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027Y1 - 전동식 롤 스크린 - Google Patents

전동식 롤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027Y1
KR200266027Y1 KR2020010031897U KR20010031897U KR200266027Y1 KR 200266027 Y1 KR200266027 Y1 KR 200266027Y1 KR 2020010031897 U KR2020010031897 U KR 2020010031897U KR 20010031897 U KR20010031897 U KR 20010031897U KR 200266027 Y1 KR200266027 Y1 KR 200266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procket
screen
mo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김윤빈
Original Assignee
이동우
김윤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우, 김윤빈 filed Critical 이동우
Priority to KR2020010031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027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식 롤 스크린에 있어서,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스크린을 권취 또는 풀 수 있으며 리모콘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롤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롤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크린(1)과, 스크린(1)의 상단이 고정되며 회전에 의해 스크린(1)을 권취하는 롤(13)과, 롤(13)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롤(13)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고정레일(11)과, 고정레일(11)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롤(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20)을 구비한 롤 스크린에 있어서, 롤(13)의 일단부 둘레에 고정되는 제2 스프라켓(42)과, 롤(13)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단부에 고정된 제1 스프라켓(41)이 제2 스프라켓(42)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터(30)와, 제1 스프라켓(41)과 제2 스프라켓(42)을 연결하는 체인(51)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스프라켓(42)에는 그 원주를 따라 최소 2개의 골(42a, 42b)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개의 골(42a)에는 체인(51)이 체결되며, 다른 한 골(42b)에는 다른 체인(52)이 체결되어 제2 스프라켓(42)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Description

전동식 롤 스크린{Roll screen with motor}
본 고안은 롤 스크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롤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콘 송수신 기능에 의해 스크린이 권취 또는 풀림이 가능하며, 스크린을 롤에 권취 또는 풀 때에 멜로디가 발생하는 전동식 롤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롤 스크린의 용도는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용도로서는 창을 가리는 커튼의 용도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용도로는 프로젝트 스크린, 로만쉐이드, 암막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롤 스크린 중에서 한 예로서 창을 가리도록 벽체에 설치되는 롤 스크린을 설명하겠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창을 가리는 롤 스크린만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앞에서 언급한 프로젝트 스크린, 로만쉐이드, 암막롤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스크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 스크린의 구동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롤 스크린(10)은 스크린(1)을 권취하는 중공이 형성된 롤(3)과, 롤(3)과 평행하게 롤(3)의 상부에 위치하며 벽체에 고정됨과 동시에 롤(3)을 지지하는 고정레일(1)과, 상기 롤(3)과 고정레일(1)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두 개의 브라켓(5)을 포함한다.
그리고, 롤(3)의 양단 중공에는 브라켓(5)에 형성된 돌출봉(6)이 삽입되어 롤(3)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양쪽 브라켓(5)에 연결되며, 이런 롤(3)의 일단부에는 스프라켓(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스프라켓(7)에는 무한궤도의 체인(8)이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체인(8)을 회전시키면 스프라켓(7)이 회전하게 되고, 스프라켓(7)의 회전에 따라 롤(3) 또한 회전을 한다.
이런 롤(3)의 길이를 따라 스크린(1)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롤(3)이 회전하게 되면, 스크린(1)을 롤(3)에 권취되거나 또는 풀리게 된다.
그리고, 스크린(1)의 하단 길이를 따라 고정봉(9)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런 고정봉(9)은 롤(3)에서 스크린(1)을 풀 때, 고정봉(9)의 하중에 의해 스크린(1)이 편편한 상태로 펴지도록 무게추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런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스크린은 사용자가 체인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을 권취하거나 또는 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롤 스크린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을 하여야 하며 체인을 회전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롤 스크린이 설치된 위치까지 가지 않고서도 리모콘 송수신 기능에 의해 스크린을 롤에 권취하거나 풀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종래의롤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체인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을 권취하거나 혹은 풀 수 있는 기능을 병행한 전동식 롤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스크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 스크린의 구동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롤 스크린 및 주변기기들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식 롤 스크린의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의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구동부의 제1 스프라켓과 제2 스프라켓 및 체인들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크린 11 : 고정레일
13 : 롤 14 : 롤 캡
20 : 브라켓 25 : 고정대
30 : 모터 41, 42 : 스프라켓
42a, 42b : 골 51, 52 : 체인
100 : 롤 스크린 110 : 리모콘 송신기
120 : 리모콘 수신부 130 : 모터 구동부
140 : 전원공급부 150 : IC회로기판
160 : 스피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린을 권취하는 롤과, 상기 롤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롤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을 구비한 롤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롤의 일단부 둘레에 고정되는 제2 스프라켓과, 상기 롤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단부에 고정된 제1 스프라켓이 상기 제2 스프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터와, 상기 제1 스프라켓과 상기 제2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 체인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 스프라켓에는 그 원주를 따라 최소 2개의 골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개의 골에는 제1 체인이 체결되며, 다른 한 골에는 제2 체인이 체결되어 상기 제2 스프라켓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좀 더 양호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그 상단부가 상기 고정레일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롤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의 바깥쪽에 제1 스프라켓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프라켓은 하단부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중간에는 상기 고정레일에 삽입되는 고정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모터는 모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모터 구동부에는 리모콘 수신기가 장착되어 리모콘 송신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는 정회전, 역회전 및, 회전정지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 구동부에는 멜로디IC를 포함하는 IC회로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 구동부가 상기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때에 멜로디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 스크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롤 스크린 및 주변기기들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식 롤 스크린의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의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구동부의 제1 스프라켓과 제2 스프라켓 및 체인들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스크린(100)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레일(11)과, 상기 고정레일(11)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브라켓(20)과, 상기 고정레일(11)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회전축이 브라켓(20)을 관통하여 위치하며 감속기가 설치된 모터(30)와, 양단부가 각각 브라켓(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레일(11)의 하부에 고정레일(1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롤(13)과, 롤(13)에 상단부가 고정된 스크린(1)을 포함하며, 이런 롤(13)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30)의 회전축에는 제1 스프라켓(41)이 고정되고, 모터(30)가위치하는 롤(13)의 일단부에는 제2 스프라켓(42)이 체결되며, 제1 스프라켓(41)과 제2 스프라켓(42)은 제1 체인(51)이 체결되어 제1 스프라켓(41)의 회전운동을 제2 스프라켓(42)으로 전달한다.
한편, 고정레일(11)의 개방부는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이런 고정레일의 개방부에는 다수 곳에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16)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레일(11)의 개방부에는 스냅(snap)(15)이 체결되고 스냅(15)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9)가 벽체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레일(11)은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은 크게 모터(30)의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된 상단 브라켓(20H)과, 롤(13)의 양단부에 삽입되는 롤 캡(Roll Cap)(14)의 중공에 삽입되는 돌출봉(27)이 형성된 하단 브라켓(20L) 및, 상단 브라켓(20H)과 하단 브라켓(20L)의 경계부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대(25)를 구비한다.
브라켓(20)의 고정대(25)는 고정레일(11)의 양단부에 삽입되는데, 이때, 고정대(25)의 하면은 고정레일(11)의 안쪽 밑면에 접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고정대(25)와 고정레일(11)이 위치하게 되면, 고정레일(11) 안쪽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단 브라켓(20H)의 관통공(21)의 둘레에 형성된 체결공(22)은 대응하게 접하게 되고, 상단 브라켓(20H)의 체결공(22)을 관통하는 볼트가 고정레일(11)의 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레일(11)과 브라켓(20)은 고정된다.
한편, 고정대(25)의 상면에는 모터(30)가 안착된다. 그리고, 모터(30)의 회전축은 상단 브라켓(20H)의 관통공(21)을 관통하여 브라켓(20)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모터(30)의 회전축에는 제1 스프라켓(41)이 체결 고정된다. 또한, 롤 캡(14)에는 제2 스프라켓(42)이 고정된 상태에서 브라켓(20)이 고정레일(11)에 체결됨과 동시에 롤 캡(14)의 중공에는 하단 브라켓(20L)의 돌출봉(27)이 삽입된다. 여기에서 제2 스프라켓(42)은 2개의 체인(51, 52)을 체결할 수 있는 2개의 골(42a, 42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프라켓(42)의 제1 골(42a)에는 제1 스프라켓(41)에 체결된 제1 체인(51)이 체결되고, 제2 골(42b)에는 제2 체인(52)이 체결되어 제2 스프라켓(42)의 하부방향으로 늘어져 있다. 따라서, 제1 체인(51) 및 제2 체인(52)이 회전하게 되면, 제2 스프라켓(42)이 회전하게 되고, 이런 제2 스프라켓(42)의 회전에 의해 롤(13)은 회전한다. 제1 체인(51)은 모터(30)에 의해 회전하고 제2 체인(52)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한편, 여기에서의 체인(51, 52)은 현재 일반적으로 롤 스크린(100)에 사용되고 있는 다수 개의 구들이 연결끈에 연결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제1, 제2 스프라켓(41, 42)의 골(42a, 42b)에는 이런 체인(51, 52)의 구가 한 개 또는 2개가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브라켓(20)에는 커버(29)가 덮어짐으로써, 브라켓(20)의 내부에 위치한 스프라켓(41, 42) 및 체인(51, 52)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모터(30)의 단자에는 모터 구동부(130)가 연결되고, 모터 구동부(130)에는 전원공급부(140)가 연결되는데, 이런 모터 구동부(130)와 전원공급부(140)는고정레일(11)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런 전원공급부(140)와 모터 구동부(130)의 사이에는 리모콘 수신부(120)가 연결되며, 모터 구동부(130)에는 멜로디IC가 포함된 IC회로기판(150)이 연결되며, 이런 IC회로기판(150)에는 스피커(160)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전원공급부(140)는 충전지가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원을 공급하는 아답터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 수신부(120)는 리모콘 송신기(110)에서 송신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모터 구동부(130)에 입력하고 모터 구동부(130)에서는 그 신호에 모터(30)를 정방향, 역방향 및, 회전정지 시킨다. 또한, IC회로기판(150)에서는 모터(30)에 전원이 공급되면, 멜로디IC에 저장된 멜로디가 스피커(160)로 입력하여 스피커(160)에서는 멜로디를 출력한다.
아래에서는 리모콘 송수신부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이와 같은 리모콘 송수신부는 이미 공지되고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이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간략하게 기술하겠으며, 이런 리모콘 송수신부에 관한 도면을 생략하였다.
사용자가 리모콘 송신기(110)를 조작하여 롤 스크린(100)의 권취명령 또는 풀림명령을 입력하면 그 명령에 해당하는 적외선 키코드 신호가 리모콘 송신기(110)에서 송출되고, 송출된 키코드 신호는 리모콘 수신부(120)에서 수신되어 적외선 키코드 영역의 대역 필터링을 거친 후 파형 정형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중앙 제어부에 입력된다.
중앙 제어부는 입력된 키코드의 디지털 데이터를 해독하여 롤 스크린(100)의권취명령 또는 풀림명령임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로 롤 스크린(100)의 권취명령 또는 풀림명령을 모터 구동부(130)에 출력한다.
모터 구동부(130)는 중앙 제어부의 명령을 받아 모터(30)를 정회전, 역회전, 회전정지 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콘 송신기(110)를 조작하여 모터(30)를 정회전, 역회전 및, 회전정지 시킴으로써, 롤(13)의 회전에 의해 스크린(1)은 권취, 풀림, 정지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이, 모터(30)가 정회전, 역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전원이 IC회로기판(150)에 공급되며, 이런 전원에 의해 멜로디IC는 저장된 멜로디를 재생하며, 스피커(160)에서는 상기 멜로디IC에서 재생된 멜로디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멜로디IC에 멜로디재생신호를 공급하는 재생스위치는 모터(30)의 구동신호가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며, 이런 모터(30)의 구동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모콘 수신부(120)에서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동식 롤 스크린은 멀리에서도 사용자가 리모콘 송신기를 이용하여 스크린을 권취하거나 풀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롤 스크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롤 스크린으로 가서 체인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동식 롤 스크린은 롤 스크린이 권취 또는 풀림 작동을 하는 동안에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실내 분위기를 좋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동식 롤 스크린은 전동식으로 리모콘 컨트롤러로 롤 스크린을 작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롤 스크린을 작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전동식 롤 스크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린을 권취하는 롤과, 상기 롤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롤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을 구비한 롤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롤의 일단부 둘레에 고정되는 제2 스프라켓과,
    상기 롤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단부에 고정된 제1 스프라켓이 상기 제2 스프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터와,
    상기 제1 스프라켓과 상기 제2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라켓에는 그 원주를 따라 최소 2개의 골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개의 골에는 제1 체인이 체결되며, 다른 한 골에는 제2 체인이 체결되어 상기 제2 스프라켓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그 상단부가 상기 고정레일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롤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관통하여상기 브라켓의 바깥쪽에 제1 스프라켓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프라켓은 하단부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중간에는 상기 고정레일에 삽입되는 고정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모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모터 구동부에는 리모콘 수신기가 장착되어 리모콘 송신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는 정회전, 역회전 및, 회전정지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에는 멜로디IC를 포함하는 IC회로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 구동부가 상기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때에 멜로디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KR2020010031897U 2001-10-18 2001-10-18 전동식 롤 스크린 KR200266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97U KR200266027Y1 (ko) 2001-10-18 2001-10-18 전동식 롤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97U KR200266027Y1 (ko) 2001-10-18 2001-10-18 전동식 롤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027Y1 true KR200266027Y1 (ko) 2002-02-27

Family

ID=7306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897U KR200266027Y1 (ko) 2001-10-18 2001-10-18 전동식 롤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02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300A (ko) * 2002-03-08 2003-05-16 박명규 수직형 커텐의 자동개폐장치
KR101102076B1 (ko) 2008-08-29 2012-01-04 주식회사 세명차양시스템 무선작동 슬라이드 스크린
KR101207299B1 (ko) 2012-09-17 2012-12-03 임길수 멀티형 영사스크린 장치
KR20190000216A (ko) * 2017-06-22 2019-01-02 성삼경 구동부를 갖는 롤 블라인드 무선 제어시스템
KR102160460B1 (ko) * 2020-04-14 2020-09-28 주식회사 롤크 간접조명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300A (ko) * 2002-03-08 2003-05-16 박명규 수직형 커텐의 자동개폐장치
KR101102076B1 (ko) 2008-08-29 2012-01-04 주식회사 세명차양시스템 무선작동 슬라이드 스크린
KR101207299B1 (ko) 2012-09-17 2012-12-03 임길수 멀티형 영사스크린 장치
KR20190000216A (ko) * 2017-06-22 2019-01-02 성삼경 구동부를 갖는 롤 블라인드 무선 제어시스템
KR102119277B1 (ko) * 2017-06-22 2020-06-05 성삼경 구동부를 갖는 롤 블라인드 무선 제어시스템
KR102160460B1 (ko) * 2020-04-14 2020-09-28 주식회사 롤크 간접조명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5540C (en) Screw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blind
US7287570B2 (en) Window covering lifting system and method
US20020053410A1 (en) Insulating glass pane comprising an integrated roller blind device
CA2385095C (en) Frictio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blind
CA2385535C (en) Plug-i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blind
WO2003080979A3 (en) Universal bracket and cap system for cassette roller shade
CA2260385A1 (en) Venetian blind lifting mechanism provided with concealed pull cords
EP1073822A4 (en) WINDOW STORAGE ASSEMBLY WITH MECHANISM FOR MOTORIZED WINDOW STORAGE
KR200266027Y1 (ko) 전동식 롤 스크린
WO1998051897A3 (en) Cordless apparatus for operating blinds and shades
US20050239588A1 (en) Electric transmission module for window curtains having winding wheel
US5680892A (en) Sla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KR101108265B1 (ko) 오르골을 가지는 롤 블라인드
ATE219545T1 (de) Markise mit elastischen zugmitteln
KR20010000268U (ko) 블라인더의 차단 각도 조절장치
JP3146406B2 (ja) パネル体の開閉装置
KR200288751Y1 (ko)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KR200310930Y1 (ko) 커튼 이동장치
AU783387B2 (en) Plug-i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blind
KR200296711Y1 (ko) 커튼 이동장치
JP3823850B2 (ja)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CN209942677U (zh) 伸缩结构
CN214943845U (zh) 一种光控式的日夜蜂巢帘
JP3711342B2 (ja) 電磁式クラッチ装置で制御する電動カーテ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