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72Y1 -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 Google Patents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72Y1
KR200265772Y1 KR2020010037008U KR20010037008U KR200265772Y1 KR 200265772 Y1 KR200265772 Y1 KR 200265772Y1 KR 2020010037008 U KR2020010037008 U KR 2020010037008U KR 20010037008 U KR20010037008 U KR 20010037008U KR 200265772 Y1 KR200265772 Y1 KR 200265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up
cup body
cover
tea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숙
Original Assignee
박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숙 filed Critical 박진숙
Priority to KR202001003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72Y1/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 본체 일측 상단에 유출부 및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컵 본체의 내측벽면에 여과부가 형성되며, 컵 본체 상단에 안착시키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컵 본체 내부벽에 형성된 찻잎 여과부와, 상기 컵 본체의 외부 일측 상단에 형성된 유출부와, 상기 컵 본체 외부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컵 본체 상단에 안착시킬수 있는 덮개와, 상기 찻잎 여과부는 컵 본체의 내부 일측 상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은 만곡된 형상으로 마감형성되며,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하고, 상기 덮개는 내측에 소정깊이 함몰된 홈이 형성된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의 상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찻잎 여과부는 그 하단부가 컵 본체의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Teacup for filteration of leaves}
본 고안은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 본체 일측 상단에 유출부 및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컵 본체의 내측벽면에 여과부가 형성되며, 컵 본체 상단에 안착시키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건강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이에따라 차의 문화 또한 인스턴트식 차보다는 찻잎을 이용한 자연산 차를 즐기는 사람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찻잎을 이용하여 차를 즐기는 방법중 보편적인 두가지는 차잎을 가공한 후, 티백에 저장하여 1회용으로 판매되는 인스턴트식이 있고, 찻잎을 직접 구입하여 공지된 찻잎용 컵을 사용하여 찻잎을 이용한 차를 즐기는 방법이 있다.
상기 공지된 찻잎용 컵의 구조는 컵 본체(1)와 상기 컵 본체(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별도의 찻잎여과부(3)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컵 본체의 상부에 찻잎여과부(3)를 안착시킨 후 찻잎을 찻잎여과부(3)에 투입하고 온수를 주입하면 상기 찻잎 여과부 하부에 형성된 여과망(5)을 통하여 컵 본체(1)에 주입되어 찻잎을 이용한 차을 즐기게 된다.
그러나, 티백에 가공된 찻잎을 이용한 차를 즐기는 방법은 휴대가 간편하고 차를 우려내는 방법이 간편하지만, 가공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찻잎의 저장을 장기간 해야하고, 또한 가공을 하여야 함으로 자연산 그대로 차의 향과 맛을 즐기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공을 거쳐서 생산 판매가 이루어짐으로 판매가 가격이 상승된다.
또한, 공지된 찻잎용 컵은 찻잎여과부(3)와 컵 본체(1)가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일정시간이 지나 차의 향과 맛이 우러나면 컵 본체(1)에 안착된 찻잎여과부(3)를 따로 분리하여 보관해야 함으로 매우 불편하고 미관이 좋지 못하며, 또한 차를 마신후 다시 우려내려면 분리하여 외부에 보관하던 찻잎여과부(3)를 다시 컵 본체(1)에 안착시켜 사용하므로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다는 점을 감수해야 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컵 본체 내부벽면에 일체형으로 찻잎 여과부를 형성하고, 상기 컵 본체의 상부에 안착시킬수 있는 분리형 덮개을 구성하여 찻잎 여과부에 찻잎을 투입하고 온수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자연산 그대로의 차의 향과 맛을 즐길수 있게 하고 또한, 찻잎 여과부를 컵의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보다 편리하고 위생상 청결하게 관리할수 있게 하고, 컵본체에 안착시킬수 있도록 구성한 덮개의 내부를 함몰시켜 찻잔대용으로 사용하게 하는데 상기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 내부벽에 형성된 찻잎 여과부와, 상기 컵 본체의 외부 일측 상단에 형성된 유출부와, 상기 컵 본체 외부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컵 본체 상단에 안착시킬수 있는 덮개와, 상기 찻잎 여과부는 컵 본체의 내부 일측 상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은 만곡된 형상으로 마감형성되며,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하고, 상기 덮개는 내측에 소정깊이 함몰된 홈이 형성된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의 상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찻잎 여과부는 그 하단부가 컵 본체의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 본 종래의 찻잎용 컵의 단면도.
도 2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전체 사시도
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단면도.
도 4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분리 사시도.
도 5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사용상태도.
도 6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사시도.
도 7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 컵 본체 12, 32 : 찻입 여과부
14, 34 : 통공 16 : 손잡이부
18 : 유출홈 20, 40 : 덥개 본체
22, 42 : 돌출부 24, 44 : 함몰된 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전체 사시도이고,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단면도이며, 도 4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컵은 컵 본체(10)와 덮개 본체(2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컵 본체(10)는 그 내부벽 상부에 찻잎 여과부(12)를 형성하여 찻잎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찻잎 여과부(12)는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여 찻잎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찻잎 여과부(12)에는 다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온수가 찻잎을 거쳐 컵 본체(10)로 주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컵 본체(10)는 외부 일측상단에 유출부(18)가 형성되어 찻잎의 맛과 향이 우러난 차를 차잔으로 유출시키기 편리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컵 본체(10)의 외부 타측에는 손잡이부(16)가 형성되어 컵 본체(10)에 주입되어 있는차를 외부로 유출시킬때 보다 편리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컵 본체(10)에 안착시킬수 있는 덮개를 구성하였으며, 상기 덮개는 내측에 소정깊이 함몰된 홈(24)이 형성된 덮개 본체(20)와, 상기 덮개 본체(2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22)로 구성되는데, 상기 덮개의 내측에 소정깊이를 함몰된 홈(24)은 덮개를 차잔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공간을 확보한 것이고, 또한 돌출부(22)는 컵 본체(10)에 안착시키거나 탈착시킬때는 손잡이로 이용하고 탈착시켜 차잔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받침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사용상태도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컵을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컵 본체(10) 내벽면 상부에 형성된 찻잎 여과부(12)에 찻잎을 투입한 후 온수 -차의 종류에 따라 냉수일 수도 있다.- 를 컵 본체(10)에 주입하면, 주입된 온수는 찻잎 여과부(12)의 통공(14)을 통해 컵 본체(10)에 주입되고, 그 후 목적하는 시간동안 덮개 본체(20)를 컵 본체(10)에 안착시킨다.
상기 목적한 시간이 경과되면 컵 본체(10)에 안착되어 있는 덮개 본체(2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22)를 이용하여 덮개를 탈착시킨 후 상기 덮개를 잔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돌출부(22)를 바닥에 안착시키고, 컵 본체(10)의 외부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16)를 이용하여 컵을 든다.
이때 컵 본체(10)의 외부 일측으로 형성된 유출부(18)를 통해 차를 덮개의 함몰된 홈(24)으로 유출시켜 차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찻잎 여과부(12)를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목적한 시간이 경과하여 일정량을 차를 음용하면, 온수가 찻잎 여과부(12)의 하단으로 위치하게 되어 목적한 시간외에 찻잎이 온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차의 맛이 변하지 않아 빠른시간 이내에 차를 음용할 때 사용된다.
또한 컵 본체(10)에 내장되어 있는 차를 덮개의 함몰된 홈(24)으로 유출시킬때 찻잎은 찻잎 여과부(12)의 만곡된 부분에 걸려져 차와 함께 외부로 유출됨이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한 컵은 기본적으로 토기로 제작하여 차를 음용할 때 더욱 우수한 분위기 연출이 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요구될 때에는 보온력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사시도이고,도 7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컵 본체(30)의 하단부에서 바닥면까지 연장하여 찻잎 여과부(32)를 형성하며, 상기 찻잎 여과부(32)에 찻잎을 투입한 후 온수 -차의 종류에 따라 냉수일 수도 있다.- 를 컵 본체(30)에 주입하면, 주입된 온수는 찻잎 여과부(32)의 통공(34)을 통해 컵 본체(30)에 주입되고, 그 후 목적하는 시간동안 덮개 본체(40)를 컵 본체(30)에 안착시킨다.
상기 목적한 시간이 경과되면, 차를 음용하는 중에도 찻잎은 컵 본체(30) 하단부에서 바닥면까지 함침된 채로 찻잎 여과부(32)에 투입되어 있어, 차의 맛이 찻잎에 의해 지속적인 영향을 받아 시간이 경과할수록 차의 고유의 맛을 음용할 수있으며, 수차례 온수를 투입하여 차를 음용할 수 있다.
상기 찻잎 여과부(32)가 본체 하단에 형성된 컵은 사무실과 같이 장시간동안 차를 음용할때 사용되어진다.
또한, 차를 음용할 때 상기 덮개 본체(40)에 형성된 함몰된 홈(44)에 차를 넣은 후 상기 덮개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42)를 이용하여 차를 음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차를 음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컵 본체 내부벽면에 일체형으로 찻잎 여과부를 형성하고, 상기 컵 본체의 상부에 안착시킬수 있는 분리형 덮개을 구성하여 찻잎 여과부에 찻잎을 투입 온수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자연산 그대로의 차의 향과 맛을 즐길수 있게 하고 또한, 찻잎 여과부를 컵의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보다 편리하고 위생상 청결하게 관리할수 있게 하고, 컵본체에 안착시킬수 있도록 구성한 덮개의 내부를 함몰시켜 찻잔대용 사용할 수 있는 등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 내부벽에 형성된 찻잎 여과부와; 상기 컵 본체의 외부 일측 상단에 형성된 유출부와; 상기 컵 본체 외부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컵 본체 상단에 안착시킬수 있는 덮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찻잎 여과부는 컵 본체의 내부 일측 상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은 만곡된 형상으로 마감형성되며,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내측에 소정깊이 함몰된 홈이 형성된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찻잎 여과부는 그 하단부가 컵 본체의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KR2020010037008U 2001-11-30 2001-11-30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KR200265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08U KR200265772Y1 (ko) 2001-11-30 2001-11-30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08U KR200265772Y1 (ko) 2001-11-30 2001-11-30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305A Division KR20020092153A (ko) 2001-06-01 2001-11-30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72Y1 true KR200265772Y1 (ko) 2002-02-25

Family

ID=7307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008U KR200265772Y1 (ko) 2001-11-30 2001-11-30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3366C2 (ru) Чайная чашка и способ ее выполнения
KR100827982B1 (ko) 다용도컵
KR100757255B1 (ko) 차 우림구
KR200265772Y1 (ko)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KR200383573Y1 (ko) 음용 컵
KR200248395Y1 (ko)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KR20020092153A (ko) 찻잎 여과구조를 갖는 컵
JP2007090025A (ja) ワイヤー式コーヒードリッパー
US930938A (en) Cover for teapots.
KR200251605Y1 (ko) 필터를 구비한 보온용기
KR20070078858A (ko) 차 원료 옆면 내장과 농도조절 기능 종이컵
JP5418875B2 (ja) 形状の異なる複数の飲口を有する器
USD510503S1 (en) Child's bowl with lid and cutlery
KR200434951Y1 (ko) 일회용 찻컵
US1165376A (en) Coffee-pot.
KR200421585Y1 (ko) 컵용 기능성뚜껑
US1079830A (en) Coffee or tea pot.
KR200275138Y1 (ko) 음료수 원료가 내장된 종이컵
KR200426927Y1 (ko) 차 우림구
KR200446133Y1 (ko) 차 인퓨저
JP4725851B2 (ja) 焼酎用の酒器セット
KR100632785B1 (ko)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WO2010052509A1 (en) Hygienic colanders and the like
KR200412061Y1 (ko) 티백용 컵
GB2444026A (en) Tea or coffee bag filter or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