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50Y1 -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50Y1
KR200266250Y1 KR2020010026650U KR20010026650U KR200266250Y1 KR 200266250 Y1 KR200266250 Y1 KR 200266250Y1 KR 2020010026650 U KR2020010026650 U KR 2020010026650U KR 20010026650 U KR20010026650 U KR 20010026650U KR 200266250 Y1 KR200266250 Y1 KR 200266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gnal
control unit
relay
multiple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버알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버알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버알닷컴
Priority to KR2020010026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50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지문 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 락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어시스템은 지문입력 및 사용자 인증, 각종 제어신호을 생성하는 주제어부, 도어들이 소정수 단위로 각각 집합된 제 1 내지 N 개의 도어그룹, 주제어부에 접속되어 각종 제어신호들을 이용하여 제 1 내지 N 개의 도어그룹들을 각 그룹 단위로 액세스 제어하는 제 1 내지 N 다중 액세스 제어부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하드웨어적 구성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도어의 갯수에 따라 필요한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수를 변화시켜감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DOOR-LOCK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LURAL DOOR-LOCKS USING ONE FINGERPRINT SENSOR}
본 고안은 지문 인식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지문 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회사는 물론 가정까지 외부인으로부터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각종 정보의 유출을 막기 위한 수단이 중요하게 인식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도어-락 제어시스템 기술은 현저하게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 방식 또한, 수동으로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에서부터 지문을 인식하여 도어를 잠그는 방식까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장치가 특히 각광받고 있는데, 이는 지문을 이용할 경우, 종래의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소 할 수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즉,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개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열쇠의 도용, 분실, 위조 등의 우려가 항상 상존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고,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비밀번호의 망각, 도용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지문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상당히 감소된다. 이는 지문의 일반적인 특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지문은 일반적으로, 손가락에는 100 여개의 특징점들이 분포하고, 사람마다 그 종류와 위치가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점의 위치와 방향을 이용하여 통상 50 내지 60 % 이상 특징점이 일치하면 동일한 지문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그 정확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지문인식 도어-락 장치를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지문을 메모리에 저장시켜 놓은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하고자 할 경우 지문을 도어에 인식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문과 동일하면 도어를 열고, 그렇지 않으면 도어를 열리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시스템은 하나의 지문인식기에 하나의 도어-락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지문인식기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갯수에 따라 필요한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수를 변화시켜감으로써, 효율적으로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도어-락을 다중액세스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어하면서, 이와 동시에 특별한 구성적 첨가 없이 별개로 하나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작은 크기로 제작가능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지문입력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각종 제어신호을 생성하기 위하여, 저장, 연산등의 일련의 역할을 수행하는 주제어부; 도어들이 소정수 단위로 각각 집합된 제 1 내지 N 개의 도어그룹; 및 주제어부에 접속되어 각종 제어신호들을 이용하여 제 1 내지 N 개의 도어그룹들을 각 그룹 단위로 액세스 제어하는 제 1 내지 N 다중 액세스 제어부을 구비하는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제어부은, 각종 연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제어부에 접속되어, 지문입력을 받고 지문인증을 하는 지문인식기; 지문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제 1 내지 N 개의 도어그룹들과는 별도로 1 개의 도어의 시금을 제어하기위한 릴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내지 N 다중 액세스 제어부 각각은, 자신의 다중 액세스 제어부에 접속된 도어그룹의 시금에 관한 제어신호 인지를 비교하여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식별부; 신호식별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신호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소정신호를 디먹스(DEMUX)하여,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 제어부; 릴레이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 2 신호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소정신호를 비교하여 특정 도어그룹들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 그룹; 및 상기 특정 도어그룹의 전자개폐에서 도어의 시금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에어부에 전송하는 확인피드백신호 생성부를 구비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락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도어 락 제어시스템 중에서 도어 락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락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 은 도 1 의 도어-락 제어시스템 중에서 제 1 내지 N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구성을 개락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4a 는 도 3 의 다중액세스 제어부 중에서 신호식별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b 는 도 3 의 다중액세스 제어부 중에서 릴레이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c 는 도 3 의 다중액세스 제어부 중에서 확인피드백 신호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도어-락 제어시스템 10 : 제어부
15 : 도어 201내지 20N: 다중액세스 제어부
301내지 30N: 도어그룹 110 : 제어부
120 : 지문인식모듈 130 : 지문인식센서
140 : 지문인식기 150 : 릴레이
160 : 부저 170 : 키보드
180 : 확장UART 190 : 메모리
210 : 신호식별부 220 : 릴레이 제어부
230 : 릴레이 그룹 240 : 확인피드백 신호 생성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어-락 제어시스템(1)은 지문을 입력받아 인증 절차를 거쳐 제어신호 등을 전송하는 주제어부(10), 주제어부(10)으로부터 제어신호 등을 입력받아 도어그룹의 잠금 기능등을 수행하는 제 1 내지 N 다중액세스 제어부(201내지 20N), 및 제 1 내지 N 도어그룹들(301내지 30N)을 구비한다.
또한, 도어-락 제어시스템(1)은 주제어부(10)에 접속되어 다중액세스 제어부(201내지 20N)의 제어와는 무관하게 잠금기능이 수행되는 1 개의 도어(15), 또는 주제어부(10)에 접속되어 근태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PC(2)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통하여 복수개의 도어의 시금을 제어하는 대락적인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제어부(10)에서 사용자 지문인증을 통해 사용이 허락되면, 주제어부(10)는 주제어부(10)와 접속된 제 1 내지 N 다중 액세스 제어부(201내지 20N)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러한 제어신호를 통해서 제 1 내지 N 도어그룹들(301내지 30N)의 개폐가 제어된다. 또한, 이러한 제 1 내지 제 N 다중액세스 제어부(201내지 20N)는 순서대로 하나씩 도어그룹(301내지 30N)에 접속되어 도어그룹을 제어하도록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주제어부(10)는 제 1 내지 제 N 다중액세스 제어부(201내지 20N)와 접속되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1 개의 도어(15)와 접속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에 도시된 주제어부(10), 제 1 내지 제 N 다중액세스 제어부들(201내지 20N), 제 1 내지 N 도어그룹들(301내지 30N) 등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c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제어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제어부(10)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Micro Processing Unit)(110)는 도어-락 제어시스템(1)을 통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행하는 기능들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지문인식기(140)로부터의 사용자 인증 신호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부터 이 사용자가 관리가능한 특정 도어(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제 1 도어그룹의 제 5 번째 도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메모리(190)에 저장되어 있다)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90)에서 불러온 다음, 이 정보를 바탕으로 상술한 특정 도어의 제어를 담당하는 다중액세스 제어부에 잠금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출력 받아 기억, 제어, 연산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술함).
한편, 지문인식기(140)는 사용자로부터의 지문데이터를 입력 받는 지문인식센서(130) 및 지문인식센서(130)로부터 인식된 지문을 통해서 사용자 인증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문인식 모듈(120)을 구비하고, 구체적으로는 공지된 제품을 이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NITGEN사의 모델명 'FDAΦ1'를 사용하였다. 지문인식모듈(120)과 제어부(110)은 RS-232C 통신으로 서로 접속되며, 제어부(110)는 확장UART 를 통해서 지문인식모듈(120)을 제어하게 된다.
릴레이(150)는 1 개의 도어(15)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로, 제 1 내지 제 N 다중액세스 제어부(201내지 20N)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1 개의 도어(15)를 제어할 때 이용된다. 이러한 릴레이(150)는 도어(15)의 전자개폐장치(미도시)와 접속되어 도어(15)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메모리(190)는 제어부(110)에 접속되어, 사용자 관련 정보, 각종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여, 제어부(110)에서 관련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저(160)는 지문인식기(140)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청각적으로 안내메시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키보드(170)는 제어부 (110) 와 플랫케이블을 통해서 접속되어 사용자 관련 정보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170)의 입력을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에 대한 각종정보,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도어에 대한 정보 등은 메모리(190)에 입력되어 필요시에 제어부(110)로 전송되어 진다.
한편, 제어부(110)의 확장UART(180)를 통해 PC(2)가 접속되어, 근태관리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PC 가 연결되면, 또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각종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N 다중액세스 제어부들(201내지 20N)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N 개의 다중액세스 제어부 중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 만을 도시하였다. 다른 N-1 개의 다중액세스 제어부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중액세스 제어부(201내지 20N)는 주제어부(1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N 개의 다중제어부 중 자신의 시스템에 대한 제어신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자신의 시스템에 대한 제어신호인 경우 릴레이 구동신호 (Relay_EN)를 출력하는 신호식별부(210), 신호식별부(210)로부터 릴레이 구동신호(Relay_EN)를 입력받고, 주제어부(10)의 제어부(110)로부터 릴레이 선택신호(Relay_SELT)를 입력받아, 그 신호로부터 릴레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Relay_ON 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 제어부(220), Relay_ON 신호가 도착했을때 각 도어의 전자개페회로를 작동시키는 릴레이 그룹(230), 및 각 도어그룹으로부터 전자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인피드백 신호생성부(240)를 구비한다.
이하,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 를 참조하여 다중액세스 제어부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는 신호식별부(210)를 도시하고 있다. 신호식별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부(10)(상세히 말하면, 제어부(110))에서 출력하고, 특정한 다중액세스 제어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비교기(214)의 한쪽 단자에 입력받고, DIP 스위치(212)에 의해 자신의 다중액세스 제어부에 대한 정보를 다른 단자에서 입력 받아, 이들 양자의 신호를 비교기(214)를 통한 비교연산을 통해서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에 대한 제어신호인 경우에만 릴레이 제어부(220)에 Relay_EN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주제어부(10)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인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단자의 입력신호가 서로 일치하게 되므로, Relay_EN 신호가 출력된다.
DIP 스위치(212)는 수동으로 조작가능하며, 다중액세스 제어부은 이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서 제 1 내지 N 중 특정 다중액세스 제어부 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여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를 단순한 DIP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서 다른 다중액세스 제어부로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숫자를 늘려갈 수 있다. 한편, 주제어부(10)(상세히 말하면, 제어부 (11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제 1 이외의 다중액세스 제어부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인 경우는 제 1 다중 액세스 제어부의 비교기(214)를 통해서는 Relay_EN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도 4b 의 릴레이 제어부(2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만을 도시하였지만, 도어그룹당 도어의 갯수(즉, 릴레이 갯수) 만큼의 디먹스(224)가 존재한다. 신호식별부 (210)로부터 출력되는 Relay_EN 신호와 주제어부(10)의 제어부 (110)로부터의 Relay_SELT 신호를 디먹스(DEMUX)하여, Relay_ON 신호를 릴레이 그룹(23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어그룹당 도어가 8 개 라고 가정하면, 도 4b 의 디먹스(224)는 8 개가 존재하며, 그 각각은 공통의 Relay_ON 신호를 가지는 한편, 특정 릴레이를 선택하기 위해 제어부(110)로부터의 Relay_SELT 신호가 각각 8 개의 디먹스(224) 한쪽 단자에 접속된다. 즉, Relay_ON 신호는 다중액세스 제어부(즉, 도어그룹) 특정화하는데 필요한 신호이고, Rely_SELT 신호는 릴레이를 특정화하는데 필요한 신호이다. 이러한 Relay_ON 신호는 접속된 릴레이 그룹 중의 특정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그 릴레이와 접속된 도어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1 개의 다중엑세스 제어부당 8 개의 릴레이가 그룹으로 형성되어 있는 릴레이 그룹(230)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그룹(230)은 릴레이 제어부(220)에서 출력된 Relay_ON 신호가 특정의 릴레이를 구동시켜서 도어의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c 의 확인피드백 신호생성부(240)는 주제어부(10)의 제어부 (110)로부터의 Relay_SELT 와 도어의 전자계폐장치(미도시)에 장착되어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LIMIT 스위치(242)의 신호를 입력받아서, 비교기(244)에서 일치 유무를 통해서 도어의 개폐여부를 피드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피드백 신호(Lock_FB)는 주제어부(10)의 제어부(110)로 전송된다. 이러한 확인피드백 신호생성부(240)는 도 4b 의 디먹스(224)와 마찬가지로 각 도어에 하나씩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그룹 당 도어가 8 개 라고 가정하면, 도 4c 의 확인피드백 신호 생성부(240)는 8 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각각은 도어그룹의 각 도어로부터의 LIMIT 입력 신호와 제어부(110)로부터 특정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1 개의 Relay_SELT 신호를 입력받아 양 신호로부터 도어의 개폐 여부를 나타내는 Lock_FB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반드시 각 도어그룹의 도어당 하나씩 확인피드백 생성부(240)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도어그룹당 하나씩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상의 차이점을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동작의 일련의 과정을 일실시예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예를 들어, 다중액세스 제어부 및 도어그룹의 갯수는 각각 2 개이고, 확인피드백 신호생성부(240)는 다중액세스 제어부당 1 개씩 있으며, 각 도어그룹에는 8개의 도어들이 들어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는 제 2 도어그룹의 5 번째 도어를 제어할 수 있는 인증을 받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정보는 키보드(170)등을 통해서 제어부(110)에 입력되어 메모리(19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지문인식기(140)에 지문을 입력하고 인증절차를 거쳐 승낙을 받으면, 제어부(110)는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선택신호를 제 1 및 제 2 다중액세스 제어부에 전송하고, 5 번째 릴레이 선택신호(Relay_SELT)를 각 릴레이제어부(220) 와 확인피드백신호 생성부(24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신호식별부(210)는 내장한 DIP 스위치의 신호와 제어부(110)에서의 신호가 일치하므로, 비교기(214)를 통해 Relay_EN 신호를 릴레이제어부(220)에 전송하고, 제 2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신호식별부에서는 비교기를 통해서 Relay_EN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다중제어부에 접속된 도어가 개폐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그 후,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릴레이제어부(220)의 8 개의 디먹스(214)는 비교기(214)를 통해서 출력된 Relay_EN 신호와 제어부를 통해서 전송된 릴레이 선택신호(Relay_SELT)를 디먹스하여 오직 5 번째 도어와 접속된 디먹스(214)에서만 Relay_ON 신호가 출력되고, 이 Relay_ON 신호는 5 번째 도어를 제어하는 릴레이를 ON 시켜서, 그 결과 5 번째 도어가 개폐 된다. 즉,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선택신호는 사용자에게 허가된 다중액세스 제어부가 몇번째 다중액세스 제어부 인가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릴레이 선택신호(Relay_SELT)는 사용자에게 허가된 릴레이가 몇번째 릴레이 인가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확인피드백신호 생성부(240)는 LIMIT 스위치신호 입력과 제어부로부터의 Relay_SELT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기(242)에서 비교하여 도어가 열렸는지, 닫혔는지를 평가하는 Lock_FB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즉, 5 번째 도어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경우, 오직 5 번째 도어와 연결된 도어 개폐전자장치(미도시)에 접속된 LIMIT 스위치로부터의 열림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5 번째 릴레이 선택신호(relay_SELT)와 비교하여 개폐 여부를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1 개의 도어만을 제어하도록 기술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2 개 이상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 1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5 번째 도어와 제 2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2 번째 도어를 모두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좀 더 설명하면, 사용자가 동시에 2 개 이상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도 구현가능하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1 번째 도어그룹의 5 번째 도어와 2 번째 도어그룹의 2 번째 도어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선택신호와 릴레이 선택신호(RElay_SELT)를 순차적으로 인가함에 따라서, 이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3 개 이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제 1 내지 다중액세스 제어부(201 내지 20N)는, 그 갯수(N) 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특히, 제어되는도어의 갯수에 따라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어그룹이 8 개의 도어들로 이루어져 있고, 만약, 16 개 의 도어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는, 2 개의 도어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2 개의 다중액세스 제어부으로 도어들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갯수에 따라 필요한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수를 변화시켜감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실시예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 및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하드웨어적 구성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도어-락을 다중액세스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어하면서, 이와 동시에 특별한 구성적 첨가 없이 별개로 하나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시스템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갯수에 따라 필요한 다중액세스 제어부의 수를 변화시켜감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통하여 다수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어-락 제어시스템은,
    지문입력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대한 제어신호을 생성하기 위하여, 저장, 연산 등의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주제어부;
    상기 도어들이 소정수 단위로 각각 집합된 하나 이상의 제 1 내지 N 개의 도어그룹; 및
    상기 주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도어그룹들을 각 그룹 단위로 상기 도어들에 대한 도어-락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내지 N 다중 액세스 제어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N 다중 액세스 제어부 각각은,
    자신의 다중 액세스 제어부에 접속된 도어그룹 중의 도어-락에 관한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식별부;
    상기 신호식별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신호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를 디먹스(DEMUX)하여,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 제어부;
    상기 릴레이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 2 신호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를 비교하여 특정 도어들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 그룹;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와 LIMIT 스위치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서, 상기 특정 도어의 전자개폐에서 도어-락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주제어부에 전송하는 확인피드백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특정 도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연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지문입력을 받고 지문인증을 하는 지문인식기;
    상기 지문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 1 내지 N 개의 도어그룹들과는 별도로 1 개의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KR2020010026650U 2001-08-31 2001-08-31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KR200266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50U KR200266250Y1 (ko) 2001-08-31 2001-08-31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50U KR200266250Y1 (ko) 2001-08-31 2001-08-31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250Y1 true KR200266250Y1 (ko) 2002-02-27

Family

ID=7310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50U KR200266250Y1 (ko) 2001-08-31 2001-08-31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192B1 (ko) 2008-06-02 2010-10-20 주식회사 카드토피아 생체 인증을 이용한 멀티 액세스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192B1 (ko) 2008-06-02 2010-10-20 주식회사 카드토피아 생체 인증을 이용한 멀티 액세스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2881A1 (en) Authorisation System and a Method of Authorisation
MXPA03010049A (es) Sistema de control de acceso a tarjeta inteligente.
US20020067245A1 (en) Voice Activated remote keyless entry fob
CN106327648A (zh) 具有远程控制功能的社区门禁锁具系统
KR100353422B1 (ko) 지문인식 도어-락(Lock) 구동 제어 방법
US9317982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Govindraj et al. Smart door using biometric NFC band and OTP based methods
EP1816610A2 (en)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for setting up unlocking condition and method thereof
KR200266250Y1 (ko) 하나의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도어-락을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시스템
KR100353423B1 (ko) 지문인식 도어-락(Lock) 구동 제어 방법
KR100894421B1 (ko) 지문 인증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사용자 인증 방법
CN1717692A (zh) 特别是在过程自动化技术设备的情况中用于用户身份识别的方法
CA2256809C (en) Biometric input device for security system
KR101075862B1 (ko) 출입 통제 통합 시스템
KR20020011666A (ko)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5004A (ko) 지문이 조합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Anaza et al. A review of intelligent lock system
CN106204865A (zh) 一种具有远程控制功能的社区门禁锁具系统
KR20040041757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CN113266211B (zh) 一种保险箱多组密码系统及方法
KR100411392B1 (ko) 핸드 헬드 프로그래머를 구비한 도어 보안장치
KR102348441B1 (ko)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130126357A (ko) 도어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