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381Y1 - 열선이 내장된 컵 - Google Patents

열선이 내장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381Y1
KR200266381Y1 KR2020010035416U KR20010035416U KR200266381Y1 KR 200266381 Y1 KR200266381 Y1 KR 200266381Y1 KR 2020010035416 U KR2020010035416 U KR 2020010035416U KR 20010035416 U KR20010035416 U KR 20010035416U KR 200266381 Y1 KR200266381 Y1 KR 200266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eating wire
temperature
cup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인
Original Assignee
이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인 filed Critical 이기인
Priority to KR2020010035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381Y1/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선이 내장된 컵에 관한 것으로 컵에 담긴 물을 끓여 커피를 타 마시거나 내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게 커피와 녹차 등의 차를 식지 않은 상태에서 취음할 수 있도록 한 열선이 내장된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홈부(12)가 형성된 컵본체(11)와; 상기 컵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3)를 포함하는 컵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11)의 바닥 및 주연 내부에 열선(15)이 내장되고, 상기 컵본체(11) 외주연 일측 하단에 상기 열선(1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11) 상단에 커버(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이 내장된 컵을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선이 내장된 컵{Cup within heating wire}
본 고안은 열선이 내장된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에 담긴 물을 끓여 커피를 타 마시거나 내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간편하게 커피와 녹차 등의 차를 식지 않은 상태에서 취음할 수 있도록 한 열선이 내장된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물을 마실 때 사용하나 커피나 녹차 등과 같은 차를 타 마실 때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컵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은 내부에 홈부(112)가 형성된 컵본체(111)와; 상기 컵본체(111)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13)로 구성된다.
상기 컵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세라믹으로 제조되거나 금속재질로 제작되어진다. 금속재질의 경우 깨질 위험이 없으나 세라믹의 경우 금속재질에 비하여 보온성이 뛰어나므로 통상 따듯한 온음료를 취음할 때는 세라믹 컵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컵은 음료를 담는데 주로 사용하게 됨으로서 그 기능상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구성을 갖는 컵에 커피나 녹차와 같은 온음료를 내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보관하면 차갑게 식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추운 날씨에는 더욱더 빨리 온음료가 식어버린다. 따라서 커피나 차가 내는 제맛을 느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컵에 담긴 물을 끓여 커피를 타 마시거나 내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게 커피와 녹차 등의 차를 식지 않은 상태에서 취음할 수 있도록 한 열선이내장된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컵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작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컵본체 12 : 홈부
13 : 손잡이 14 : 커버
15 : 열선 16 : 전원공급부
17 : 스위치 18 : 제어부
19 : 온도감지센서 20 : 온도조절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홈부가 형성된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컵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의 바닥 및 주연 내부에 열선이 내장되고, 상기 컵본체 외주연 일측 하단에 상기 열선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 상단에 커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이 내장된 컵을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홈부(12)가 형성된 컵본체(11)와; 상기 컵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3)와; 상기 컵본체(11)의 바닥 및 주연 내부에 내장된 열선(15)과; 상기 컵본체(11) 외주연 일측 하단에 상기 열선(1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전원공급부(16); 및 상기 컵본체(11) 상단에 커버(14)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컵본체(11)의 바닥 및 주연 내부에 고르게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열선(1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부(16)를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컵의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16)에서 인가된 전류가 상기 컵본체(11)의 바닥 및 주연 내부에 내장된 열선(15)에 공급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열선(15)에서는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선(15)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컵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컵의 내부에 내재된 물을 포함한 음료가 가열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물의 경우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끓게 되어 간단하게 커피를 타 마실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용 커피나 녹차 또는 홍차 티백을 넣어 우려냄으로서 간편하게 차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컵의 바닥 및 주연 내부 열선(15)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컵 전체에 잔류되는 열에 의해 장시간동안 온음료를 취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컵본체(11)는 열선(15)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세라믹 재질의 용기가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컵본체(11) 상단에 형성되는 커버(14)는 음료를 내재한 상태에서 음료를 취음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나 물을 끓이는 경우 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열선(15)의 온도조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물이나 음료를 데우거나 장시간 동안 보관하여도 따듯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열선(15)의 온도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컵본체(11) 외주연 일측에 적정의 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온도조절부와; 상기 컵본체(11) 바닥면에 열선(1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조절부에서 입력된 온도와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토대로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on/off 스위치를 통해 제어하고 열선(15)으로 보내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작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부(20)에서 원하는 적정온도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온도는 제어부(18)로 이송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18)는 열선(15)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9)로 부터 열선(15)의 현재의 온도를 전송받게 된다. 상기 입력된 온도와 온도감지센서(19)에서 전송된 온도를 토대로 제어부(18)는 전원공급부(16)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on/off 스위치(17)를 통해 제어하면서 전류를 열선(15)으로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경우 컵 내부에 담긴 물을 용이하게 데우거나 끓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음료가 내재된 경우 온음료를 마시기 위한 최적의 온도로 조절할 수 있어 식지않은 상태의 온음료를 항시 취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컵에 담긴 물을 용이하게 데우거나 끓일 수 있어 커피와 녹차 등의 차를 용이하게 타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 안에내재된 온음료를 식지 않게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항상 따듯한 음료를 취음할 수 있도록 한 열선이 내장된 컵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도면의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홈부(12)가 형성된 컵본체(11)와; 상기 컵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3)를 포함하는 컵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11)의 바닥 및 주연 내부에 열선(15)이 내장되고, 상기 컵본체(11) 외주연 일측 하단에 상기 열선(1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11) 상단에 커버(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이 내장된 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11) 외주연 일측에 적정의 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온도조절부(20)와; 상기 컵본체(11) 바닥면에 열선(1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19)와, 상기 온도조절부(20)에서 입력된 온도와 온도감지센서(19)에서 감지된 온도를 토대로 전원공급부(16)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on/off 스위치(17)를 통해 제어하고 열선(15)으로 보내기 위한 제어부(18)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이 내장된 컵.
KR2020010035416U 2001-11-17 2001-11-17 열선이 내장된 컵 KR200266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416U KR200266381Y1 (ko) 2001-11-17 2001-11-17 열선이 내장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416U KR200266381Y1 (ko) 2001-11-17 2001-11-17 열선이 내장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381Y1 true KR200266381Y1 (ko) 2002-03-02

Family

ID=7305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416U KR200266381Y1 (ko) 2001-11-17 2001-11-17 열선이 내장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3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41B1 (ko) 2007-08-06 2009-08-12 임혜련 뜸용 밀랍 가열장치를 이용한 뜸방법
WO2015069073A1 (ko) * 2013-11-11 2015-05-14 정준유 커플컵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41B1 (ko) 2007-08-06 2009-08-12 임혜련 뜸용 밀랍 가열장치를 이용한 뜸방법
WO2015069073A1 (ko) * 2013-11-11 2015-05-14 정준유 커플컵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0614A (en) Electric drinking cup for vehicles
US20110219956A1 (en) Beverage dispenser
KR200266381Y1 (ko) 열선이 내장된 컵
US6578467B1 (en) Electrical beverage making apparatus
KR20130103860A (ko) 일회용 페트병을 이용한 터보보온포트
KR200449800Y1 (ko) 전기보온컵
GB2419806B (en) Electric beverage maker
CN215126903U (zh) 便携式烧水保温一体杯
JP3156656B2 (ja) 電気貯湯容器
JP2004195054A (ja) 保温器
KR102497819B1 (ko) 보냉온 및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US4061128A (en) Hand-warming and liquid-heating device
KR200188871Y1 (ko) 용기
CN209018321U (zh) 可快速降温的保温杯及应用于可快速降温的保温杯的内胆
KR20230162765A (ko) 보온 보냉의 기능을 가지는 컵홀더
KR102309530B1 (ko) 온도 유지 컵
KR102220079B1 (ko) 발열체가 구비된 음료 용기 세트
JP5511036B2 (ja) ハーブティー混合物の突然の体積膨張を解消するハーブティーマシン
KR940004398Y1 (ko) 가열용기
KR200252369Y1 (ko) 소형 전열포트
JP3056123U (ja) 酒類の保温・燗つけ器具
JPH0718334Y2 (ja) 電気貯湯容器
JPS605867Y2 (ja) 自動注湯器
KR20110006041U (ko) 자체발열기능을 가진 일회용 컵
JP2002325671A (ja) コ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