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514B1 -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 Google Patents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514B1
KR100967514B1 KR1020080067548A KR20080067548A KR100967514B1 KR 100967514 B1 KR100967514 B1 KR 100967514B1 KR 1020080067548 A KR1020080067548 A KR 1020080067548A KR 20080067548 A KR20080067548 A KR 20080067548A KR 100967514 B1 KR100967514 B1 KR 100967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utter head
putter
magnetic
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85A (ko
Inventor
홍성호
Original Assignee
홍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호 filed Critical 홍성호
Priority to KR102008006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5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보드의 표면에 퍼팅라인이 표시되게 한 퍼터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성체로 된 체크핀을 갖는 퍼터 헤드에 있어서, 퍼터 헤드의 저면에는 핀수용홈을 형성하고, 핀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자석체를 매립 형성하며, 상기의 핀수용홈 내측으로는 삽입과 분리가 가능한 마그네틱 체크핀을 삽입 구성함으로써,
자석보드를 이용한 숏 퍼팅의 연습에 필요한 퍼터 헤드 저면의 마그네틱 체크핀을 상기 퍼터 헤드로부터 분리 보관하거나 헤드 내부에 수용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연습 상태에서 사용하던 퍼터를 그대로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어 연습시의 퍼팅 감각이나 자세를 온전하게 필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충분히 연습된 상태에서 연습시의 퍼터를 그대로 필드에서 사용하므로 경기력 향상은 물론 올바른 자세나 습관 등을 더욱 빠르게 습득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면서도, 동일한 퍼터를 이용하여 퍼팅 연습과 실전에서의 퍼팅이 모두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퍼팅, 연습, 퍼터, 헤드, 핀수용홈, 마그네틱 체크핀, 분리, 겸용

Description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Putter head capable of separation and fixing of pin for cheking putting line}
본 발명은 자석보드의 표면에 퍼팅라인이 표시되게 한 퍼터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성체로 된 체크핀을 갖는 퍼터 헤드에 있어 상기의 체크핀을 퍼터 헤드로부터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자석보드를 이용한 퍼팅라인을 연습하던 본래의 퍼터를 그대로 필드로 가지고 나가 사용할 수 있으므로 퍼팅 연습을 통한 감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하여 경기력 향상은 물론 올바른 퍼팅 자세나 습관을 더욱 빠르게 습득할 수 있게 한 퍼터 헤드에 대한 것이다.
골프 경기에 있어 티잉 그라운드에서의 정확한 방향과 궤적 및 비거리를 갖도록 골프공을 날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온그린 상태에서 홀컵을 향하여 골프공을 굴리는 퍼팅 역시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퍼팅은 다양한 물리적 요인의 영향으로 받게 되는데, 정확한 타점의 형성은 인팩트 순간에 스퀘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퍼팅 순간의 물리적 요인으로는 퍼팅 스트록의 궤적과 임팩트 순간의 퍼터 헤드 방향 및 임팩트의 위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는 것으로서, 퍼팅 스트록의 궤적은 방향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서 직선으로 퍼터 헤드를 뺏다가 다시 직선으로 퍼터 헤드를 밀고 나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임팩트 순간의 퍼터 헤드 방향은 임팩트 순간에 퍼터 헤드가 스퀘어가 되어야 하는 것인데 대부분의 주말 골퍼 또는 초보 골퍼의 경우 임팩트 된 볼을 미리 쳐다보게 되어 퍼터 헤드가 왼쪽을 향하게 되므로 공의 방향성이 제멋대로인 경우가 빈번한 것이다.
또한 퍼터 헤드의 중심을 볼을 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임팩트의 위치로서, 일관되게 토우 또는 힐로 치는 경우에는 관계가 없으나 임팩트 포인트가 헤드 여기 저기로 흩어져 있는 경우에는 역시 볼이 홀컵을 향하지 못하거나 거리 부족 또는 홀컵을 지나치게 되는 실수를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퍼팅의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요건 및 자세라 할 수 있는 퍼팅 스트록의 궤적은 전기한 바와 같이 퍼터 헤드의 직선 후퇴와 직선 전진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서, 대다수의 골퍼는 이와 같은 직선 운동력을 얻기 위해 다양한 퍼팅 연습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퍼팅 연습기는 통상적으로 3~5미터 정도의 길이를 갖는 인조매트를 이용하여 골프공을 원하는 지점으로 굴리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인조매트에는 직선의 줄무늬와 혹은 퍼팅 스트로크 분석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정교 한 퍼팅을 연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록지와 필기구를 이용한 퍼팅 라인의 확인수단은 매회 퍼팅시마다 상기의 기록지를 교체하거나 수회 반복 사용한 후 교체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은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며,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필기구의 고정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록지 상에 표시되지 않거나 기록지가 찢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필기구의 고정 위치가 높을 경우에는 기록지와의 간격이 멀어져 퍼팅시에도 기록지에 퍼팅 라인의 표시가 되지 않는 것이며, 필기구의 고정 위치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필기구가 기록지를 찢어버리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우면서도 상기의 기록지와 필기구를 세팅하는데 많은 시간을 빼앗기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기록지는 필기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두껍고 질긴 재질의 종이나 필름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기록지는 비교적 고가이어서 경제적 부담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일회성 소모품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자원 손실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은 2008년 특허출원 제45484호와 같이, 퍼팅 매트의 일측단에 자석 보드를 고정 형성하고, 퍼터 헤드의 저면에는 자석체를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퍼터 헤드를 자석 보드의 상부면으로부터 이동시키면 자석체에 의해 자석 보드 내의 철가루가 이동하여 퍼터의 궤적을 표시하므로 종래와 같이 기록지를 교체 사용하는 등의 불편함이 없으며, 퍼팅 라인이 표시된 자석 보드는 자석지우개를 통해 신속하게 표시 라인을 제거 또는 지워낼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반복 사용에 따른 경제적 이득을 제공할 수 있게 한 퍼팅 매트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퍼터는 퍼터 헤드의 저면에 자성체로 된 체크핀이 용접되거나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체크핀을 피터 헤드에 나사 체결하여 연습을 위한 전용의 퍼터 헤드로 제작되므로 실전에서의 감각을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퍼터 헤드는 전기한 바와 같이 자석보드에 의한 퍼팅라인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자성체로 된 체크핀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상기의 체크핀을 퍼터 헤드의 저면에 고정 설치함에 따라 상기의 체크 핀을 갖고 있는 퍼터 헤드는 실제 필드에서의 사용이 곤란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골퍼는 실내에서는 연습용 퍼터를 사용하게 되고 필드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퍼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퍼터 헤드의 형태나 중량에 민감한 골퍼의 경우 연습용 퍼터와 실전용 퍼터 사이에서의 감각 차이로 인하여 연습에서의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습용 퍼터와 실전용 퍼터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이나, 연습용 퍼터는 헤드의 저면에 자성체로 된 체크핀이 반드시 구비되어 야 하는 반면 실전용 퍼터는 그린과의 간섭을 유발하는 상기의 체크핀이 반드시 제 거되어야 하므로 이들의 혼용이나 겸용이 불가능하므로 전기한 바와 같이 퍼터의 교체에 따른 감각의 차이로 인하여 연습 상태에서 행해졌던 올바른 자세나 습관을 필드에서 그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퍼터 헤드의 저면에 마그네틱 체크핀을 삽입할 수 있게 한 핀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의 마그네틱 체크핀은 상기의 핀수용홈으로부터 고정되거나 분리 또는 방향의 전환을 통해 수용홈 내에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숏 퍼팅을 연습하기 위한 퍼터를 그대로 실전에서의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어 연습시의 퍼터 그립감이나 퍼팅 감각을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어 종래의 연습용 퍼터 및 퍼터 헤드가 갖는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성체로 된 체크핀을 갖는 퍼터 헤드에 있어서, 퍼터 헤드의 저면에는 핀수용홈을 형성하고, 핀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자석체를 매립 형성하며, 상기의 핀수용홈 내측으로는 삽입과 분리가 가능한 마그네틱 체크핀을 삽입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석보드를 이용한 숏 퍼팅의 연습에 필요한 퍼터 헤드 저면의 마그네틱 체크핀을 상기 퍼터 헤드로부터 분리 보관하거나 헤드 내부에 수용 보관 할 수 있게 하여 연습 상태에서 사용하던 퍼터를 그대로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어 연습시의 퍼팅 감각이나 자세를 온전하게 필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충분히 연습된 상태에서 연습시의 퍼터를 그대로 필드에서 사용하므로 경기력 향상은 물론 올바른 자세나 습관 등을 더욱 빠르게 습득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면서도, 동일한 퍼터를 이용하여 퍼팅 연습과 실전에서의 퍼팅이 모두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10)의 저면에는 마그네틱 체크핀(20)을 삽입하기 위한 핀수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핀수용홈(11) 바닥면에는 자석체(12)가 매립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핀수용홈(11)의 내측으로 마그네틱 체크핀(20)을 삽입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핀수용홈(11)에는 퍼터 헤드(10)의 저면으로 확장 내경을 갖는 확장단턱(13)이 형성되어 있고 확장단턱(13)의 일측에는 취출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마그네틱 체크핀(2)에는 상기의 확장단턱(13)으로 안치 삽입되는 철재로 된 원반(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원반(21)을 확장단턱(13)에 삽입하게 되면 마그네틱 체크핀(20)은 핀수용홈(1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핀수용홈(11) 내의 자석체(12)와 마그네틱 체크핀(20)은 상호의 인력에 의해 부착 상태가 되므로 퍼터 헤드(10)의 저면은 돌출되지 않은 매끄러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의 마그네틱 체크핀(20)을 이용하여 자석보드에 의한 숏 퍼팅의 연습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의 취출홈(14)으로 가는 철사나 볼펜 또는 열쇠 등을 삽입하여 원반(21)을 들어내면 상기의 확장단턱(13)으로부터 원반(21)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원반(21) 일측의 마그네틱 체크핀(20)이 퍼터 헤드(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원반(21)을 확장단턱(13) 내에 삽입하게 되면 내부의 자석체(12)와 철재로 된 원반(21) 간에 작용하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의 원반(21) 및 마그네틱 체크핀(20)은 퍼터 헤드(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마그네틱 체크핀(20)을 퍼터 헤드(10)의 내측에 삽입하여 보관하거나 삽입된 상태 그대로 필드에 나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실내에서 자석보드를 이용한 퍼팅 연습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그네틱 체크핀(20)이 퍼터 헤드(10)의 하부로 돌출되게 방향을 전환하여 부착함에 따라 실내에서의 연습이 가능한 퍼터 헤드(10)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틱 체크핀(20)을 퍼터 헤드(10) 내에 삽입하여 보관하거나 방향을 전환하여 돌출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핀수용홈(11) 내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소켓(22)을 삽입하여 이를 접착층(23)에 의해 상기 퍼터 헤드(10)의 핀수용홈(11)에 견고하게 부착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소켓(22) 내부에 우레탄 고무재로 된 탄력부싱(24)을 삽입하게 되면, 막대 형태로 된 마그네틱 체크핀(20)을 상기의 탄력부싱(24)을 통해 퍼터 헤드(10)에 삽입하여 돌출 장착하거나 퍼터 헤드(10)로부터 분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단면상 원형의 마그네틱 체크핀(20)을 상기의 탄력부싱(24)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밀어 삽입하면 탄력성을 갖는 우레탄 부싱의 가압 밀착력에 의해 상기의 마그네틱 체크핀(20)은 퍼터 헤드(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돌출 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핀수용홈(11)의 내의 자석체(12)는 상기의 마그네틸 체크핀(20)까지 자력이 미치게 되어 이들 자성체의 인력에 의한 이중의 고정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퍼터 헤드(10)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태의 마그네틱 체크핀(20)을 이용하여 자석보드의 상부면에 퍼팅 라인이 형성되도록 실내에서의 반복적인 퍼팅 연습이 가능한 것이며, 이와 같은 퍼터 헤드(10)를 갖는 퍼터를 실외에서의 그린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마그네틱 체크핀(20)을 상기의 탄력부싱(24) 및 소켓(22)의 내부로부터 인출 제거하여 주머니나 가방 등에 보관한 후 상기의 퍼터 헤드(10)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10)는 마그네틱 체크핀(20)의 삽입을 통해 퍼터 헤드(10)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실내에서의 자석보드를 이용한 숏 퍼팅의 연습을 위한 퍼터로 사용됨은 물론 마그네틱 체크핀(20)이 삽입 수용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그린에서의 실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습 상태의 그립 파지력이나 퍼팅 자세 및 각도 등의 감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경기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의 체크핀이 헤드 내측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의 체크핀이 헤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터 헤드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체크핀이 헤드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체크핀을 헤드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단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퍼터 헤드 11 : 핀수용홈
12 : 자석체 13 : 확장단턱
14 : 취출홈
20 : 마그네틱 체크핀 21 : 원반
22 : 소켓 23 : 접착층
24 : 탄력부싱

Claims (3)

  1. 자성체로 된 체크핀을 갖는 퍼터 헤드에 있어서,
    퍼터 헤드(10)의 저면에는 핀수용홈(11)을 형성하고, 핀수용홈(11)의 바닥면에는 자석체(12)를 매립 형성하며,
    상기의 핀수용홈(11) 내측으로는 삽입과 분리가 가능한 마그네틱 체크핀(20)을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핀수용홈(11)에는 확장단턱(13)을 형성하고, 확장단턱(13)의 일측에는 취출홈(14)을 형성하며, 마그네틱 체크핀(20)은 상기의 확장단턱(13)과 대응하는 크기로 된 철재의 원반(21) 일측에 고정 형성하여,
    마그네틱 체크핀(20)이 퍼터 헤드(10)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원반(21)을 확장단턱(13)에 삽입하면 철재로 된 원반(21)이 자석체(12)의 인력(引力)에 의해 퍼터 헤드(10)에 부착 고정되고,
    마그네틱 체크핀(20)이 핀수용홈(11)으로 삽입되게 원반(21)을 확장단턱(12)에 삽입하면 퍼터 헤드(10)의 저면은 매끄러운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핀수용홈(11)의 내측에는 하부가 개방된 소켓(22)을 삽입하여, 상기의 소켓(22)을 접착층(23)에 의해 핀수용홈(11) 내에 고정 형성하고, 상기의 소켓(22) 내부에는 우레탄 고무재로 된 탄력부싱(24)을 가압 삽입 형성하여,
    소켓(22)의 길이보다 긴 막대 형태의 마그네틱 체크핀(20)이 상기 탄력부싱(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돌출되거나 탄력부싱(24)으로부터 인출 제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KR1020080067548A 2008-07-11 2008-07-11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KR100967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548A KR100967514B1 (ko) 2008-07-11 2008-07-11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548A KR100967514B1 (ko) 2008-07-11 2008-07-11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85A KR20100007085A (ko) 2010-01-22
KR100967514B1 true KR100967514B1 (ko) 2010-07-07

Family

ID=4181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548A KR100967514B1 (ko) 2008-07-11 2008-07-11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604A (ko) 2019-10-10 2019-10-30 권영자 퍼팅 연습용 퍼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168U (ko) 1978-12-29 1980-07-14
JPH0999126A (ja) * 1995-10-06 1997-04-15 Suzuki:Kk ゴルフのパッティング練習具
KR20010113575A (ko) * 2001-10-26 2001-12-28 박찬희 퍼팅연습용 퍼터 및 이를 구비한 퍼팅연습장치
KR200265349Y1 (ko) 2001-09-20 2002-02-21 성태수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KR20020065349A (ko) * 2001-02-06 2002-08-13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이동체 제어 장치 및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168U (ko) 1978-12-29 1980-07-14
JPH0999126A (ja) * 1995-10-06 1997-04-15 Suzuki:Kk ゴルフのパッティング練習具
KR20020065349A (ko) * 2001-02-06 2002-08-13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이동체 제어 장치 및 게임 장치
KR200265349Y1 (ko) 2001-09-20 2002-02-21 성태수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KR20010113575A (ko) * 2001-10-26 2001-12-28 박찬희 퍼팅연습용 퍼터 및 이를 구비한 퍼팅연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604A (ko) 2019-10-10 2019-10-30 권영자 퍼팅 연습용 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85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550B2 (en) Multipurpose golf tool
US3415518A (en) Golfer's aid
US5393052A (en) Golfing device for divot repair/club holding/ball mark retention
US6004223A (en) Golfball stencil
US6758762B2 (en) Golf club grip in combination with ball marker and divot repairer
US20140162810A1 (en) Golf tee set
US8231477B2 (en) Golf aids
CA2532940A1 (en) Golf tee
US3791652A (en) Dimple mark repair device and ball marker combination with golf club
US20050064959A1 (en) Promotional golf tee including a flat, flexible upper portion, alignement means and anchoring mechanism
US7699721B2 (en) Golf tee set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967514B1 (ko) 퍼팅라인 체크핀의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한 퍼터 헤드
US7384353B2 (en) High perform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US20180154228A1 (en) Golf accessory
KR101120849B1 (ko) 퍼팅 연습 장치
US20140187341A1 (en) Tool for Putting Practice with Case
KR200481421Y1 (ko) 골프공용 마킹기구
KR101032901B1 (ko) 자석보드에 퍼팅라인이 표시되게 한 퍼터 헤드 부착식체크핀
KR20010099365A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골프 티
US20080287219A1 (en) Golf tee support apparatus
KR20190130230A (ko) 골프공 라이너
KR200359322Y1 (ko) 골프공용 홀더
GB2219513A (en) Golfing aid
US20230044669A1 (en) Magnetic Golf Tee and Grip
KR200265349Y1 (ko) 스윙궤도가 매트에 표시되는 스윙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