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서로 대응되지 않으면 이들 판중 어느 하나의 전원플러그본체관통부가 아닌 부분이 다른 판의 전원플러그본체관통부를 막아 전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며;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이 상호 회전에 의하여 이들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었을 때 이들 상면판과 하면판의 회전을 막는 잠금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잠금장치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자물쇠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결합부는 상기 상면판과 상기 하면판 각각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자물쇠를 걸 수 있는 걸림부를 그 끝단에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이 상호 회전에 의하여 이들의 플러그본체관통부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었을 때 상호간에 측면으로 배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잠금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그 내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판은 상기 홈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상면판은 상기 홈내부에서 상기 하면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판의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상면판이 상기 하면판에 대하여 적은 마찰력으로 회전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판의 상부에는 상면판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잠금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판의 상면에는 동전의 투입이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의 상호간에 대한 회전으로 상기 본체의 개방부가 폐쇄되고, 잠금장치가 걸렸을 때 저금통으로 활용가능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잠금장치.
KR2020010035799U 2001-11-21 2001-11-21 저금통겸용이 가능한 전원플러그 잠금장치 KR200266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99U KR200266410Y1 (ko) 2001-11-21 2001-11-21 저금통겸용이 가능한 전원플러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99U KR200266410Y1 (ko) 2001-11-21 2001-11-21 저금통겸용이 가능한 전원플러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410Y1 true KR200266410Y1 (ko) 2002-02-28

Family

ID=7311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799U KR200266410Y1 (ko) 2001-11-21 2001-11-21 저금통겸용이 가능한 전원플러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4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873A (en) Electrical plug lock
US4593541A (en) Locking electrical outlet box
US20070293066A1 (en) Lockable outlet strip
WO2002013323A8 (en) Safety cover
US8088999B1 (en) Electrical plug stabilizing cover
US5171155A (en) Safety lock for electrical appliance plugs
JP2010084512A (ja) 鍵穴隠れ式解錠装置
KR200266410Y1 (ko) 저금통겸용이 가능한 전원플러그 잠금장치
US6979220B1 (en) Plug locking mechanism
KR20160003617U (ko) 타임캡슐수단이 구비된 이벤트용 자물쇠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US6367293B1 (en) Lock for the plug of a power cord
KR20170051634A (ko) 분전반 캐비닛의 도어 개폐장치
KR200419667Y1 (ko) 밀폐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CN206458179U (zh) 电子锁
WO1999060670A1 (en) Lock box for power strip
KR100920673B1 (ko) 안전 콘센트 장치
US4666224A (en) Device for securing electrical connectors
KR200453700Y1 (ko) 표시기능을 구비한 잠금장치
WO2018204357A1 (en) Lead screw latch
KR200243901Y1 (ko) 전원 차단용 시건장치가 부착된 콘센트
KR20010090074A (ko) 전자식 시건 장치
EP2410625B1 (en) Tamper-proof socket outlet assembly
GB2231451A (en) Locking box for electrical plug(s)
EP3821096B1 (en) Key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