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059Y1 - 이중창의 창호부재 - Google Patents

이중창의 창호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059Y1
KR200266059Y1 KR2020010034873U KR20010034873U KR200266059Y1 KR 200266059 Y1 KR200266059 Y1 KR 200266059Y1 KR 2020010034873 U KR2020010034873 U KR 2020010034873U KR 20010034873 U KR20010034873 U KR 20010034873U KR 200266059 Y1 KR200266059 Y1 KR 200266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double
window member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의
Original Assignee
김선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의 filed Critical 김선의
Priority to KR2020010034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059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창을 이루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구성되는 창호부재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옥석이나 맥반석 등을 주원료로 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함은 물론,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실내환경을 좀 더 쾌적하게 할수 있으며, 또한, 창호부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은이나 구리 등과 같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의 분을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실내의 각종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면에 접합될 때에 미끄러지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이중창의 창호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인 이중창의 창호부재는, 사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프레임에 두 장의 유리를 이용하여 실내의 난방열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된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수단인 창호부재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재(50)는, 맥반석분과 옥석분과 같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물질이 혼합되고, 장방형의 사각형상을 갖는 단일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창의 창호부재{DOUBLE WINDOW OF WINDOWS AND DOORS TOOL}
본 고안은 이중창의 창호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창을 구성하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부재의 구성을 맥반석이나 옥석 등과 같이 원적외선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전자파를 차단하는 물질을 혼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하고, 또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실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는 이중창의 창호부재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산업발전에 따른 안락한 주거생활을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건축술의 발전과 더불어 실내의 난방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창문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난방열 손실은 낮추기 위해 하나의 프레임에 두장의 유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이중창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중창문은, 두장의 유리를 일정간격을 갖게하여 유리와 유리 사이에 단순히 공간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며, 도 4는 상기 이중창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내측에 두 개의 끼움부(20)를 형성하고, 이 형성된 두 개의 끼움부(20)에 두장의 유리(1)를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끼움 결합된 두 장의 유리에 의해 실내의 난방열 손실을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 이중창 간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공기가 존재하고 있어 공기를 통한 열 전도도가 높아 열손실이 많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유리와 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연전도도가 낮은 개스(Agron gas, Krypton gas)를 주입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이중창의 난방열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창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상기 진공창은 유리창 사이의 좁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유리창 사이에 존재하는 개스나 공기에서 발생되는 대류나 연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열관류율을 거의 벽체 수준인 0.6∼1.0W/m2K 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호주에서는 유리의 모서리에 저융점 글라스(glass)를 바른 후, 약 500℃의 가열로에 넣어 유리와 유리를 붙이고 진공튜브를 사용하여 공기를 뽑은 후, 튜브를 용접하여 진공창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도 있다.
그러나,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이중창들은, 모두 하나의 프레임에 두 장의 유리를 끼움 결합하여 실내의 열난방열을 높인 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 두 장의 유리가 끼움 결합된 이중창의 구조는, 살기 유리의 내구성이 약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유리가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유리와 유리사이에 창호부재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이중창이 최근들어 사용되고 있다.
도 5는 상기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창을 이루는 유리(1)와 유리(1) 사이에 창호부재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유리들의 내구성을 강화하도록 한다.
상기 창호부재의 구성을 살펴보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91) 내부에 방습제(92)가 중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몸체(91)에 의해 유리(1)와 유리(1) 사이의 공간부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몸체(91) 내부에 중진된 방습제(92)에 의해 상기 유리와 유리의 공간부 습기가 차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창호부재는, 그 몸체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리와 알루미늄과의 상호 호환성이 결여되어 이 창호부재를 유리와 유리사이에 접합하여 설치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접합제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매끄러운 표면과 유리의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 상기 유리와 창호부재간의 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장기간 방치되는 동안, 창호부재와 유리면과의 접합부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창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중창을 이루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구성되는 창호부재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옥석이나 맥반석 등을 주원료로 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함은 물론,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실내환경을 좀 더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창호부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은이나 구리 등과 같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의 분을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실내의 각종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하니라, 유리면에 접합될 때에 미끄러지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이중창의 창호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창의 창호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창의 창호부재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제작과정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이중창의 창호부재에 의해 설치된 이중창의 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이중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또 다른 이중창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창호부재 60 : 프레임
70 : 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이중창의 창호부재는,
사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프레임에 두 장의 유리를 이용하여 실내의 난방열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된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수단인 창호부재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재는, 맥반석분과 옥석분과 같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물질이 혼합되고, 장방형의 사각형상을 갖는 단일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호부재는, 은이나 구리 등과 같은 전자파를 차단하는 물질이 더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지닌 본 고안인 이중창의 창호부재는,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온도의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혼합된 옥석분과 맥반석분 및 은분이나 구리분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실내의 공기를 좀 더 쾌적하게 하며, 또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각종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별도의 수단없이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중창의 창호부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창의 창호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을 갖는 단일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일몸체는 그 길이가 필요에 따라 생산지에서 절단되어 그 크기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창호부재(50)의 형상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각형상으로 하여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유리면들이 접하는 양측부들은, 평면형상을 유지하고, 나머지 면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도 2는 본 고안인 이중창의 창호부재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작공정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인 옥석이나 맥반석등의 가루와 물과 상기 옥석이나 맥반석 등이 견고하게 혼합될 수 있는 접합제를 각각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한다.
상기 접합제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페놀분말수지나 페놀액상수지등을 이용하여도 되고, 이외에도 물질들을 서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집합제는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성형기에 넣고, 압출성형한 후,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적당한 온도에서 건조한 다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성형물은 출하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혼합물들이 서로 견고하게 혼합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설치된 이중창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의 프레임(60)과, 이 프레임의 내측에 구성되는 두 장의 유리(70)들로 이루어진 이중창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두장의 유리와 유리 사이에 본 고안인 이중창의 창호부재(50)를 격자 형식으로 하여 배열한 후, 접합한 것으로, 상기 이중창의 창호부재(50)들에 의해 이중창의 유리들은 견고한 설치가 가능해짐에 따라 그 내구성이 강화된다.
즉, 유리와 유리사이에 창호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리들은, 창호부재에 의해 서로 접합됨으로써 일측의 유리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창호부재가 외력을 흡수하기 때문에, 유리들이 쉽게 깨지거나 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인 이중창의 창호부재의 주재(主材)가 옥석분 또는 맥반석분등과 같은 가루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양측면에 접합되는 유리면과의 접합친화력이 생겨 접합하기가 용이하여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된다.
또한, 상기 이중창의 창호부재에 함침된 옥석분과 맥반석분에 의해 특히, 낮에 햇빛이 상기 이중창을 통과할 경우, 옥석분과 맥반석분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더욱 쾌적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창호부재에 함침된 전자파를 차단하는 물질인 은이나 구리 등에 의해 실내에 구비된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인체에 해로운 전자파를 미리 막아준다.
상기 이중창을 배열함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 형식이 아니더라도 무관한 것으로, 예컨대, 우리나라의 전통문양등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리와 유리사이에 구성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상기 이중창의 창호부재의 배열방식은,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창호부재에 색상을 혼합할 경우, 여름철에 해충 특히, 모기가 실내에 들어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도있다.
예를들어 모기가 주로 어두운 색상을 좋아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창호부재에 밝은 계열의 색상의 염료를 혼합하여 제조하게 되면, 상기 창호부재가 밝은 계통의 색상에 의해 채도와 명도가 높은 밝은 색(파랑색이나 노랑색 등)을 띄기 때문에, 모기등과 같은 해충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되어 특히 여름철에 모기 등과같은 해충이 실내로 인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이중창의 창호부재는, 함침된 성분들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은 물론,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어,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창호부재를 제조할 때에 밝은 계통의 염료를 혼합하여 제조할 경우, 이 밝은 계통의 염료에 의해 실내로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인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프레임에 두 장의 유리를 이용하여 실내의 난방열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된 이중창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수단인 창호부재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재(50)는, 맥반석분과 옥석분과 같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물질이 혼합되고, 장방형의 사각형상을 갖는 단일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의 창호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재(50)는, 은이나 구리 등과 같은 전자파를 차단하는 물질이 더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의 창호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재(50)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싫어하는 색상의 염료가 더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의 창호부재.
KR2020010034873U 2001-11-13 2001-11-13 이중창의 창호부재 KR200266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73U KR200266059Y1 (ko) 2001-11-13 2001-11-13 이중창의 창호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73U KR200266059Y1 (ko) 2001-11-13 2001-11-13 이중창의 창호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059Y1 true KR200266059Y1 (ko) 2002-02-27

Family

ID=7311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873U KR200266059Y1 (ko) 2001-11-13 2001-11-13 이중창의 창호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0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684B1 (ko) 2009-07-29 2011-12-07 서선옥 소음, 진동, 전자파, 시멘트 독성, 결로, 곰팡이 균을 차단하는 공동주택용 테라피 독립 실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684B1 (ko) 2009-07-29 2011-12-07 서선옥 소음, 진동, 전자파, 시멘트 독성, 결로, 곰팡이 균을 차단하는 공동주택용 테라피 독립 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1254B2 (en) System for retrofitting glazing systems of buildings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US4118266A (en) Method for forming an improved insulated metal frame
TW200609300A (en) Rtv silicone composition offering rapid bond strength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FR2762039B1 (fr) Element vitre a haut pouvoir isolant
KR20120021727A (ko) 단열복합의 프로젝트 이중 창
KR101223620B1 (ko) 단열복합의 이중 커튼 월 창
KR200266059Y1 (ko) 이중창의 창호부재
KR100510392B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KR100510826B1 (ko) 복합 창호구조 및 제작방법
DE59510812D1 (de) Fassadenkonstruktion in zweischaliger Bauweise
KR200287608Y1 (ko) 알루미늄과 목재 그리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복합 창호
KR100222731B1 (ko) 건축용황토판넬조성물
CN206397380U (zh) 隔音隔热的复层玻璃窗结构
KR102449318B1 (ko) 분리형 이중창호
KR200326568Y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WO1987005071A1 (en) A glazing unit with steel reinforcement
KR200246107Y1 (ko) 유리창용 조립 문살
CN106193906B (zh) 一种节能窗
KR20190018254A (ko) 단열 창호
KR200397014Y1 (ko)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KR200351475Y1 (ko) 벽면 설치용 단열유리
CN210105625U (zh) 一种嵌装粘接式复合材料型材门窗装置
KR200309001Y1 (ko) 건물용 고정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