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349Y1 -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 Google Patents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349Y1
KR200265349Y1 KR2020010029461U KR20010029461U KR200265349Y1 KR 200265349 Y1 KR200265349 Y1 KR 200265349Y1 KR 2020010029461 U KR2020010029461 U KR 2020010029461U KR 20010029461 U KR20010029461 U KR 20010029461U KR 200265349 Y1 KR200265349 Y1 KR 200265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wing
head
boar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태수
Original Assignee
성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태수 filed Critical 성태수
Priority to KR2020010029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349Y1/ko

Links

Landscapes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고안은 골프의 스윙연습기로서 보드판이 부착된 매트(7)에 연습기인 클럽헤드(3)의 하단에 부착된 궤적표시핀(10)인 필기도구가 스윙의 궤적을 그려 자기 스윙의 궤적을 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하고 또 한편 클럽헤드의 상단부에 공간을 두고 여기에 스펀지를 넣어둔 뒤 사용자에 따라서 적당량의 물을 채워서 헤드의 무게를 조절 할수 있도록 고안된 스윙연습기와 매트임.

Description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A golf club indicating the trace of ark on the mat.}
본고안은 골프스윙연습기의 분야로서 종래의 기술은 고도의 전자장비를 갖추어 스윙을 분석하는 전자식이 있다.
이에 비해 본고안은 사용자가 밟고 있는 매트를 얇은 보드판(7)으로 하고 스윙채(3)의 하단에 스윙의 궤적을 표시할수 있는 매직체(21)를 두어서 클럽헤드가 그리는 궤적이 매트인 보드판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매트가 매끄러운 보드판(흑판)이므로 스윙채(이하 클럽 이라함)가 매트를 치는 이른바 뒷땅의 경우 에 대비하여 충격을 완화 하는 방법과 직전에 한 스윙의 궤도를 쉽게 지우는 방법이 기술적 과제가 될 것이다.
도1은 본고안스윙채의 사시도
도2는 본고안 매트의 사시도
도3은 스윙채의 밑면
도4는 지우개(스윙기 하단에 부착된)
도5는 지우개를 떼어낸 밑면
도6은 표시핀이 튀어나온 모습
도7은 표시핀판을 분리해논 클럽헤드
도8(A)매직체
(B)매직체 홀더
(C)표시핀판의 상단 사시도
(D)표시핀판의 하단 사시도
도9는 물탱크를 보이는 헤드의 내부모습도
도10(A)는 궤적 예시도
(B)는 표시핀(매직)과 매트의 접촉도를 앞에서 본모양
도11 은 실시예2(자동)의 경우 놀이의(이하 도15까지 제2실시예의 도면임)
도12 는 놀이의 뭉치의 사시도
도13 은 표시핀 판
도14 는 매직체를 부착시킨 사시도
도15 는 제2실시예의 놀이쇠 뭉치를 결합시킨 표시핀판의 완성도
〈도면의 주요부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물탱크 뚜껑
2.지우개
3.헤드
4.타격구
5.보드판 종선
6.중앙선
7.매트(보드판)
8.스탠스 위치 표시
9.표시핀 고정쇠
10.표시핀
11.접착체
12.볼트
13.볼트구멍
14.매직체 촉
15.매직체 보호돌기
16.매직체 고정돌기
17.섬유체
18.매직체 뒷뚜껑
19.매직체 고정구
20.볼트구
21.매직체 본체
22.매직체 홀더
23.표시핀 고정쇠
24.스프링
25.표시핀 고정쇠 끝돌기
26.물탱크 분리판
27.타격자리를 표시한 원
28.물탱크 공간
29.타격구 지지체
30.매직체 뚜껑
31.놀이쇠
32.사선면
33.놀이쇠 마감판
34.놀이쇠 마감판 홈
35.볼트구
36.스프링
37.놀이쇠 뭉치통
38.표시핀 압착돌기
40.놀이쇠 뭉치 고정 볼트구
41.표시핀 판 고정 볼트구
42.표시핀 판
본고안의 전체 사시도는 도1에서 보는바와 같이 통상의 드라이버와 같은 모습이다. 다만 내부는 도9에서 보는바와 같이 칸막이(26)를 두고서 상층부(28)는 물을 채울수 있도록 하고 하층부는 궤적 표시핀(10)의 장착공간으로 쓴다. 외관은 헤드의 상층부에 물뚜껑(1)이 있으며 헤드의 하단에 지우개가 부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를뿐 샤프트나 그립등은 모두 통상의 골프채를 생각하면 된다.
매트(7)는 흑판(board)에 사용되는 재질과 동일한 매끄러운 판을 사용하되 타격구(4)를 중심하여 가로 세로로 중앙선(6)을 위시하여서 중간중간의 간격을 알수 있도록 다수의 종선(5)을 그어둔다.(도2 및 도10참조)
매트의 앞쪽끝은 타격구(4)를 세울수 있는 지지체(29)를 두고 여기에 타격구(4)가 달린 회전체를 두어서 클럽으로 타격을 가하면 타격구가 회전하도록 하여둔다.
매트의 뒤쪽은 사용자가 발로 밟는 스탠스의 자리(8)를 표시한 것이며 이 부분은 미끄러우면 아니되므로 고무로된 발판을 얇게 깔아둔다.
이 고무판에는 스탠스의 위치를 확인 할수 있도록 종횡으로 선을 그어둔다. 매트(board)의 색은 꼭 흰색을 고집할 필요가 없고 녹색으로 처리하여도 궤적이 표시되기만 하면 무방할 것이다.
그 다음 스윙채인 클럽헤드(3)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본다.
헤드의 밑면은 도3과 같으며 도3은 손가락으로 판스프링으로된 표시핀(10)을 누르면 핀고정쇠(9)가 눌렸다가 스프링(24)의 힘으로 다시나와서 표시핀(10)을 헤드의 내부로 고정시키고 있는 장면이다. 잉크가 있는 매직체(21)가 붙어 있는 표시핀(10)은 그 자체가 탄성이 높은 판스프링으로 평소에는 도6에서 보는바와 같이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처럼 핀이 핀고정쇠(9)에 의하여 헤드의 내부로 들어가 있으나 사용자가 스윙시에는 원심력에 의하여 핀고정쇠(23)가 외부쪽(도8 d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탈하면서 표시 핀(10)이 도6과 같이 밖으로 튀어나와서 보드판에 궤적을 표시할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헤드의 밑면에 붙어 있는 지우개(2)는 쿠션이 있는 스펀지 같은 재질로서 직전의 궤적을 지우는데 사용할 뿐만 아니라 뒷땅을 칠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지우개(도4)는 통상의 흑판(흑판이라 하지만 사실은 white board임)에 필기도구로 쓰는 보드마카(board marker)를 지우는 것과 동일한 재질이며 탄력성이 있는 일종의 천(fabric)이므로 그 한쪽면에 접착제(11)를 두어 헤드에 접착시키고 마모시에는 교체할 수 있는 소모품으로 한다.
그 다음 표시핀(10)에 삽입되는 마커(marker)인 매직체(21)를 살펴본다.
이 마커는 흑판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잉크이며 다만 모양을 본고안에 맞도록 도8(A)도와 같이 직6면체로 제작했을 뿐이다.
매직체의 내부는 섬유심지(17)가 채워져 있고 앞뒤로 뚜껑(18,30)이 있다.
매직체(21)가 매직체홀더(22)에 삽입되면 고정돌기(16)가 고정돌기 삽입구(19)에 삽입되어 매직체(21)가 표시핀(10)과 하나로 고정되며 교체시는 매직체홀더(22)의 삽입구(19)부분이 약간들리도록 탄성체로 되어 있어서 교체를 할수 있다.
매직체홀더(22)와 표시핀(10)은 볼트를 이용해서 고정 시킨다.
도8(C)도는 매직체가 삽입된 표시핀체를 위에서 본 모양이며 (D)도는 뒤집어서 핀고정쇠(23)를 보이도록 한 도면이다.
그럼, 도10을 놓고 스윙궤적이 그려지는 과정을 본다.
동도 (B)도는 클럽헤드가 매트위를 스쳐지나갈 때 앞에서 본 핀의 각도를 보인 그림이다.
헤드가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지나갈 때 보드에 궤적이 남을수 있는 구간은 동 도면 '가'에서부터 '다'구간이 되며 궤적의 구간은 핀의 길이와 핀의 각도(a)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다.
즉 핀의 길이가 길고 핀의 각도가 직각으로 될수록 궤적의 구간은 길어질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구간은 임팩트점인 '나'점을 전후한 10내지15cm, 전후의 합계 약 20내지 30cm 정도면 스윙의 궤적을 알수 있으며 또 이것으로 볼의 방향은 결정된다고 볼 것이다.
도10(A)도는 위와 같이 하여 보드(7)에 나타난 궤적의 표시를 보인 그림이다.
어드레스를 한 볼의 위치도(27)와 중앙선(6)을 기준으로 하여 살펴보면 a선의 경우는 스퀘어(정직각)로 맞은 경우이며 볼은 비구선인 중앙선(6)을 따라 비행 할 것이다.
그러나 b선의경우는 스윙궤도가 아운사이드(out)에서 인(in)사이드로 그려저 있으며 이때는 볼은 비구선에 우회전 하면서 슬라이스가 나는 경우이다.
반대로 c선의 경우는 인에서 아웃으로 스윙이 된 경우로 이때는 볼이 좌측으로 회전하며 훅이 나오는 경우이다.
또한 a선의 경우는 클럽헤드의 중앙(헤드의 전후로 볼때)에 볼이 맞은 경우이지만, c선은 헤드의 끝부분 쪽으로 볼이 맞은 경우이며, b선의 경우는 반대로 안쪽으로 볼이 맞았음을 알수 있다. 왜냐하면 어드레스 점인 원(27)에서 볼 때 각각 전후로 선이 지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도7은 표시핀판(42)인 도8을 분리한 헤드의 모습으로 여기에다 표시핀판(42)을 볼트를 이용해서 고정 시킨다.(볼트구 13 참조)
이상 클럽헤드의 하부를 살펴보았으나 도9에는 클럽의 무게를 조절할수 있도록 물을 넣을수 있도록 된 상단부의 내부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단부의 물탱크(28)는 내부가 빈공간이며 뚜껑이 있다. 뚜껑은 물이 새지않도록 고무바킹을 두르고 탱크의 내부는 도면에서는 생략을 했으나 스펀지나 섬유심지를 채워 물이 절반정도 차 있을 때에도 출렁거리지 않도록 한다. 이 물탱크가 필요한 이유는 스윙연습기는 실제 사용하는 채보다 무겁게 하여 연습하는 것이 연습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며, 사용자에 따라서 알맞는 무게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외에 매직체의 촉(14)은 탄성이 좋은 고무심지를 사용하고 이 촉(14)을 보호하는 턱(15)을 도8C도 의 원내부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끝이 둥글게 하여둔다.
왜냐하면 뒷 땅을 친다든가 할 때 촉이 상하는 것을 방지 해야 하기 때문이다.
스윙궤적이 그려지는 보드판(7)은 최대한 미끄러운 재질로 하고, 표시핀(10)의 판스프링강도 는 적절히 조절하여서 촉(14)이 쉽게 상하지 않도록 적의 조절함은 물론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촉(14)대신에 볼펜의 경우와 같이 볼(ball)을 사용해도 무방 할 것이다.
이상은 평소에 표시핀(10)이 튀어나와 있어서 어드레스 때 표시핀이 걸리적 거리는 것을 막기위해 표시핀(10)을 손으로 눌러서 헤드 내부로 집어 넣어야 하지만 이하에서 설명 하는 제2실시예의 경우는 평소에는 표시핀이 헤드내부로 들어가 있으나 스윙시에는 원심력에 의하여 놀이쇠(31)가 원주쪽으로 밀려나면서 표시핀을 눌러주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매번 스윙시마다 표시핀을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시킨 경우이다.
헤드의 밑면에 붙이는 완성된 표시핀체의 전체모습은 도15에 도시 되어 있다. 이것(도15)을 헤드에 볼트를 이용해서 고정시키면 된다.
즉, 표시핀판(42) 이나 매직체(21)의 부착방법등은 모두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지만 표시핀판(42)이 전후로 넓어지고 놀이쇠 뭉치(37)가 결합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도13의 경우는 표시핀(10) 위에 직육면체의 돌기(38)가 있는바 이는 놀이쇠(31)가 원심력을 받아서 밖으로 움직일 때 표시핀을 헤드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놀이쇠는 도11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선면(32)이 있으며 이 놀이쇠를 놀이쇠 뭉치체(37)와 결합시킨 놀이쇠뭉치의 모습이 도12이다.
도12를 놓고 살펴보면 놀이쇠 뭉치체(37)안에 스프링(36)을 넣고 놀이쇠(31)를 끼운 다음 놀이쇠 마감판(33)을 홈(34)에 끼우면 완성된다.
이 완성체는 놀이쇠(31)가 놀이쇠 뭉치 안에서 동도면의 화살표에 따라서 전후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이 놀이쇠 뭉치(37)를 도13인 표시핀판(42)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도15와 같으며 최종으로 이를 헤드(3)에 고정시키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윙시에 놀이쇠(31)가 강한 원심력을 받아서 밖으로 밀려나고 밀려나오면서 놀이쇠의 사선면(32)이 표시핀의 돌출돌기(38)를 눌러서 표시핀(10)이 헤드(3)의 밖으로 밀려나와 보드판에 궤적을 표시한다.
스윙이 완료되면 원심력은 소멸되고 놀이쇠(31)는 스프링(36)의 작용으로 후진하고 표시핀(10) 역시 복원력이 있는 판스프링 이므로 처음의 형태로 돌아가 표시핀(10)이 헤드(3)의 내부로 숨는다. 즉 지우개(2)가 헤드의 밑면에 있으므로 평소에는 지우개의 높이에 의하여 표시핀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놀이쇠(31)는 원심력이 작동될 때 표시핀(10)을 누를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갖기 위해서 무게가 나가는 철로 제작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는 아무래도 놀이쇠의 높이 때문에 상부의 물탱크가 작아질 것이고 표시핀판(42)이 헤드의 밑면전체를 차지하게 될 것이지만 놀이쇠의 무게가 있기 때문에 물탱크의 크기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본고안은 고도의 장비나 시설이 필요없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으면서 자기의 스윙궤도를 정확히 체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첫째의 유용성을 찾을수 있다.
본고안을 사용하면 아마추어 골퍼들이 가장 골치를 썩이는 슬라이스(slice)와 훅(hook)의 교정에 매우 탁월한 효과 있을 것이다.
볼의 방향은 도10(A)도의 a선과 같이 비구선과 직각으로 맞으면 직선으로 비행하지만 동도의 b나c선처럼 비켜맞을 경우는 볼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핀(spin)이 걸려서 스핀이 걸린 방향으로 휘어지는 비행을 하여서 목적한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
이점이 아마추어 골퍼들에게 가장 흔한 경우이며 또 대부분의 스윙연습이 바로 이 현상을 고치기 위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사람에 따라서 스윙의 형태는 다양하나 어떤 스윙을 구사하든지 간에 중요한 점은 임팩트(impact)의 전후에서 볼을 스퀘어로 맞히기만 하면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본고안을 이용하여 반복하여 스윙연습을 하다보면 스윙의 궤적이 육안으로 확인되고 또 남아있으므로 자기의 스윙궤도패턴을 읽을수 있을 것이며 비구선에 따라서 스윙을 하는 방법이 나름대로 터득될 것이다.
즉 궤적의 표시없이 그저 막연히 열번 연습하는 것보다 본고안을 놓고 직전의 스윙궤도를 염두에 두고 의식을 하면서 하는 한두번의 연습이 훨씬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반복하여 스윙을 하다보면 자기에게 맞는 스탠스, 특히 왼발을 여는 정도와 오른발의 정확한 위치를 찾을수 있어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고안은 초보자뿐만 아니라 숙련된 골퍼들에게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왜냐하면 가느다란 프러스펜 정도(선의 굵기는 조절이 가능 함은 물론이므로)의 궤적이 남으므로 슬라이스나 훅의 체크 뿐만 아니라 앞뒤로 얼마나 밀렸는지등의 매우 정교한 스윙궤도의 체크가 가능 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면서 연습을 할 것이다.
스윙 연습시 골프채를 여러개를 들고서 연습을 하기도 하는데 이는 연습채는 실제의 채 보다 무겁게 하여 연습을 하면 효과가 있다는 것인바 본고안을 이용하면 물탱크의 물을 조절함으로서 쉽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할 것이다.

Claims (2)

  1. 매트(7)의 앞쪽에 타격구(4)가 회전되도록 회전축(29)을 세워두고 타격구(4)에서 아래로 수직한선과 매트(7)가 만나는 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비구선인 중앙선(6)을 사용자 의 좌우로 그어둔 매끄러운 보드판 으로 된 매트(7)를 두고, 연습기인 클럽의 헤드(3) 하단부에 매트(7)인 보드판에 스윙의 흔적을 남길수 있는 매직체(21)를 끼울수 있는 탄성체인 스프링을 이용한 표시핀(10)이 부착된 표시핀판(42) 장착하여, 스윙시에 헤드(3)보다 아래로 돌출된 표시핀(10)에 부착된 매직체의 촉(14)이 매트인 보드판에 스윙궤도의 흔적을 남길수 있고 이 흔적을 클럽헤드(3)의 하단에 부착시킨 지우개(2)로 지울수 있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클럽헤드(3)의 일부분에 물탱크(28)를 두고 물탱크의 내부는 스펀지나 섬유심지를 채운 뒤 물을 넣어서 클럽(3)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KR2020010029461U 2001-09-20 2001-09-20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KR200265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61U KR200265349Y1 (ko) 2001-09-20 2001-09-20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61U KR200265349Y1 (ko) 2001-09-20 2001-09-20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349Y1 true KR200265349Y1 (ko) 2002-02-21

Family

ID=7306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61U KR200265349Y1 (ko) 2001-09-20 2001-09-20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3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14B1 (ko) 2008-07-11 2010-07-07 홍성호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CN116157185A (zh) * 2020-07-14 2023-05-23 金志勋 能够核对挥杆轨道的高尔夫球杆用指示器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14B1 (ko) 2008-07-11 2010-07-07 홍성호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CN116157185A (zh) * 2020-07-14 2023-05-23 金志勋 能够核对挥杆轨道的高尔夫球杆用指示器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223A (en) Golfball stencil
US4441716A (en) Golf ball including alignment markings and golf ball marking device
KR100694855B1 (ko) 실내 퍼팅 연습기
US5478078A (en)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for use on a golf putter
JP2015514555A (ja) ゴルフ練習マット
KR100933708B1 (ko) 레이져 포인터를 이용한 볼 정렬라인 표시장치
US7594858B2 (en) Golf swing practice system
KR101980597B1 (ko) 다기능 골프용 퍼터
US6659775B1 (en) Golf training system
US5354064A (en) Golf ball striking mat
US4432551A (en) Golfer's training aid
US20050064959A1 (en) Promotional golf tee including a flat, flexible upper portion, alignement means and anchoring mechanism
KR200265349Y1 (ko)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US20060068947A1 (en) Pitching training mat and kit and associated method for training pitchers
US9539485B1 (en) Method of analyzing a golf swing and practice mat
US20190255401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102085048B1 (ko) 퍼팅 훈련 보조 기구
US5690557A (en) Putting practice device
KR100701889B1 (ko) 골프스윙 가이드장치
WO2005007246A2 (en) Light-based golf swing trainer
US5470071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H06501630A (ja) パット練習器具
GB1602443A (en) Apparatus for use in practising golf shots
JPH0119972Y2 (ko)
US5314186A (en) Golf stance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