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897Y1 - 불일치 판단 스위치 - Google Patents

불일치 판단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897Y1
KR200265897Y1 KR2020010034584U KR20010034584U KR200265897Y1 KR 200265897 Y1 KR200265897 Y1 KR 200265897Y1 KR 2020010034584 U KR2020010034584 U KR 2020010034584U KR 20010034584 U KR20010034584 U KR 20010034584U KR 200265897 Y1 KR200265897 Y1 KR 200265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amp
breaker
turned
warn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10034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8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897Y1/ko

Links

Landscapes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색을 띠는 2개의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차단기 및 단로기의 운전현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불일치 판단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개폐스위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운전조건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단기의 개폐스위치로부터 각각 인출된 2개의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로서,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서로 반대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스위치의 2개의 전원라인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다른 색을 갖는 제1램프 및 제2램프;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개폐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할 경우 소등되고, 반대로 상기 개폐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점멸하는 경고램프로서, 상기 경고램프는 상기 제1램프 및 제2램프중 어느 하나의 램프와 함께 연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일치 판단 스위치{Discrepancy switch}
본 고안은 무인 또는 유인변전소 축소형 모자이크 판넬에 있어서, 상기 모자이크 판넬에 설치되는 차단기 및 단로기의 고장을 원격지에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차단기 및 단로기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통제소에서 그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식별이 용이토록 하는 불일치(Discrepancy) 판단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지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 또는 유인변전소 축소형 모자이크 판넬에는 차단기 및 단로기 조작용 디스크리펜시 스위치가 설치되어 원격지에서 이상 상태를 감시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1개의 램프를 사용하여 현장운전 조건을 감식하도록 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현장운전 조건과 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하기 않을 경우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여 램프가 점멸되고, 현장운전 조건과 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하며 램프가 소등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종래에는 차단기 및 단로기의 운전현황을 1개의 램프로 표시하여 현장설비와 디스크리펜시 스위치의 위치가 불일치 할 경우에만 점멸되어 고장여부를 판단하므로 램프 불량시 그 식별이 용이하지 않고 따라서 조작 실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다른 색을 띠는 2개의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차단기 및 단로기의 운전현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불일치 판단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폐스위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운전조건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단기의 개폐스위치로부터 각각 인출된 2개의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로서,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서로 반대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스위치의 2개의 전원라인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다른 색을 갖는 제1램프 및 제2램프;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개폐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할 경우 소등되고, 반대로 상기 개폐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점멸하는 경고램프로서, 상기 경고램프는 상기 제1램프 및 제2램프중 어느 하나의 램프와 함께 연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단기 20;판단스위치
21;제1스위치 22;제2스위치
23;적색램프 24;청색램프
25;타이머릴레이 26;경고램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차단기나 단로기 등 전력계통의 운전상황을 판단하여 조작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스위치를 개시하는 것으로, 부호 10으로 표시한 차단기는 2개의 접점(11a)(11b)을 갖는 개폐스위치를 갖고, 이 접점(11a)(11b)으로부터 부호 20으로 표시한 판단스위치의 제1스위치(21) 및 제2스위치(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2스위치(21)(22)는 차단기(10)와 같이 각가 2개의 접점(21a)(21b)(22a) (22b)들을 가지며, 여기서 제1스위치(21)와 제2스위치(22)는 판단스위치(20)의 기계적 구성요소에 따라 서로 반대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접점(21a)가 접속되면 접점(21b)는 단락되며, 또한 접점(22a)는 단락되며 접점(22b)는 접속된다.
상기 차단기(10)와 제1스위치(21)를 연결하는 라인에 각각 제1램프인 적색램프(23)와 제2램프인 청색램프(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통전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21)와 제2스위치(22)에는 타이머릴레이(25)가 경고램프(26)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누전차단(10), 제1,2스위치(21)(22)의 전기적인 접속상태에 따라 점멸 또는 소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회로구성에 의하면 상기 경고램프(26)는 적색램프(23)와 청색램프(24)중 어느 하나의 램프와 함께 연동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D1, D2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누전기(10)가 통전된 상태와 단락된 상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누전기(10)가 통전된 상태 즉, 일측 접점(11a)이 접속되고 타측 접점(11b)이 단락된 상태에서, 판단스위치(20)의 제1스위치(21)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의 위치가 일치할 경우 제1스위치(21)의 접점(21a)이 접속되고 접점(21b)이 단락될 경우 다시말해 현장운전 조건과 판단스위치(10)가 일치한 경우에 현장기기의 투입상태에서는 적색램프(23)가 점등되고 청색램프(24)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경고램프(26)도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차단기(10)가 통전된 상태에서 판단스위치(10)의 제1스위치(21)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즉, 제1스위치(21)의 접점(21a)이 단락되고, 접점(21b)이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는 적색램프(23)는 점등되고 청색램프(24)는 소등되며, 동시에 타이머릴레이(2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경고램프(26)를 점멸하게 된다.
상기 차단기(10)가 단락된 상태 즉, 일측접점(11a)이 단락되고 타측접점(11b)이 접속된 상태에서 판단스위치(20)에 있어 제1스위치(21)의 접점(21a)이 접속되고 반대로 접점(21b)이 단락될 경우 즉, 현장운전조건과 판단스위치(20)의 위치가 틀린 경우에는 적색램프(23)는 소등되고 청색램프(24)는 점등됨과 동시에 타이머릴레이(25)가 구동되면서 경고램프(26)가 점멸함으로써 위험을 알리게 된다.
반대로 차단기(10)가 단락된 상태에서 즉, 일측접점(11a)이 단락되고 타측접점(11b)이 접속된 상태에서 제1스위치(21)의 접점(21a)이 단락되고 접점(21b)가 접속될 경우 현장운전조건과 판단스위치(20)의 위치가 일치할 경우에는 적색램프(23)가 소등되고 청색램프(24)는 점등된다. 이때 경고램프(26)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단기와 판단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할 경우에는 적색 또는 청색램프중 어느 하나의 램프가 점등되고 경고램프도 소등하게 되지만 반대로 차단기와 판단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 또는 청색램프중 어느 하나의 램프가 점등됨과 동시에 경고램프(26)가 점멸되어 그 상황을 각인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전반 근무자가 운전상황 오판이나 조작에 대한 실수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

  1. 개폐스위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운전조건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단기의 개폐스위치로부터 각각 인출된 2개의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로서,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서로 반대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스위치의 2개의 전원라인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갖는 제1램프 및 제2램프;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개폐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할 경우 소등되고, 반대로 상기 개폐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점멸하는 경고램프로서, 상기 경고램프는 상기 제1램프 및 제2램프중 어느 하나의 램프와 함께 연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일치 판단스위치.
KR2020010034584U 2001-11-10 2001-11-10 불일치 판단 스위치 KR200265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584U KR200265897Y1 (ko) 2001-11-10 2001-11-10 불일치 판단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584U KR200265897Y1 (ko) 2001-11-10 2001-11-10 불일치 판단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897Y1 true KR200265897Y1 (ko) 2002-02-27

Family

ID=7308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584U KR200265897Y1 (ko) 2001-11-10 2001-11-10 불일치 판단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8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999B1 (ko) * 2012-02-22 2013-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취득 데이터의 오류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69602B1 (ko) * 2016-06-03 2016-10-26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개별 점검식 풀 코드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999B1 (ko) * 2012-02-22 2013-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취득 데이터의 오류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66809B2 (en) 2012-02-22 2014-07-01 Ls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error of acquired data
KR101669602B1 (ko) * 2016-06-03 2016-10-26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개별 점검식 풀 코드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5983B (zh) 电动机控制中心子单元断开器的远程操作
US5699830A (en) Solenoid valve controller
US5874900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head power line phase switch
US4255738A (en) Device for detecting unwanted signal combinations of two signal lamps in traffic lights
CN110843529B (zh) 高压互锁故障自诊断电路、控制方法及新能源汽车
KR200265897Y1 (ko) 불일치 판단 스위치
CN111900698A (zh) 换流变压器的安全防误电路
JPH08279321A (ja) 電動車両の動力開閉装置
KR20070119222A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KR101728534B1 (ko) 차량의 스마트 정션블록 내 퓨즈 단선 감지 장치
KR101257652B1 (ko) 용이한 결속과 전력제어 표준화를 위한 하네스 연결방식을 사용한 전동기 제어반
JP4672785B2 (ja) 制御盤の故障診断装置
KR200426099Y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KR20200001179A (ko) 자동복구 누전차단기
US4328430A (en) Apparatus for actuating electrical load-separating switches in an electricity supply network
KR100268084B1 (ko) 자동차용 램프단선 검출회로 및 검출장치
JP6437304B2 (ja) 開閉端子台及びそれを使用した絶縁抵抗の測定方法若しくはそれを使用したリレー駆動回路の開閉方法
KR100335190B1 (ko) 고장확인용 컨트롤릴레이
JPH0477360B2 (ko)
CN112019126B (zh) 一种可编程电机控制器及其控制方法
JPH03134383A (ja) 電動弁状態監視装置
KR20150146332A (ko) 결선이 용이한 모듈형 스위치 배전반
KR0185606B1 (ko) 릴레이 테스터기
CN112002593A (zh) 一种控制回路模块化设计的隔离开关操作机构及使用方法
JPS5840799B2 (ja) 交通信号機における異常表示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