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196Y1 -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196Y1
KR200265196Y1 KR2020010032823U KR20010032823U KR200265196Y1 KR 200265196 Y1 KR200265196 Y1 KR 200265196Y1 KR 2020010032823 U KR2020010032823 U KR 2020010032823U KR 20010032823 U KR20010032823 U KR 20010032823U KR 200265196 Y1 KR200265196 Y1 KR 200265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ght emitting
rotating
wall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좋은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좋은인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좋은인상
Priority to KR2020010032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196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면에 표시요소가 도시되고 그 이면에 반사홈이 형성된 벽을 구비하는 원통형 표시부재와 원형의 발광장치와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발광장치가 상기 원통형 표시부재 밑에서 조명하고 회전장치가 원통형 표시부재를 원통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광표시 요소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조 내부에 상기 원통형 표시부재를 삽입하여 표시요소가 수조 내에서 회전하면서 발광장치에 의해 선명하고 아름답게 조명되도록 하여, 뛰어난 장식 효과 및 광고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DISPLAY APPARATUS WITH ROTARY LIGHT DISPLAYING MEMBER}
본 고안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사람들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광고 혹은 장식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표시장치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표시요소가 보다 잘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된다. 그 중에서 광, 즉 빛을 이용한 표시 장치가 많이 사용된다. 광을 이용하면 나타내고자 하는 표시요소를 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광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표시요소를 이면에서 조명하거나 표시요소가 두드러지도록 하거나 광 자체가 표시요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은 표시요소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정적으로 표현된다.
만일, 표시장치가 동적인 표시요소를 구비한다면 사람들에게 보다 더 눈에 잘 띄게 될 것이며, 어항과 같은 장식요소와 함께 사용된다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다. 어항의 경우 장식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은 간단한 장식을 추가하거나, 단순한 조명을 이용하는 등의방법으로서, 그 한계를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하는 광표시 요소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어항 내부에서 광표시 요소가 회전하도록 하여 장식 효과뿐만 아니라 뛰어난 광고 효과를 갖는 어항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표시장치의 덮개를 제거하고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도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4는 도1의 표시장치에 구비된 받침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5는 도1의 표시장치에 구비된 기포 발생기의 기포 발생기 덮개의 단면도
도6은 도1의 표시장치에 구비된 회전원통의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시장치 20 : 수조
24 : 덮개 30 : 지지대
40 : 받침 44 : 중간 지지벽
60 : 표출장치 62 : 회전원통
64 : 발광장치 70 : 문자표시 요소
72 : 반사홈 74 : 발광소자
75 : LED 80 : 회전장치
82 : 기포 발생 장치 84 : 프로펠러
88 : 연결튜브 90 : 기포 발생기 덮개
93 : 허브 95 : 깃
100 : 베어링
본 고안에 따르면 벽을 따라 통과하는 빛이 반사되어 벽의 표면 쪽으로 빛이 나오도록 표시요소가 형성된 원통벽을 구비하는 표시부재와, 상기 원통형 벽을 따라 통과되는 빛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 벽의 일단부와 마주보는 원주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발광장치와, 상기 원통형 벽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표시부재를 회전시키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표시장치는 수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조 내부에 상기 원통형 표시부재가 들어있다.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수조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포 발생 장치와, 상기 표시부재의 원통형 벽에 고정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다. 발광소자는 원형 고리형상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도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는 수조(20), 받침(40), 표출장치(60), 회전장치(80)를 구비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수조(20)는 몸통(22)과 몸통(22)을 덮는 덮개(24)를 구비한다. 몸통(22)은 바닥(26), 바닥(26)으로부터 연장된 측벽(28), 측벽(28)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30)를 구비한다. 지지대(30)는 십자형으로서, 끝 부분이 측벽(28)에 고정된다. 지지대(30)에는 지지대(30)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 구멍(32)이 형성된다. 지지대(30)에는 후술하는 베어링(100)이 결합된다. 바닥(26)에는 바닥(26)의 중심을 관통하는 연결튜브(88)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덮개(24)는 상부벽(36)과 상부벽(36)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테두리 벽(38)을 구비한다. 수조(20)의 측벽(28)이 덮개(24)의 테두리 벽(38) 내부로 끼워져 덮개(24)가 수조(20)를 덮는다. 수조(20)의 몸통(22)은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1과 도4를 참조하면, 받침(40)은 측벽(41), 수조 고정판(42), 바닥(43), 내부의 중간 지지벽(44)으로 구성된다. 중간 지지벽(44)이 측벽(41)의 중간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받침(40)의 내부를 상부(45)와 하부(46) 두 공간으로 나눈다. 중간 지지벽(44)에는 중간 지지벽(44) 중심을 관통하는 연결튜브(88)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다. 받침(40)의 수조 고정판(42)에는 수조 고정판(42) 중심을 관통하는 수조 고정구멍(47)이 형성된다. 수조(20)가 수조 고정구멍(47)에 끼워져 수조(20)의 측벽(28)과 고정구멍(47)이 접촉된 부분이 접착제 등의 적절한 결합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단, 수조(20)의 바닥(26) 아래쪽 중간 지지벽(44)에는 후술하는 발광장치(64)가 수조와 마주 대하며 고정된다.
도1, 도4, 도6을 참조하면, 표출장치(60)는 회전원통(62)과 발광장치(64)를 구비한다. 도1과 도6을 참조하면, 회전원통(62)은 상판(66), 상판(66)으로부터 연장되어 아래로 형성된 측벽(68)을 구비한다. 측벽(68)의 외부 표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기호, 도형 등과 같은 표시요소(70)가 형성된다. 문자 표시요소(70)이면에는 다수의 반사홈(72)이 형성된다. 후술하는 발광장치(64)로 빛을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원통부재를 통과시키면 빛은 반사홈(72)에서 반사되어 표시요소에서 원통부재의 반경방향으로 표출된다. 이렇게 표시요소로 빛을 표출시키는 기술은 한국 특허 1988-15445호의 공보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공보의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참조한다. 회전원통(62)은 상기 수조(2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회전원통(62)의 상판(66)은 후술하는 축(105)과 원판(107)을 통하여 고정되며 결국 지지대(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도1과 도4를 참조하면, 받침(40)의 중간 지지벽(44) 위에 부착되는 발광장치(64)는 발광소자(74), 발광부 고정판(76)을 구비한다. 발광소자(74)는 다수의 LED(75)가 결합되어 원을 형성한다. 이와는 달리 원형 LED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발광소자(74)의 지름은 상기 회전원통(62)의 지름과 같게 하는 것이 좋다. 발광소자(74)에는 전원코드(78)가 연결된다. 발광부 고정판(76)은 원형 판부재이다. 발광소자(74)는 발광부 고정판(76) 위에 부착된다. 발광부 고정판(76)은 발광소자(74)의 원의 중심이 회전원통(62)의 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중간 지지벽(44) 위에 고정된다.
도1과 도3을 참조하면, 회전장치(80)는 기포 발생 장치(82)와 회전원통(62) 내부의 아래쪽에 고정되는 프로펠러(84)를 구비한다. 도1을 참조하면, 기포 발생 장치(82)는 공기 공급기(86), 연결튜브(88), 기포 발생기 덮개(90)를 구비한다. 도5는 도1의 기포 발생기 덮개(90)의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기포 발생기 덮개(92)는 측벽(94), 윗벽(96), 바닥(98)으로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 부재이다.측벽(94)에는 다수의 작은 기포 구멍(99)이 형성되며, 바닥(98)에는 연결튜브(88)가 고정된다.
도1과 도5를 참조하면, 연결튜브(88)는 공기 공급기(86)로부터 연장되어 받침(40)의 중간 지지벽(44)과 수조(20)의 바닥(26)을 통과하여 수조(20) 안으로 삽입된다. 기포 발생기 덮개(90)는 수조(20)안으로 삽입된 연결튜브(88)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1과 도3을 참조하면, 프로펠러(84)는 중앙에 위치하는 허브(93)와 허브(93)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다수의 깃(95)을 구비한다. 프로펠러(84)의 깃(95)의 끝이 회전원통(62)의 측벽(68)의 안쪽에 고정되어 회전 팬(84)과 회전원통(62)은 일체가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수조(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베어링(100)은 그 사이에 볼(103)이 끼워진 수조 고정측 베어링 판(101)과 회전원통측 베어링 판(102)을 구비하는 트러스트 볼 베어링이다. 수조 고정측 베어링 판(101)에는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 구멍(104)이 마련된다. 회전원통측 베어링 판(102)에는 회전축(105)이 고정된다. 회전축(105)은 수조에 고정된 베어링 판(101), 수조의 지지대(30), 회전원통의 상벽(66)을 지나 연장되어 원판(107)에 고정되고 원판(107)은 회전원통(62)의 상벽(66)에 고정된다. 이로서, 회전원통(62)은 수조(2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을 받은 공기 공급기(86)가 공기를 공급하면 수조(20)하부의 기포 발생기 덮개(90)를 통해 기포가 발생한다. 이때, 발광장치(64)의 발광소자(74)는 빛을 회전원통(62)의 측벽(68)을 따라 가도록 공급한다. 기포 발생기 덮개(90)를 통해 나온 기포는 물 속에서 상승하며 물의 흐름도 일으킨다. 공기의 이동, 물의 흐름에서 프로펠러(84)가 회전하고, 회전원통(62)이 수조(2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도6에 도시된 회전원통(62) 표면의 문자표시(70) 역시 같이 회전하게 된다. 발광장치(64)의 발광부재(74)로부터의 빛은 회전원통(62)의 측벽(68)을 따라가다가 그중 일부는 문자표시(70) 이면에 형성된 다수의 반사홈(72)에 반사되어 문자표시(70)가 더욱 아름답고 선명하게 표시되게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원통이 기포의 공급에 의해 원통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회전원통은 회전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서도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문자표시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문자표시외에 그림 및 각종 도안에 대한 조명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하므로 표시요소가 회전하여 사람의 눈길을 더 많이 끌 수 있다. 표시요소가 구비된 원통이 회전하더라도 빛이 원통벽을 따라 진행하여 표시요소 이면에 형성된 반사홈에서 반사되어 표출될 수 있어 문자, 도안, 그림 등의 표시요소가 더욱 독특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표시장치는 어항으로도 겸할 수 있어 어항의 장식 효과뿐만 아니라 뛰어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벽을 따라 통과하는 빛이 반사되어 벽의 표면 쪽으로 빛이 나오도록 표시요소가 형성된 원통벽을 구비하는 표시부재와,
    상기 원통형 벽을 따라 통과되는 빛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 벽의 일단부와 마주보는 원주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발광장치와,
    상기 원통형 벽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표시부재를 회전시키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조 내부에 상기 원통형 표시부재가 들어있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수조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포 발생 장치와,
    상기 표시부재의 원통형 벽에 고정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원형 고리형상의 LED 소자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KR2020010032823U 2001-10-26 2001-10-26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0265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823U KR200265196Y1 (ko) 2001-10-26 2001-10-26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823U KR200265196Y1 (ko) 2001-10-26 2001-10-26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595A Division KR20030033204A (ko) 2001-10-19 2001-10-19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196Y1 true KR200265196Y1 (ko) 2002-02-25

Family

ID=7307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823U KR200265196Y1 (ko) 2001-10-26 2001-10-26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1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899A (en) Rotating display
CA2428954C (en) Container with illuminated interior visual display
US5685097A (en) Illuminated colored display device
US6877883B2 (en) Ornamental sphere
US20060116050A1 (en) Illuminated bubble wand
US6869208B2 (en) Illuminated animated ornament
US5555658A (en) Decorative lamp assembly adapted to provide silhouetting effects
US20160074759A1 (en) Omni spinner
JP2008086589A (ja) 遊技機の電飾装置
US6880274B2 (en) Crystal ball structure delivering virtual snowfall scene and light effect
KR200265196Y1 (ko)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US5704145A (en) Point of purchase spinning display
KR20030033204A (ko)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1302223B1 (en) Table top hydro-mechanical candelabra display device
JP2003079504A (ja) 回転表示部を有するコップ
US3032905A (en) Advertising displays
CN217327747U (zh) 风扇
US982685A (en) Live-motion advertising device.
GB2422656A (en) Ornamental lighting with rotatable refractive elements
KR200408906Y1 (ko) 이미용 사인볼
KR100355063B1 (ko) 지구의용 발광회전장치
KR860003543Y1 (ko) 다색이 발광되는 조명광고 장치
US6715224B1 (en) Displaying ornament with rotational color disc
KR200429086Y1 (ko) 회전거울을 갖는 전시장치
JP2007065231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