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014Y1 -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 Google Patents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014Y1
KR200397014Y1 KR20-2005-0020378U KR20050020378U KR200397014Y1 KR 200397014 Y1 KR200397014 Y1 KR 200397014Y1 KR 20050020378 U KR20050020378 U KR 20050020378U KR 200397014 Y1 KR200397014 Y1 KR 200397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pace
grill
multilayer glass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근
Original Assignee
이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근 filed Critical 이윤근
Priority to KR20-2005-0020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14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 E06B3/6631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E06B3/67317Filling of hollow spacer elements with absorbants; Closing off the spacers thereaf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39Working the edges of already assembled units
    • E06B3/67343Filling or covering the edges with synthetic hardenable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는 주거지역에서 일정한 공간 내부의 영역을 구획시키기 위한 위치에 강화유리(111)와 판유리(112)를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입설시켜 그 사이 내부에 공간부(113)를 형성시킨 복층유리(110)와, 상기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에 내입되도록 격자망 구조로 이루어진 그릴(122)과 그 그릴(122)의 상,하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으로 간봉부(121)를 성형 시키되 간봉부(121)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21a)을 형성시켜 흡수제(121c)를 내입하고 공간부(113)와 흡수제(121c)를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배수공(121b)을 한 쌍의 간봉부(121)의 상,하면 각각에 순차적으로 다수개로 형성시켜 공간부(113) 내부의 습기를 흡수제(121c)로 흡착시키면서 복층유리(11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창호부재(120)와, 상기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 상,하부의 창호부재(120)의 결합부분에 주입시켜 공간부(113)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몰딩제(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Railing combination the for grill and space bar one body of dual glass}
본 고안은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층유리의 내부에 결합하여 복층유리의 간격유지 및 기밀유지를 위한 창호재를 강화플라스틱재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시킴으로서, 열전도율을 최소화하여 결로현상을 최소화하고 창호재의 설치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동일한 규격의 판 유리 2매를 그릴을 사용하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유리와 유리 사이에는 건조 공기를 불어 넣은 후 그 주변을 유기질계 재료로 밀봉 접착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과 미적 효과를 위해 빌딩이나 일반주택의 창, 도로변이나 공항 주변의 건축물 또는 소음차단이 요구되는 곳이나 온도나 습도 조절이 필요한 곳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규격을 갖는 복층의 판 유리와 상기 판유리의 사이와 그 테두리 주변에 설치되는 그릴 및 코너 연결구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창호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그릴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그 내부에 실리카켈 등의 흡수제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흡수제는 판유리 사이의 습기를 제거하여 판유리 내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복층유리는 그릴을 통해 2장의 판유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봉입재에 의해 그 주위가 밀봉되어 있으며, 그릴에 봉입되어 있는 흡수제를 통해 공기층을 건조 상태로 유지하고 있어 이 밀폐된 공기층에 의해 단열효과 및 소음차단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층유리가 장착된 창호는 실내외 간의 온도차 및 그릴의 열전도성으로 인하여 실내 측 판유리의 가장자리에 결로가 우선 발생되며 판유리 내부로의 전이 효과에 의해 판유리 내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판유리 내면의 결로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서, 복층유리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복층유리의 사이에 결합되는 창틀부재는 각각의 부품을 조립식으로 결합시켜 설치하기 때문에 각 부품의 틈새 사이 사이에 습기가 침투되면서 흡수제를 통하여 복층유리의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를 완전 흡착시키기 어려워 결로현상이 완벽하게 해소되지 못하는 동시에 습기를 머금고 있는 그릴의 부식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음 및 단열 차단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복층 유리 사이 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나 조립방식으로 결합 되는 창호의 틈새 공간의 발생에 의해 확실한 진공 상태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각 부품의 조립 틈새를 통하여 소음 및 외부열이 통기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복층 유리의 내부에 창틀부재를 끼움 결합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복층유리 내부에 창틀부재의 설치에 대한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자가 복층유리와 창틀부재를 동시에 들고 조립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항상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설치작업에 투입되어야 함으로서, 인건비 증가 및 설치 작업시간을 지연시켜 공사기간을 연장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복층유리의 창틀부재는 통상적으로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높고 내충격 강도와 접착력, 뒤틀림 및 열손실 등을 발생시켜 복층유리의 창호재에 제품의 불량률을 높임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창호재의 제조 단가를 향상시켜 복층유리의 창호재 제작비용의 상승을 더욱 부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알루미늄 고유의 특징인 높은 열전도성(약 1505 BTU)으로 인하여 겨울철 실내 유리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이는 알루미늄 창호재를 통한 열 손실이 복층유리의 전체 열손실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창틀부재의 조립 불량이 발생할 경우 창틀부재의 강도를 저하시켜 창틀부재를 발코니 또는 난간에 설치할 경우 경계구획에 따른 차단성을 떨어뜨려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복층유리의 사이에 설치되는 간봉부와 그릴을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일체 되게 사출 성형시켜 복층유리 사이에 창호부재의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의 설치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출성형으로 간봉부와 그릴을 일체화시킴에 따라 기존의 조립방식에 의해 발생하는 각 부품의 틈새 공간을 없애 흡수제를 통하여 완벽하게 복층유리의 공간부에 잔존하는 습기를 완전히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복층유리의 공간부 내부가 확실한 진공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소음차단 및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호부재를 열전도율과 연관류율이 낮은 강화 플라스틱재질로 성형 시킴으로서 복층유리의 단열성 및 열차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약형 건축자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출성형으로 창호부재의 형상의 변화를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창호부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층유리의 창호부재에 부품수를 최소화시켜 작업자의 설치작업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수의 인원으로도 설치작업이 가능하여 인건비의 절감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설치작업을 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호부재의 그릴을 격자구조로 간봉부와 일체로 성형시킴으로써, 외부에서의 시야 확보를 보장 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창틀부재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거나 형상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복층유리의 강도보강을 통하여 경계구획의 차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호부재의 내부에 그릴을 보강하여 일체로 형성한 상태의 복층유리를 외측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의 규격화를 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시키고, 난간의 형태로 내측에 그릴을 내장하여 외부에서 가하는 충격이나 아파트 베란다와 같이 높은 장소에서 외측으로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된 그릴과 복층유리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을 방지함에 따라 난간의 역할을 수행하여 원가가 절감되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는 주거지역에서 일정한 공간 내부의 영역을 구획시키기 위한 위치에 강화유리(111)와 판유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입설시켜 그 사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복층유리와, 상기 복층유리의 공간부에 내입 되도록 격자망 형태로 이루어진 그릴과 그 그릴의 상,하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으로 간봉부를 형성시키되 간봉부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흡수제를 내입하고 공간부와 흡수제를 연통되도록 하는 배수공을 한 쌍의 간봉부의 상,하면 각각에 순차적으로 다수개로 형성시켜 공간부 내부의 습기를 흡수제로 흡착시키면서 복층유리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창호부재와, 상기 복층유리의 공간부 상,하부의 창호재 결합부분에 주입되어 공간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몰딩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간봉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시킨 그릴은 간봉부의 상하부에 격자구조 형태로 다수의 층으로 연속적이며 반복적으로 교차되게 형성시킨 다음 수직으로 연결수단을 일체로 성형하여 창호부재를 통하여 복층유리가 설치된 경계구역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시야 확보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몰딩제는 복층유리의 상,하단에는 폴리썰파이드계 실란트 또는 실리콘계 실란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한 몰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킴으로서, 복층유리의 기밀성을 보장받도록 마감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를 부분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는 주거지역에서 일정한 공간 내부의 영역을 구획시키기 위한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입설 시킨 복층유리(110)와, 상기 복층유리(110)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에 결합시킨 흡수제(121c)를 통하여 습기를 흡착시키면서 복층유리(110)의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창호부재(120)와, 상기 창호부재(120)를 복층유리 내부면에 접합하는 동시에 복층유리(11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몰딩제(130)로 구성된다.
상기 복층유리(110)는 영역공간의 내부에는 강화유리(111)를 배치하고 외부에는 판유리(112)를 배치시키되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 되도록 지면에서 입설시키고 그 사이 내부에 공간부(113)를 형성시킨다.
또한, 창호부재(120)는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에 내입되도록 격자망 형태로 이루어진 그릴(122)과 그 그릴(122)의 상,하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시킨 간봉부(12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간봉부(121)를 일체로 사출 성형시킨 그릴(122)은 간봉부 (121)의 상하부에 격자구조 형태로 다수의 층으로 연속적이면 반복적으로 교차되게 형성시킨 다음 수직으로 연결수단(122a)을 일체로 성형하여 창호부재(120)를 통하여 복층유리(110)가 설치된 경계구역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시야 확보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간봉부(121)는 내부에 수납공간(121a)을 형성시켜 흡수제(121c)를 내입하고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와 흡수제(121c)를 상호 연통 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배수공(121b)을 한 쌍의 간봉부(121)의 상,하면에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공간부(113) 내부의 습기를 흡수제(121c)로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몰딩제(130)는 복층유리(110)의 상,하단에는 폴리썰파이드계 실란트 또는 실리콘계 실란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몰딩제(130)를 접합시킴으로서 복층유리(100)의 기밀성을 보장받도록 마감 처리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난간이나 베란다 등의 영역 구획공간으로 내부에는 강화유리(111)를 배치하고 외부에는 판유리(112)를 배치 시키되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 되도록 지면에서 입설 시키고 그 사이 내부에 공간부(113)를 형성시킨다.
이후, 공간부(113)의 사이에 강화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면서 흡수제(121c)를 내입한 간봉부(121)와 그릴(122)을 일체로 사출 성형시킨 창호부재(120)를 내입시킨 다음 복층유리(110)의 상,하단에 폴리썰파이드계 실란트 또는 실리콘계 실란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몰딩제(130)를 주입하여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가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합한다.
이렇게, 설치되는 복층유리(110)는 외부의 차가운 기운이 높은 열차단성 및 단열성을 높인 강화플라스틱재질의 창호부재(120)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유리 가장자리 부분부터 실내의 습기가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강화플라스틱은 열전도도가 약 0.84 BTU로써, 일반 알루미늄과 비교하였을 때 약 1/1800로서 열전달을 90% 이상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다 줌으로서, 일반적으로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외부와 내부온도 차이가 약 10℃ 온도 차이가 발생하여도 우수한 단열성으로 유리에 결로현상이 생기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복층유리(110)에 실내, 외의 온도차, 상대 습도, 공기의 대류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복층유리(110)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여도 창호부재(120)의 간봉부(121) 내부에 결합시켜 작은 기공을 수억 개 갖고 있는 입자로 이루어진 흡수제(121c)에 의해 기체분자를 흡착함으로써,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에 발생한 습기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창호부재(120)는 간봉부(121)와 그릴(122)을 일체로 사출 성형시킴으로써, 습기가 잔존 되어 있을 만한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배수공(121b)을 통하여 흡수제(121c)로 습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착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에 습기 제거는 물론 복층유리(110)의 기밀성을 한층 극대화시켜 공간부(113)가 진공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열교류율을 최소화면서 결로의 발생을 억제 및 완전 제거 가능하게 한 복층유리(110)는 격자구조 형태로 형성시켜 이를 상하로 구획되게 위치시킨 그릴을 간봉부(121)에 연결수단(122a)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충분한 강도 보강은 물론, 시야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는 복층유리의 사이에 설치되는 간봉부와 그릴을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되게 사출성형시켜 복층유리 사이에 창호부재의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의 설치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사출성형으로 간봉부와 그릴을 일체화시킴에 따라 기존의 조립방식 의해 발생하는 각 부품의 틈새 공간을 없으므로 흡수제를 통하여 완벽하게 복층유리의 공간부에 잔존하는 습기를 완전히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복층유리의 공간부 내부가 확실한 진공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소음차단 및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창호부재를 열전도율과 연관류율이 낮은 강화 플라스틱재질로 성형 시킴으로서 복층유리의 단열성 및 열차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약형 건축자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출성형으로 창호부재의 형상의 변화를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창호부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복층유리의 창호부재에 부품수를 최소화시켜 작업자의 설치작업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수의 인원으로도 설치작업이 가능하여 인건비의 절감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설치작업을 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 시키고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창호부재의 그릴을 격자구조로 형성 시킴으로서, 외부에서의 시야 확보를 보장 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창틀부재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거나 형상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복층유리의 강도보강을 통하여 경계구획의 차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창호부재의 내부에 그릴을 보강하여 일체로 형성한 상태의 복층유리를 외측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의 규격화를 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시키고, 난간의 형태로 내측에 그릴을 내장하여 외부에서 가하는 충격이나 아파트 베란다와 같이 추락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된 그릴과 복층유리에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추락을 방지함에 따라 난간의 역할을 수행하여 원가가 절감되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를 부분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110 : 복층유리
111 : 강화유리 112 : 판유리
113 : 공간부 120 : 창호부재
121 : 간봉부 121a : 수납공간
121b : 배수공 121c : 흡수제
122 : 그릴 122a: 연결수단
130 : 몰딩제

Claims (3)

  1. 주거지역에서 일정한 공간 내부의 영역을 구획시키기 위한 위치에 강화유리(111)와 판유리(112)를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입설시켜 그 사이 내부에 공간부(113)를 형성시킨 복층유리(110)와,
    상기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에 내입 되도록 격자망 형태로 이루어진 그릴(122)과 그 그릴(122)의 상,하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으로 간봉부(121)를 성형 시키되 간봉부(121)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21a)을 형성시켜 흡수제(121c)를 내입하고 공간부(113)와 흡수제(121c)를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배수공(121b)을 한 쌍의 간봉부(121)의 상,하면 각각에 순차적으로 다수개로 형성시켜 공간부(113) 내부의 습기를 흡수제(121c)로 흡착시키면서 복층유리(11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창호부재(120)와,
    상기 복층유리(110)의 공간부(113) 상,하부의 창호부재(120) 결합부분에 주입시켜 공간부(113)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몰딩제(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간봉부(121)를 일체로 사출 성형시킨 그릴(122)은 간봉부 (121)의 상하부에 격자구조 형태로 다수의 층으로 연속적이며 반복적으로 교차되게 형성시킨 다음 수직으로 연결수단(122a)을 일체로 성형하여 창호부재(120)를 통하여 복층유리(110)가 설치된 경계구역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시야 확보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제(130)는 복층유리(110)의 상,하단에는 폴리썰파이드계 실란트 또는 실리콘계 실란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몰딩제(130)를 접합함으로서 복층유리(100)의 기밀성을 보장받도록 마감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KR20-2005-0020378U 2005-07-13 2005-07-13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KR200397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78U KR200397014Y1 (ko) 2005-07-13 2005-07-13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78U KR200397014Y1 (ko) 2005-07-13 2005-07-13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014Y1 true KR200397014Y1 (ko) 2005-09-28

Family

ID=4369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78U KR200397014Y1 (ko) 2005-07-13 2005-07-13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0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21B1 (ko) 2006-12-24 2007-07-30 변창성 복층 유리 간봉
KR101244641B1 (ko) 2013-01-11 2013-03-25 주식회사 중일 복층유리용 간봉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21B1 (ko) 2006-12-24 2007-07-30 변창성 복층 유리 간봉
KR101244641B1 (ko) 2013-01-11 2013-03-25 주식회사 중일 복층유리용 간봉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5741A (zh) 暖边真空玻璃隔热幕墙
KR200397014Y1 (ko) 난간 겸용 그릴 간봉 일체화 복층유리
EP3563015B1 (en) A pane module adapted to be installed on a window frame and a method for making a pane module
KR101223620B1 (ko) 단열복합의 이중 커튼 월 창
US10662700B2 (en) Energy efficient translucent structure
KR20100007107A (ko) 복층투명패널 구조체
KR2003145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KR101035185B1 (ko)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삼중 복층유리
WO2015082897A1 (en) Insulating glass units
KR101414878B1 (ko) 단창 커튼 월 삽입형 전동 블라인드 조립체
JPH0721824Y2 (ja) サッシ付複層ガラス
KR200381374Y1 (ko) 습기 방지용 창문 프레임
GB2581354A (en) A wall panel
JPH076466Y2 (ja) 複層ガラス並びにその取付け構造
JP7443634B2 (ja) 多層機能ガラス複合取り付け工法
KR200327092Y1 (ko) 그릴 복층 유리 창틀골재(간봉)
CN210977185U (zh) 一种铝合金平开窗
KR20190089652A (ko) 탈부착식 방충망 레일 프레임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KR200196530Y1 (ko) 베란다용 난간구조
RU2770952C1 (ru) Навес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20100009606A (ko) 창문틀이 없는 창문
KR20080098312A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JP3113167U (ja) サッシ窓
JPH108843A (ja) サッシ窓
JP2002004729A (ja) サッシ窓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