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934Y1 -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934Y1
KR200265934Y1 KR2020010036049U KR20010036049U KR200265934Y1 KR 200265934 Y1 KR200265934 Y1 KR 200265934Y1 KR 2020010036049 U KR2020010036049 U KR 2020010036049U KR 20010036049 U KR20010036049 U KR 20010036049U KR 200265934 Y1 KR200265934 Y1 KR 200265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ball
sink
water
drai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의
장용호
Original Assignee
이광의
장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의, 장용호 filed Critical 이광의
Priority to KR2020010036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93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하부의 배수 튜브와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구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하여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함으로서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싱크대의 배수구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반구형의 상, 하부체로 구성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소프트한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소정 량의 액상의 중량물을 수용하는 구형의 체크 볼을 내장하여 하우징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경우 체크 볼이 부력을 통해 상승되어 배수관을 개방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물의 배수에 따라 하강되어 배수구를 폐쇄시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함에 있어 체크 볼이 배수구를 완전 폐쇄하는 시점에서 물이 완전 배수되지 않고 일정량의 물이 체크볼의 주위에 고여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완벽한 방취기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체의 내면에 하향 융출되는 체크볼 유도부를 구비하여 세척수의 급격한 대량 유입 시 상승되는 체크볼을 가장자리로 유도함으로써 입수관을 막지 않도록 하여 배수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THE ISOLATION APPARATUS OF STENCH IN SINK}
본 고안은 싱크대 하부의 배수 튜브와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구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하여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함으로서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싱크대의 배수구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부에 각각 싱크대 하부의 배수 튜브와 연결되는 입수관과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구비하는 두 개의 반구형의 상, 하부체로 구성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소프트한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소정 량의 액상의 중량물을 수용하는 구형의 체크 볼을 내장하여 하우징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경우 체크 볼이 부력을 통해 상승되어 배수관을 개방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물의 배수에 따라 하강되어 배수구를 폐쇄시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함에 있어 체크 볼이 배수구를 완전 폐쇄하는 시점에서 물이 완전 배수되지 않고 일정량의 물이 체크볼의 주위에 고여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완벽한 방취 기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체의 내면에 하향 융출되는 체크볼 유도부를 구비하여 세척수의 급격한 대량 유입 시 상승되는 체크볼을 가장자리로 유도함으로써 입수관을 막지 않도록 하여 배수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하수는 식사 후 각종 음식물 찌꺼기가 묻어있는 주방용기를세척하면서 발생하게 되고 이 음식물이 세척된 물은 상기 음식물 찌꺼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냄새를 함유한 채로 개수대의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관(개수대에서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관)으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각종 냄새를 함유한 하수를 배수하는 배수관은 아파트나 다세대주택의 경우 하나의 배수관에 각 층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받아 하수구로 배수되게 설계되어 있고, 이와 같이 설계되어 있는 상기 배수관에는 상기 각종 음식물 찌꺼기와 그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부착되면서 시간이 지나게 되면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악취는 배수관을 따라 역류하여 개수대로 방출되면서 실내에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개수대로의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개수대의 배수구 덮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개수대의 배수구 덮개 사용은 개수대 본연의 기능상 주방생활의 불편함을 가져다 줌은 물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해 주지 못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수대의 배수구와 배수관 사이에 유자형의 곡관을 설치하여 "U"자형 부분에 물이 일부 정체해 있게 함으로써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개수대의 주름 관을 분리해 내고 별도로 유자형의 곡관을 설치해야 함으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유자형 곡관을 개수대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개수대에서의 물배수 속도가 느려져 이를 사용하는 주부들에게는 많은 불편함을 주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하수는 원활하게 배수하고 악취의 역류는 차단하는 장치가 특허출원 제1999 - 39533호(하수역류 및 악취차단장치)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이미 설치 사용되고 있는 개수대의 배수구에 직접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체크 볼이 배수구를 완전 폐쇄하는 시점에서 물이 완전 배수되지 않고 일정량의 물이 체크볼의 주위에 고여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완벽한 방취기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척수의 급격한 대량 유입 시 상승되는 체크볼을 가장자리로 유도함으로써 입수관을 막지 않도록 하여 배수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싱크대 하부의 배수 튜브와 연결되는 입수관과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구비하는 두 개의 반구형의 상, 하부체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부력을 통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수관과의 접촉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소프트한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고 중량을 통해 밀착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 량의 액상의 중량물을 수용하는 구형의 체크 볼을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체의 내면에 하향 융출되며 세척수의 급격한 대량 유입 시 상승되는 체크볼을 가장자리로 유도함으로써 입수관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체크볼 유도부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에서의 작동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우징
11:상부체
11':입수관
12:하부체
12':배수관
20:체크 볼
21:중량물
30:체크볼 유도부
31:통수공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에서의 작동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싱크대의 개수통에 연결되는 배수 튜브와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구 사이에 설치되는 악취차단 장치에 있어서,
싱크대 하부의 배수 튜브(OT)와 연결되는 입수관(11')을 상부에 구비하는 상부체(11)와, 상기 상부체(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구(OH)와 연결되는 배수관(12')을 하부에 구비하는 하부체(12)로 구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부력을 통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수관(12')의 내연부와의 접촉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소프트한 연질의 방수성 소재로 구성되고 배수관(12')의 내연부와의 밀착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 량의 액상의 중량물(21)을 수용하는 구형의 체크 볼(20)과;
상기 상부체(11)의 내면에 하향 융출되는 상태로 중앙부위에 돌출상태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통수공(31)을 구비하며 세척수의 급격한 대량 유입 시 상승되는 체크볼(20)을 가장자리로 유도함으로써 통수공(31)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체크볼 유도부(3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40)는 상, 하부체(11)(12)의 나사 체결부를 보인 것이며,
(41)는 체크볼(20)의 주위에 고여지는 잔여수를 보인 것이다.
도 2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에 체크볼(20)을 수용한 채로 체결부(40)을 이용하여 상, 하부체(11)(12)를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10)을 구성한 다음 상부체(11)의 입수관(11')을 싱크대 하부의 배수 튜브(OT)와 연결시킴과 동시에 하부체(12)의 배수관(12')을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구(OH)에 끼워 연결시킨다.
상기 중량물(21)은 완전한 밀봉상태로 체크볼(20)에 수용되며 수용되는 량은체크볼(20)의 내부공간의 1/2∼2/3을 점유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중량물(21)의 소재는 특정한 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만 수용 시 화학적으로 체크볼(20)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내부에서의 유동이 원활하여 항상 체크볼(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점성이 없는 물질이면 족하다.
만일 상기 체크볼 유도부(3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체(11)의 내면이 오목하게 요입 구성되는 관계로 과다한 대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승되는 체크볼(20)이 자동으로 중앙으로 이동되어 입수관(11')을 막아 배수에 장애를 주는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체(11)의 내면부에 하향으로 불룩하게 융출되는 체크볼 유도부(30)를 두어 상승되는 체크볼(20)이 접촉되는 경우 상부체(11)의 가장 자리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체크볼 유도부(30)의 중앙에 형성된 통수공(31)이 막혀지지 않도록 하며, 또한 통수공(31)의 형상을 사각으로 구성하여 만에 하나 체크볼(20)이 통수공(31)을 막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구조상 구형의 체크볼(20)로서는 막을 수 없는 통수공(31)의 네 모퉁이를 통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을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싱크대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으면 하우징(10)내의 체크볼(20)은 자체 중량에 의해 실선과 같이 배수관(12')의 내연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중량물(21)은 체크볼(20)의 하반부를 중량으로 가압하여 배수관(12')의 내연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체크볼(20)의 주위에는 이전에 투입되었다가 남은 잔여수(41)가 고여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구(OH)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는 일차적으로 배수관(12')을 막고있는 체크볼(20)에 의해 차단되고 이를 통과하는 극소량의 악취는 체크볼(20)의 하측 연부를 감싸고 고여있는 잔여수(41)에 의해 완벽하게 차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싱크대에서 물을 사용하여 싱크대의 배수 튜브(OT)로부터 물이 내려오면 하우징(10)의 내에 물이 체류하게 되고 물이 체류하면 상기 체크볼(20)은 물의 비중보다 가벼우므로 수면에 부유하게 되어 배수관(12')을 개방시키게 되어 물은 개방된 배수관(12')을 거쳐 배수구(OH)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0)내부의 물이 배출됨에 따라 상기 체크볼(20)은 아래로 내려오게 되며 이때 상기 체크볼(20)은 중량물(21)에 의해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가지게 됨으로 하부체(12)에서의 물이 완전히 빠지기 전에 완전 하강되어 배수관(12')에 초기와 같이 밀착되어 배수관(12')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며 체크볼(20)의 주위에는 미처 배출되지 못한 잔여수(4)가 고여지게 되어 방취기능을 보강하게 된다.
한편 싱크대의 배수 튜브(OT)로부터 하우징(10)내로 과다한 대량의 물 즉 배출되는 량보다 유입되는 물의 량이 많은 정도의 물이 단시간에 유입되어 상승되는 체크볼(20)이 최대한 상승하여 체크볼 유도부(30)에 접촉하더라도 체크볼 유도부(30)의 표면이 하향으로 융출되는 상태이므로 체크볼(20)은 면적이 작은 통수공(31)에 정확히 밀착되어 폐쇄시킬 확률이 극히 희박하고 대부분이 체크볼 유도부(30)의 경사진 표면에 의해 상부체(11)의 가장 자리 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므로 결국 통수공(31)을 막지 않게 배수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만일 체크볼(20)이 수직으로 상승하여 통수공(31)을 막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통수공(31)이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관계로 구형의 체크볼(20)로서는 통수공(31)의 네 모퉁이를 막을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이 네모퉁이의 개방공간을 통해 물리 유입되는 것이므로 배수에 큰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싱크대의 세척 이물질 등은 1차로 싱크대에 구비되는 걸름통에 걸러지게 되나 작은 이물질 등은 그대로 걸름통을 통과하게 되며 장기간의 사용으로이물질 부착이나 물이끼 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은 배수되는 물의 배수압력과 이의 배수압력으로 인해 체크볼(20)이 맴돌이 현상 등을 일으켜 이물질을 털어 버리게 된다.
만약 본 고안의 악취처리장치가 막히게 되면 상, 하부체(11)(12)를 분리시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체결하여 계속사용 할 수 있다.
한편 장기간 싱크대를 사용하지 않아 잔여수가 모두 증발하더라 하더라도 체크볼(20)의 내부의 중량물(21)에 의해 배수관(12')를 완벽하게 차단되어 악취의 역류를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만약 물때 등의 슬러지가 끼어 체크볼(20)이 고착되더라도 고착력이 체크볼(20)의 부력보다 작게됨으로 물이 유입되면 체크볼(20)이 다시 배수관(12')에서 분리되어 작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싱크대에서 배수구나 하수구의 하방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함으로서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체크 볼이 배수구를 완전 폐쇄하는 시점에서 물이 완전 배수되지 않고 일정량의 잔여수가 체크볼의 주위에 고여질 수 있도록 하여 2중의 악취차단 기능을 통해 보다 완벽한 방취기능을 보유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세척수의 급격한 대량 유입 시 상승되는 체크볼을 가장자리로 유도함으로써 입수관을 막지 않도록 하여 배수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싱크대 하부의 배수 튜브(OT)와 연결되는 입수관(11')을 상부에 구비하는 상부체(11)와, 상기 상부체(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구(OH)와 연결되는 배수관(12')을 하부에 구비하는 하부체(12)로 구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부력을 통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프트한 연질의 방수성 소재로 구성되고 밀착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 량의 액상의 중량물(21)을 수용하는 구형의 체크 볼(20)과;
    상기 상부체(11)의 내면에 하향 융출되는 상태로 중앙부위에 통수공(31)을 구비하며 세척수의 급격한 대량 유입 시 상승되는 체크볼(20)을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통수공(31)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체크볼 유도부(3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볼(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중량물(21)의 량은 체크볼(20)의 내부공간의 1/2∼2/3을 점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공(31)은 돌출상태의 사각형으로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KR2020010036049U 2001-11-22 2001-11-22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KR200265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49U KR200265934Y1 (ko) 2001-11-22 2001-11-22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49U KR200265934Y1 (ko) 2001-11-22 2001-11-22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113A Division KR100461905B1 (ko) 2001-11-22 2001-11-22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934Y1 true KR200265934Y1 (ko) 2002-02-25

Family

ID=7311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049U KR200265934Y1 (ko) 2001-11-22 2001-11-22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9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4701A (en) Pest and odor preventive sanitary drainer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JP2007146643A (ja) 排水口用悪臭防止装置
KR100461905B1 (ko)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KR200265934Y1 (ko) 싱크대의 악취차단 장치
KR100644096B1 (ko) 배수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역류방지 배수전
KR200233488Y1 (ko) 배수구의 냄새차단장치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101056506B1 (ko) 씽크대 배수 구조
KR200403172Y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0541670B1 (ko) 씽크대의 잔반처리 시공을 위한 배수구조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160081050A (ko) 플로우트 볼을 갖는 일자형 배수트랩 및 이를 구비한 싱크대
KR200244689Y1 (ko) 하수구 악취역류방지용 배수변
KR101101235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JPH0714449Y2 (ja) 洗髪・洗面用化粧台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300280Y1 (ko)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KR200235658Y1 (ko) 부력식 배수트랩
KR200327325Y1 (ko) 배수구의 악취 누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