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156Y1 -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 Google Patents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156Y1
KR200266156Y1 KR2020010036648U KR20010036648U KR200266156Y1 KR 200266156 Y1 KR200266156 Y1 KR 200266156Y1 KR 2020010036648 U KR2020010036648 U KR 2020010036648U KR 20010036648 U KR20010036648 U KR 20010036648U KR 200266156 Y1 KR200266156 Y1 KR 200266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nsertion hole
support rod
fitted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암
Original Assignee
김용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암 filed Critical 김용암
Priority to KR2020010036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156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의 버스승강장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버스노선번호와 버스노선도 및 현위치에 대한 지역안내도 등과 같은 용도를 달리하는 안내용 표지판들이 단일구조물에 병행하여 설치됨과 안내용 표지판들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동일용도의 안내용 표지판들의 증감에 따라 가변적으로 안내용 표지판들의 설치가 조립식에 의해 용이하게 증감되는 것을 목적으로한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보울팅 결합되는 돌출테상에 세워진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일체로 갖추어짐과 양측에 융기된 고정돌기를 형성한 하부지지봉과, 양측에 고정홈을 형성한 상부지지봉과, 하부지지봉과 상부지지봉 사이에 양립되도록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조립홈 및 고정홈에 끼워지는 조립돌기를 형성한 설치봉들을 갖추고, 상기 설치봉들이 적층되는 구조로 조립돌기와 조립홈이 상호 끼워지도록 형성함과 양립된 설치봉들의 측면을 관통한 삽입홀을 형성하여 상부안내표지판이 삽입홀을 통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상부안내표지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Standing signboard for guide of a bus stop}
본 고안은 도로변의 버스승강장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버스노선번호와 버스노선도 및 현위치에 대한 지역안내도 등과 같은 용도를 달리하는 안내용 표지판이 단일구조물에 병행하여 설치되는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내용 표지판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함과 동일용도의 안내용 표지판의 증감에 따라 가변적으로 안내용 표지판의 설치구조가 조립식에 의해 용이하게 증감되는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서와 같이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버스노선번호와 버스노선도 등을 알리는 안내표지대(10)는 도로변에 앵커볼트(2)로 설치되는 프레임(4)상에 양립하여 세워짐과 상단이 포크형상으로 분기된 강관(6)들이 설치되어 이 강관(6)의 상측에 상부표지판(8)과 하부표지판(12)을 볼트(14)로 체결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10)는 분기된 강관(6)들의 상측에 브라켓(16)을 이용하여 상부표지판(8)을 볼트(14)로 체결함과 강관(6)들의 대략 중앙지점에 하부표지판(12)을 볼트(14)로 체결하여, 상기 상부표지판(8)에 버스노선을 알리는 다수의 버스노선번호를 마킹 또는 페인트로 표기하고 하부표지판(12)에 버스노선에 따른 버스노선도를 마킹 또는 페인트로 표기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10)는 상하부표지판(12)의 설치 및 교체작업에서 볼트(14)와 같은 별도의 체결도구를 사용하여 설치 및 교체작업의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상부표지판(8)이 일률적인 면적을 갖추고 있어서, 버스노선이 상부표지판(8)의 면적에 대해 많아지는 경우 기재의 어려움이 있고, 작은 경우 상부표지판(8)의 불필요한 면적에 대해 자원이 낭비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변의 버스승강장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버스노선번호와 버스노선도 및 현위치에 대한 지역안내도 등과 같은 용도를 달리하는 안내용 표지판들이 단일구조물에 병행하여 설치됨과 안내용 표지판들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동일용도의 안내용 표지판들의 증감에 따라 가변적으로 안내용 표지판들의 설치가 조립식에 의해 용이하게 증감되는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와 도3은 본 고안의 안내표지대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안내표지대의 상부안내구조물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2의 A - A 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안내표지대의 하부안내구조물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2의 B - B 선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부안내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50 : 안내표지대 60 : 지주
120 : 하부지지봉 122 : 고정돌기
140 : 상부지지봉 160 : 설치봉
162 : 조립홈 164 : 조립돌기
166 : 삽입홈 170 : 상부안내표지판
220 : 체결면 222 : 테두리
224 : 슬라이드홈 240 : 하부안내표지판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지면에 보울팅 결합되는 돌출테(70)상에 세워진 지주(60)와,지주(60)의 상단에 일체로 갖추어짐과 양측에 융기된 고정돌기(122)를 형성한 하부지지봉(120)과, 양측에 고정홈(142)을 형성한 상부지지봉(140)과, 하부지지봉(120)과 상부지지봉(140) 사이에 양립되도록 고정돌기(122)에 끼워지는 조립홈(162) 및 고정홈(142)에 끼워지는 조립돌기(166)를 형성한 설치봉(160)들을 갖추고, 상기 설치봉(160)들이 적층되는 구조로 조립돌기(166)와 조립홈(162)이 상호 끼워지도록 형성함과 양립된 설치봉(160)들의 측면을 관통한 삽입홀(166)을 형성하여 상부안내표지판(170)이 삽입홀(166)을 통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홀(166)을 통해 삽입된 상부안내표지판(170)의 이탈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지주(60)의 하측에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착탈되기 위한 수단으로 지주(60)에 나사(226)로 체결되는 체결면(220)을 갖춘 테두리(222), 이 테두리(222)와 체결면(220) 사이에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되는 일측이 개구된 슬라이드홈(2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지주(60)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상부안내표지판(170)과 하부안내표지판(240)의 착탈이 조립식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상부안내표지판(170)의 증감에 따라 상부안내표지판(170)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봉(160)의 유기적인 결합 및 분해가 조립식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데 있다.
도2에서 부호 50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전체를 나타낸것으로서, 버스승강장 안내표지대(50)는 앵커볼트(80)로 보올팅되어 지면에 결합되는 돌출테(70)를 하단에 구비한 지주(60)와, 지주(6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안내표지판(170)이 조립식으로 착탈되는 상부안내구조물(100)과, 지주(60)상에 결합되어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조립식으로 착탈되는 하부안내구조물(200)의 구성을 제공한다.
도2에서 상부안내구조물(100)은 지주(60)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된 하부지지봉(120)과, 하부지지봉(120)의 양측에 양립된 상태로 적층되어 상부안내표지판(170)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되는 설치봉(160)과, 양립된 설치봉(160)의 상단을 연결하여 설치봉(160)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상부지지봉(140)과, 설치봉(160)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 상부안내표지판(170)의 이탈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으로 구성한다.
도2에서 잠금수단은 설치봉(16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부안내표지판(170)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삽입홀(166)을 일정 범위 차단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설치봉(160)의 외주연에 설치된 힌지(180)와, 힌지(180)에 체결되어 힌지(18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삽입홀(166)을 일정범위 차단하는 잠금부재(182)로 구성한다.
도2에서 하부안내구조물(200)은 지주(60)의 하측에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착탈되기 위한 수단으로 지주(60)에 체결되는 체결면(220)을 갖춘 테두리(222)의 측면에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되는 슬라이드홈(224)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도2에서 나타낸 상부안내구조물(100)과, 하부안내구조물(200)의 결합 및 사용 상태의 구성을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과 도4에서 상부안내구조물(100)은 지주(60)의 상단에 구비된 하부지지봉(120)이 지주(60)와 일체물로 성형과정에서 갖추어진 것이나, 이는 별도의 부재로하여 보울팅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하여도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하부지지봉(120)은 양측에 상부로 융기된 고정돌기(122)를 형성한다.
하부지지봉(120)의 양측에 세워져 결합되는 설치봉(160)은 하단에 하부지지봉(120)의 고정돌기(122)에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홈(162)을 하단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122)에 조립홈(162)이 끼워짐으로써 하부지지봉(120)과 설치봉(16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설치봉(160)의 상단에는 상부로 융기된 조립돌기(166)를 형성하고, 상부지지봉(140)의 양측에는 하부로 열린 고정홈(142)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돌기(166)에 고정홈(142)이 끼워짐으로서 설치봉(160)과 상부지지봉(14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설치봉(160)들의 적층은 설치봉(160)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홈(162)과 상단에 형성한 조립돌기(166)가 서로 끼워질 수 있는 형합구조로 형성함으로서, 설치봉(160) 상단의 조립돌기(166)에 다른 설치봉(160)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홈(162)이 끼워지는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설치봉(160)들의 적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적층구조를 갖는 설치봉(160)들은 상부지지봉(140)과 하부지지봉(120) 사이에 양립되어 적층되는 것으로서, 양립된 설치봉(160)들 중 어느 하나의 설치봉(160) 측면에 관통된 삽입홀(166)을 형성함과 다른 설치봉(160)의 측면에 삽입홀(166)에 대응하는 삽입홈(168)을 형성한다.
이에 상기 삽입홀(166)을 통해 상부안내표지판(170)이 삽입된 후 삽입홈(168)과 삽입홀(166)에 상부안내표지판(170)의 양측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잠금수단인 잠금부재(182)가 힌지(18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삽입홀(16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3과 도5에서 하부안내구조물(200)은 테두리(222)와 이 테두리(222)의 배면에 구비되어 지주(60)에 나사(226)로 체결되는 체결면(220)을 갖춘 구성으로, 테두리(222)와 체결면(220)은 일체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두리(222)와 체결면(220)은 일측면이 개구된 슬라이드홈(224)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 슬라이드홈(224)으로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출입된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부안내구조물(10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부안내구조물(100)의 양립된 설치봉(160)들이 삽입홀(166)과 삽입홈(168)을 형성하여 상부안내표지판(170)이 일측으로만 출입하는 것에 대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립된 설치봉(160)들 모두 삽입홀(166)을 형성하여 상부안내표지판(170)이 양측으로 출입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안내구조물(100)의 구성인 지주(60), 하부지지봉(120), 상부지지봉(140), 설치봉(160)의 적층구조, 잠금수단은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한 지주(60), 상부안내구조물(100), 하부안내구조물(200) 등의 구성 요소의 재료는 철재 또는 수지재 등 모두가 가능함으로써, 버스승강장 주변의 설치요건에 대해 적절한 재료의 선택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버스노선번호가 기재되는 상부안내표지판(170)의 증감에 따라 설치봉(160)의 적층 수요를 조절하여 버스노선번호의 기재를 위한 최적의 면적을 제공한다.
또한 상부안내표지판(170)을 포함한 버스노선도가 기재되는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되고, 설치봉(160)의 결합 또는 분리가 조립식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변의 버스승강장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버스노선번호와 버스노선도 및 현위치에 대한 지역안내도 등과 같은 용도를 달리하는 안내용 표지판들이 단일구조물에 병행하여 설치됨과 동일용도의 안내용 표지판들의 증감에 따라 가변적으로 안내용 표지판들의 설치가 조립식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서, 공간점유율을 최적적화할 수 있음과 설치 및 교체에 따른 작업이 간단해 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면에 보울팅 결합되는 돌출테(70)상에 세워진 지주(60)와,
    지주(60)의 상단에 일체로 갖추어짐과 양측에 융기된 고정돌기(122)를 형성한 하부지지봉(120)과,
    양측에 고정홈(142)을 형성한 상부지지봉(140)과,
    하부지지봉(120)과 상부지지봉(140) 사이에 양립되도록 고정돌기(122)에 끼워지는 조립홈(162) 및 고정홈(142)에 끼워지는 조립돌기(166)를 형성한 설치봉(160)들의 구성과,
    상기 설치봉(160)들이 적층되는 구조로 조립돌기(166)와 조립홈(162)이 상호 끼워지도록 형성함과 양립된 설치봉(160)들의 측면을 관통한 삽입홀(166)을 형성하여 안내용 상부표지판(8)이 삽입홀(166)을 통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홀(166)을 통해 삽입된 상부안내표지판(170)의 이탈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지주(60)의 하측에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착탈되기 위한 수단으로 지주(60)에 나사(226)로 체결되는 체결면(220)을 갖춘 테두리(222), 이 테두리(222)와 체결면(220) 사이에 하부안내표지판(240)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되는 일측이 개구된 슬라이드홈(224)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설치봉(160)들의 측면에 삽입홀(166)에 대응하는 삽입홈(168)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잠금수단은 설치봉(160)의 삽입홀(166)에 인접한 외주면에 힌지(180) 결합되어, 힌지(18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삽입홀(166)을 일정 범위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잠금부재(182)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KR2020010036648U 2001-11-28 2001-11-28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KR200266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48U KR200266156Y1 (ko) 2001-11-28 2001-11-28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48U KR200266156Y1 (ko) 2001-11-28 2001-11-28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156Y1 true KR200266156Y1 (ko) 2002-02-27

Family

ID=7307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648U KR200266156Y1 (ko) 2001-11-28 2001-11-28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1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196Y1 (ko) 2016-01-25 2016-08-26 델리아이 주식회사 버스안내단말기가 구비된 버스표지판
KR200482340Y1 (ko) * 2016-07-14 2017-01-12 정성덕 야외용 바람 가림막 기구
KR102455980B1 (ko) 2022-06-02 2022-10-17 서명순 버스 노선 안내표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196Y1 (ko) 2016-01-25 2016-08-26 델리아이 주식회사 버스안내단말기가 구비된 버스표지판
KR200482340Y1 (ko) * 2016-07-14 2017-01-12 정성덕 야외용 바람 가림막 기구
KR102455980B1 (ko) 2022-06-02 2022-10-17 서명순 버스 노선 안내표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9996B2 (en) Traffic sign device
US6829853B2 (en) Traffic sign device
US20060150572A1 (en) Pole assembly
JPH0754413Y2 (ja) 石材パネルの取付装置
US20040197140A1 (en) Attachable traffic barrier amenities
US20220223993A1 (en) Cellular base station assemblies
CN110093875B (zh) 一种轻量化可升降型材信号灯杆组件
KR200266156Y1 (ko) 버스승강장의 안내표지대
US10886595B1 (en) Outdoor Wi-Fi bollard
KR100705674B1 (ko) 도로표지장치
KR200354125Y1 (ko) 조립식 기초구조
KR101407690B1 (ko) 양개형 다기능 가로등주
KR100705673B1 (ko) 도로표지장치
CN215052084U (zh) 一种混凝土防撞护栏与附属设施间的连接装置
CN213420886U (zh) 一种新型卡槽拓展智慧灯杆
KR101144640B1 (ko) 신호등용 frp 맨홀 조립체
KR200301430Y1 (ko) 교체형 광고판
KR200172583Y1 (ko) 도로 시설물용 받침부재
CN113124361B (zh) 一种拼装式智慧灯杆
KR200265879Y1 (ko) 도로표지판
KR200432635Y1 (ko) 도로 교통 안내 시스템을 부착 및 지지하기 위한 게이트형상의 연속 설치용 스탠딩 구조물
JP3073778U (ja) 道路用視線誘導標
EP3813043A1 (en) Non-intrusive surface mountable tag
KR102048143B1 (ko) 광고물 교체가 용이한 돌출형 간판
KR101871336B1 (ko) 종합폴 지주의 시설물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