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33Y1 - 배수용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용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33Y1
KR200266233Y1 KR2020010038640U KR20010038640U KR200266233Y1 KR 200266233 Y1 KR200266233 Y1 KR 200266233Y1 KR 2020010038640 U KR2020010038640 U KR 2020010038640U KR 20010038640 U KR20010038640 U KR 20010038640U KR 200266233 Y1 KR200266233 Y1 KR 200266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ent
trap
drain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달종
Original Assignee
윤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달종 filed Critical 윤달종
Priority to KR2020010038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33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이나 호텔과 같은 고층 건물의 욕실 배수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층 건물의 목욕탕 배수용 트랩은 이의 배수관이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의 관 끼움부가 몸체의 저면에 돌출되어 있어 이를 시공할 때는 관 연결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과 슬래브층과의 간격을 넓게 해야 하고, 이와 같이 넓게 하면 실내 공간이 좁아지는 폐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 연결 시는 접착제로 고정하였던 관계로 보수시나 재시공시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몸체(1)의 상부에 형성된 플렌지(1-1)의 나사부(1-2)에는 패킹(8)과 슬라이딩시트(6)를 개재하여 고정구(2)의 나사부(2-1)가 나사 조임되게 하고, 몸체(1)의 내저면 중심부에는 물 고임실(1-5)과 관 끼움부(1-6)를 형성하되, 관 끼움(1-6)에는 오링(7)을 개재한 하수관(10) 또는 "L"형 이음관(11)이 접착제 없이도 끼움 고정되어지게 함으로서 몸체의 높이를 슬래브층의 두께 이하로 최소화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용 트랩{water supplying traps}
본 고안은 다세대 주택이나 호텔 등의 고층 건물에 설치된 욕실 배수 때 주로 사용되는 배수용 트랩(TRAP)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층 건물의 목욕탕 배수용 트랩은 이의 배수관이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의 관 끼움부가 몸체의 저면에 돌출되어 있어 이를 시공할 때는 관 연결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장과 슬래브층과의 간격을 넓게해야 하고, 이와 같이하면 실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 연결 시는 접착제로 고정하였기 때문에 보수시나 재시공시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관 끼움부를 몸체 내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콘크리트 슬래브 면과 천정면과의 간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함과 동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하수관의 연결이 가능케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별도 실시예의 단면 표시도
도 4는 종래의 배수용 트랩의 단면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1-1. 플렌지 1-2. 나사부 1-3. 안치턱
1-4. 유출관 1-5. 물고임실 1-6. 관 끼움부 1-7. 오링 끼움홈
2. 고정구 2-1. 나사부 2-2. 안치턱 2-3. 통공
2-4. 걸림턱 3. 여과판 3-1. 플렌지 3-2. 배수공
3-3. 끼움공 3-4. 여과실 3-5. 손잡이 4. 덮개판
4-1. 통공 4-2. 손잡이부 5.봉수조절캡 5-1. 손잡이
5-2. 유도판 6. 시트 7. 오링 8. 패킹
8-1. 끼움부 9. 방수판 10. 하수관 11. 이음관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로 된 몸체(1)의 상주연에는 나사부(1-2)가 있는 플렌지(1-1)가 형성되고, 몸체(1)의 내저면 중심부에는 물고임실(1-5)과 그 저면에는 관 끼움부(1-6)와 오링 끼움홈(1-7)이 형성되고, 전기한 나사부(1-2)에는 슬라이딩 시트(6) 및 방수판(9)의 끼움부(8-1)가 있는 패킹(8)을 개재한 고정구(2)의 나사부(2-1)가 나사 조임되게 하고, 고정구(2)의 하주연 내측에 형성된 안치턱(2-2)에는 접시 형상으로 된 여과판(3)의 플렌지(3-1)가 안치되고, 이 여과판(3)의 표면에는 다수의 배수공(3-2)이 형성되고, 이의 중심부에 형성된 끼움공(3-3)에는 봉수 조절 캡의 손잡이(5-1)가 돌출되고, 전기한 관 끼움부(1-6)에는 오링(7)을 개재한 하수관(10)이 접착제 없이도 끼움 고정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전기한 관 끼움부(1-6)에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L"자형 하구관 이음구(11)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끼움 고정되어지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이나 호텔과 같은 고층 건물의 욕탕 배수구에 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배수용 트랩인 바, 이를 설치할 때는 도 2 및 도 3 표시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형성된 배수공에 노출되어 있는 방수판(9)을 패킹(8)의 끼움부(8-1)에 끼운 다음 봉수 조절 캡(5)의 유도판(5-2)을 유출관(1-4)에 형성된 안치턱(1-3)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몸체(1)의 상부 플렌지부(1-1)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고정구(2)의 나사부(2-1)를 나사 조임하면 몸체(1)는 슬래브층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하수관(10) 상단부를 오링(7)을 개재시켜 관 끼움부(1-6)에 끼우면 오링 끼움부(1-7)에는 전기한 오링(7)이 밀접되면서 하수관(10)의 끼움 상태를 고정시켜 준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한 고정구(2)의 걸림턱(2-4)에 덮개판(4)을 안치하면 여과판(3)과 덮개판(4) 사이에는 여과실(3-4)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사용할 때는 덮개판(4)의 통공(4-1)을 통해 유입된 폐수는 여과실(3-4) 내에 형성된 배수공(3-2)을 통과하는 과정 폐수 속에 함유된 찌꺼기는 수거되고, 여과된 폐수는 고임실(1-5) 내에 유입된 다음 유도판(1-2)에 의해 유도된 후 유출관(1-4)을 통해 하수관(1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몸체(1)를 보수할 시나 수거할 때는 고정구(2)를 나사 풀림하면 간단히 분리가 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물고임실(1-5) 내측에 관 끼움부(1-6)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몸체(1)의 부피를 슬래브층 두께 이하로 최소화가 가능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인 본 고안은 관 끼움부(1-6)가 몸체(1)의 내부에 형성되게 함으로서 몸체(1)의 높이를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 이하로 하여 공간 이용 범위를 넓혔을 뿐만 아니라, 접착액 없이도 하수관(10)을 연결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보수 시는 재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하용, 상상용 겸용 배수 트랩으로 사용 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몸체(1)의 상부에 형성된 플렌지(1-1)의 내측에 나사부(1-2)를 형성하여 끼움부(8-1)가 있는 패킹(8)과 시트(6)를 개재한 고정구(2)의 나사부(2-1)가 나사 조임되게 하고 고정구(2)의 안치턱(2-2)에는 덮개판(4)이 있는 여과판(3)이 안치되고 이 유출관(1-4)의 안치턱(1-3)에는 봉수조절캡(5)이 안치되어지게 한 것에 있어서 몸체(1)의 내저면 물고임실(1-5) 내측에 관 끼움부(1-6)를 형성하여 이에 오링(7)을 개재한 하수관(10) 또는 "L"형 관 이음관(11)이 끼움 고정되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 배수용 트랩.
KR2020010038640U 2001-12-14 2001-12-14 배수용 트랩 KR200266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640U KR200266233Y1 (ko) 2001-12-14 2001-12-14 배수용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640U KR200266233Y1 (ko) 2001-12-14 2001-12-14 배수용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233Y1 true KR200266233Y1 (ko) 2002-02-27

Family

ID=7307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640U KR200266233Y1 (ko) 2001-12-14 2001-12-14 배수용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10595A2 (en) Floor drain
JP2015507113A (ja)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GB2475297A (en) Clogging resistant drain
KR200266233Y1 (ko) 배수용 트랩
JPH0322372Y2 (ko)
CA306093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tub drain to the main plumbing of a structure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RU2428547C2 (ru) Дренажная выпускная труба со встроенным фиксатором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м оборудовании
WO2015167162A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EP0138796A1 (en) Drain trap sanitary apparatus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RU2219314C2 (ru) Сифон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KR10141531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중트랩 층상배관장치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100962021B1 (ko) 배수 트랩 시스템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200166993Y1 (ko) 베란다용 하수관의 y형 연결구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120010320A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265343Y1 (ko) 트랩을 겸한 건축용 슬리브
JPS6239161Y2 (ko)
KR200284856Y1 (ko) 트랩을 겸한 건축용 슬리브
JPH01418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