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984Y1 -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 Google Patents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4984Y1 KR200264984Y1 KR2020010035155U KR20010035155U KR200264984Y1 KR 200264984 Y1 KR200264984 Y1 KR 200264984Y1 KR 2020010035155 U KR2020010035155 U KR 2020010035155U KR 20010035155 U KR20010035155 U KR 20010035155U KR 200264984 Y1 KR200264984 Y1 KR 20026498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on
- dotting
- assembled
- hole
- precise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TV, VTR 등과 같은 가전제품, 전화기, 모뎀 등과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상에 칩이나 IC와 같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돗팅방식으로 디스펜싱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단일의 바디에 에폭시의 돗팅(Dotting)에 따른 업/다운과 회전에 의한 디스펜싱 기능이 구축되어 고속화 장비가 갖추어야 할 기본요소의 부피 및 무게의 경량화로 고속의 응답성이 제공되어 돗팅 작업의 극대화와 에폭시 도팅량의 미세조정 및 정량토출 기능의 구축으로 장치의 신뢰성이 극대화는 물론 메니폴드형 구조 채택에 필요수량을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중의 고장이나 보수 시에 교체작업의 신속성이 제공되는 디스펜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통상의 로봇유니트에 장착되어 X축-Y축 이동이 가능하고 조립되는 단위체에 동력공압을 연결하기 위한 단위 군별로 에어토출구(120)와 에어배기구(130)를 구성한 모듈플레이트(100)와,
이 모듈플레이트에 단위체로서 장착되는 헤드바디(200)와, 이 헤드바디에 조립되어서 개별적인 상, 하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업다운회전수단(300)과,
이 업다운회전수단의 하부에 장착되어 에폭시(E.P)를 디스펜싱하는 노즐(435)을 구비한 돗팅노즐수단(400)과,
실린지(S.L)에 충진된 에폭시(E.P)를 일정압으로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에연결 이송하는 에폭시이송수단(500)과,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에 이송되는 에폭시(E.P)를 정량토출하며 그 토출량을 미세조정하는 토출량조정수단(600)과,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회전동력의 전달 및 제어하는 회전동력제어수단(700)과,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상하이동의 동력공압을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와 연결하여 제어하는 밸브수단(800)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TV, VTR 등과 같은 가전제품, 전화기, 모뎀 등과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상에 칩이나 IC와 같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돗팅방식으로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서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바디에 에폭시의 돗팅(Dotting)에 따른 업/다운과 회전에 의한 디스펜싱 기능이 구축되어 고속화 장비가 갖추어야 할 기본요소의 부피 및 무게의 경량화로 고속의 응답성이 제공되어 돗팅 작업의 극대화와 에폭시 도팅량의 미세조정 및 정량토출에 의한 돗팅 에폭시의 불량률이 극소화되는 기능의 구축으로 장치의 신뢰성이 극대화는 물론 메니폴드형 구조 채택에 의한 필요수량을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중의 고장이나 보수 시에 교체작업의 신속성이 제공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전기, 전자제품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여 전자부품의 소형화, 고밀도화,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의 조립생산에 적용되는 기수로서 표면실장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실장기술(SMT : Surface Mount Technology)은 표면실장부품(SMD : Surface Mounting Device)의 개발과 이러한 표면실장부품의 조립기술개발로 분류된다.
상기한 표면실장부품은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거하여 고집적화에의한 초소형화로 발전하고 있고, 이러한 초소형화된 부품을 실장하기 위하여 표면실장기의 개발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실장기(SMD Mounter)는 표면실장부품(칩, IC)을 PCB상에 실장하는 장비로서 표면실장부품을 부품공급기(Feeder)로부터 공급받아 PCB 상의 실장위치까지 이송하고 실장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표면실장에 있어 상기 표면실장부품이 위치하는 PCB 상에는 디스펜싱(Dispensing) 공정에 의하여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 하여 주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최근 상기한 표면실장기는 65,000 Chip/H 이상의 고속 칩마운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어, 이러한 칩마운터에 부응하는 고속의 디스펜싱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에폭시 디스펜싱 과정에는 정확성과 신속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디스펜싱에 따른 정량의 에폭시의 토출 및 필요적소에 정확한 디스펜싱이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진행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펜싱 방식은 독립된 헤드를 각기 제어를 해야하기 때문에 기구적인 메커니즘과 구성부재의 다수 소요에 의한 헤드 전체의 무게와 부피가 과다하게 커지는 단점이 있었고, 디스펜싱에 따른 이동 관성을 증가시켜 속도저하와 모타용량을 증가시킬 수밖에 없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헤드(1)가 X축-Y축으로 각각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로봇유니트(Robot unit)에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펜싱을 위해 X축-Y축 이동 → Z축 하강 → 노즐(2)에 의한 에폭시 디스펜싱 → Z축 상승의 반복적인 작동에 의하여 에폭시(E.P)를 PCB 기판에 돗팅방식으로 디스펜싱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에폭시(E.P)의 디스펜싱(Dispensing)에 따른 Z축(상하) 이동이 로봇유니트의 상승/하강 작업의 반복에 의한 상기 헤드(1)가 동일하게 상승/하강의 반복작동, 예로서 100개의 디스펜싱을 할 때 로봇유니트의 Z축이 100번 왕복운동을 해야만 진행됨으로서 반응속도가 느려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디스펜싱 위치의 가변, 다시말 하여 돗팅 위치의 전환을 위해서는 헤드(1)의 회전 필요시에는 로봇유니트의 전체 회전에 의해서만 가능함으로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헤드(1)가 하강이 된 후에 디스펜싱이 이루어지고 에폭시의 유동성이 항상 노즐(2)의 하부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에폭시의 유동성이 끝나는 시점까지 기다려야 안정된 돗팅이 제공되어 돗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유동성이 끝나지 않은 시점에서 다음 돗팅을 위한 상승운동이 진행되면 테일(Tail) 등이 심하게 나타나고 정유량토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의 바디에서 업/다운과 동시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돗팅방식으로 디스펜싱이 제공되어 디스펜싱 시간의 극소화로 에폭시의 돗팅작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의 바디에 업/다운과 회전에 의한 디스펜싱 위치 선정의 편리성 기능이 구축되어 에폭시 돗팅작업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속화 장비가 갖추어야 할 기본요소의 부피 및 무게의 경량화로 고속의 응답성이 제공되어 돗팅 작업의 극대화가 제공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에폭시 도팅량의 미세조정 및 정량토출 기능의 구축으로 장치의 신뢰성이 극대화가 제공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메니폴드형 구조 채택에 의한 다수 개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중의 고장이나 보수 시에 교체작업의 신속성이 제공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에 따른 노즐체의 교환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편리성에 의한 작업성을 극대화한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로봇유니트에 장착되어 X축-Y축 이동이 가능한 모듈플레이트와,
이 모듈플레이트에 단위체로서 장착되는 헤드바디와,
이 헤드바디에서 상하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업다운회전수단과,
이 업다운회전수단의 하부에 장착되어 에폭시를 디스펜싱하는 돗팅노즐수단과,
실린지에 충진된 에폭시를 상기 돗팅노즐수단에 연결 이송하는 에폭시이송수단과,
상기 돗팅노즐수단에 이송되는 에폭시를 정량토출하며 그 토출량을 미세조정하는 토출량조정수단과,
상기 업다운회전수단의 회전동력의 전달 및 제어하는 회전동력제어수단과,
상기 업다운회전수단의 상하이동의 동력공압을 상기 모듈플레이트와,
이를 연결하여 제어하는 밸브수단과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생략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발췌 확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일부 발췌 확대 분해사시도,
도 8a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 구성도,
도 8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일부 발췌 확대도,
도 12는 본 고안의 모듈플레이트와 헤드바디의 조립과정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모듈플레이트와 밸브수단의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단면 구성도로서 밸브수단의 조립상태 및 미 조립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의 헤드바디 단면구성도,
도 16a는 본 고안의 업다운회전수단의 단면구성도,
도 16b는 도 16a의 X-X선 발췌 확대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토출량조정수단의 단면구성도,
도 18은 본 고안의 돗팅노즐수단의 단면구성도,
도 19 및 도 20은 돗팅노즐수단을 구성하는 노즐조립체의 실시별 저면도,
도 21은 본 고안의 히터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발췌 단면도,
도 22는 본 고안의 에폭시이송수단의 단면구성도,
도 23은 본 고안의 회전동력제어수단의 발췌 사시도,
도 24는 본 고안의 회전동력제어수단의 텐션조립체의 조립상태 저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단면구성도,
도 26은 본 고안의 회전동력제어수단의 텐션조립체 분해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평단면 구성도,
도 28a 내지 도 28j는 본 고안의 돗팅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듈플레이트 200 : 헤드바디
300 : 업다운회전수단 400 : 돗팅노즐수단
500 : 에폭시이송수단 600 : 토출량조정수단
700 : 회전동력제어수단 800 : 밸브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단위체 조립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절결사시도, 도 4는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구성부재를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단면 구성도 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디스펜서 헤드는 대별하여 로봇유니트에 장착되어 X축-Y축 이동이 가능한 모듈플레이트(100)와,
이 모듈플레이트에 단위체로서 장착되는 헤드바디(200)와,
이 헤드바디에서 상, 하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업다운회전수단(300)과,
이 업다운회전수단의 하부에 장착되어 에폭시(E.P)를 디스펜싱하는 돗팅노즐수단(400)과,
실린지(S.L)에 충진된 에폭시(E.P)를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에 연결 이송하는 에폭시이송수단(500)과,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에 이송되는 에폭시(E.P)를 정량토출하며 그 토출량을 미세조정하는 토출량조정수단(600)과,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회전동력의 전달 및 제어하는 회전동력제어수단(700)과,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상하이동의 동력공압을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와 연결하여 제어하는 밸브수단(800)으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모듈플레이트(100)는 도 4 및 도 5, 도 8,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지지브라켓(110)이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에어토출구(120) 및 에어배기구(130)가 상, 하위치로 상기 헤드바디(200)의 조립 수량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된다.
상기 헤드바디(200)는 본 고안에서는 3개의 유니트로 구성됨으로 상기 에어토출구(120), 에어배기구(130)는 상기 헤드바디가 밀착 조립되는 적소에 각각 3개씩 형성되고, 이러한 헤드바디(200)의 조립 수의 증가는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의 상기 구성요소의 증가에 의하여 결정됨은 당연하다.
상기 각각의 에어토출구(1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서 관통되는 에어공급로(140)와 연통 되고, 내주연에 돌출환턱(121)이 형성되어 전방포트와 후방포트로 구획되어 연통 되되, 상기 에어공급로(140)는 상기 후방포트에 연통 된다.
이때, 상기 에어토출구(120)의 후방포트에는 상기 전방포트를 폐쇄하는 차단밸브(124)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밸브(124)는 전방에 오링(10-1)이 조립되고, 외주연에 에어통로홈(128)이 형성되어 전후이동가능케 삽입되는 에어차단플러그(125)와,
외주연에 요설된 오링홈에 오링(10-2)을 끼운 상태로 조립되어 후방포트의 후단을 밀폐하는 에어기밀커버(126)와,
이들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2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차단플러그(125)는 상기 압축스프링(127)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오링(10-1)을 밀착한 상태로 상기 전방포트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에어차단플러그(125)의 에어통로홈(128)은 상기 에어공급로(140)와 연통된 상태로 위치되어 각각의 에어토출구(120)는 항상 연통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각각의 에어배기구(130)는 후술하는 밸브수단(8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을 목적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모듈플레이트(100)를 로봇유니트(미도시됨)에 장착하는 경우에 후방으로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배출 용이성을 고려하여 모듈플레이트(100)의 저면으로 배출되도록 직각으로 관통되어 배출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135)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헤드바디(200)는 도 4 및 도 5, 도 8, 도 10, 도 12,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실, 중앙실, 하부실의 3단층으로 실린더실(210)이 관통되고, 전방 중앙에 상기 실린더실(210)의 중앙실 상, 하단 위치에 배기공(220)(221)이 관통되며, 전방 양측에 대향하여 장홈(230,230)과 너트고정홈(231,23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좌, 우측 후단에 내향으로 요설되는 너트고정홈(232,232)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에 체결볼트(20-1)(20-2)로 상호간이 체결되는 상부지지브라켓(250)과 하부지지브라켓(260)이 후방의 상,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실(210)의 하부실에는 하단에 베어링(280)이 조립되고 상부 내, 외주연에 실린터패킹이 끼움붙임된 실린더커버(270)가 나사조립으로 설치되고 후방에는 에어통로(290)가 관통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홈(230,230)에는 후술되는 업다운회전수단(300)에 구축되는 마그네틱링의 상승 점과 하한 점을 감지하는 무접점센서봉(240,240)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이러한 무접점센서봉은 별도로 장착되는 감지센서(미도시됨)와 연결된다.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은 도 5 및 6, 도 8 내지 도 10,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실(210)의 내부에서 승강작동 및 회전작동을 동시에 병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업다운회전수단(300)은 업다운로드(310)와,
이 업다운로드에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실(210)의 중앙실를 기밀 유지하면서 승강작동하는 피스톤(320)과,
이 피스톤의 하강 시에 완충작동을 제공하는 완충댐퍼(330)와,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업다운조인트(350)와,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향탄발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360)과,
상기 업다운조인트(350)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만을 제공하는 볼스플라인사프트(380) 및 볼스플라인베어링(381)과,
이 볼스플라인베어링(38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업다운조인트(350)와 업다운로드(310)를 회전시키는 제1풀리(385), 제2풀리(386)와,
상기 제1풀리(385)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름베어링(371)으로 대별된다.
상기 업다운로드(310)는 중앙의 단차헤드(312)의 하부에 하단 외주연으로 나사부를 형성한 연결로드(311)가 돌출 연장되고, 상부에 체결나사돌부(313)를 돌출하되, 중앙수직방향으로 상부가 확장된 단차진 피스톤공(315)과 로드공(316)이 관통되고, 상기 피스톤공(315)은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배기공(317)이 관통되며, 상기 로드공(316)의 하단 내주연에는 로드패킹(318)이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헤드(312)는 상기 실린더실(210)을 형성하는 중앙실과 하부실에 단차끼움되고, 상기 연결로드(311)는 상기 실린더커버(270)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 된다.
상기 피스톤(320)은 내, 외부연에 피스톤패킹을 조립하고 그 상부면에 다수의 구름볼(325)과, 이 구름볼을 안내하는 피스톤스페이서(321)가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연결로드(311)에 끼움 조립되고, 스냅링(326)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스페이서(321)가 상기 단차헤드(312)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320)의 하부면은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하한점 위치보다 상승된 위치로서 상기 실린더실(210)의 에어통로(290)보다 적어도 상부에 위치되어 에어압에 의하여 상승 가능토록 되어 있다.
상기 완충댐퍼(330)는 상기에서 언급한 업다운로드(310)의 상기 단차헤드(312)가 하강하여 중앙실 하단부에 맞닿을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장치에 무리한 부하, 파손을 가져올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320)의 하부면을 완충하면서 상기 단차헤드(312)를 상기 중앙실 하단부에 완충하여 파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 업다운조인트(350)는 하부 내주연에 형성되는 체결나사공(351)이 상부의 단차축공(352)으로 연통 되고, 이 단차축공의 수평방향으로 세팅스크류공(353,353)과, 상기 체결나사공(351)의 상부에 배기공(355)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업다운조인트(350)는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체결나사돌부(313)의 외주연에 마그네틱링(340)을 끼우고 상기 체결나사공(351)으로 나사 조립되어 상기 마그네틱링(340)의 상부면을 조여 고정한다.
상기 마그네틱링(340)은 상기 헤드바디(200)의 전방에 조립되는 상기 무접점센서봉(240,240)에 감지작동을 제공하여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압축스프링(360)은 상기 업다운 조인트(350)의 외주연으로 끼움 되고상기 마그네틱링(34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스프링플레이트(361)와, 이 스프링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상기 실린더실(210)의 상부실 내면에 조립되는 구름베어링(371)의 하면에 밀착되는 스프링스토퍼(362)와의 사이에 탄지되어서 상기 업다운로드(310)에 하향 탄지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360)은 이형단면이 사각스프링으로서 원형스프링에 비해 내구성과 강성이 뛰어나며, 고속 작동 시에 서어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률이 적어 본 고안에 적용에 적합하다.
상기 볼스플라인사프트(380)는 상기 업다운조인트(350)의 단차축공(352)에 조립되고 하부에 형성된 면취부분을 양방의 세팅스크류공(353,353)을 통하여 나사 조립되는 세팅스크류(354,354)의 나사 조임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볼스플라인베어링(381)은 상기 볼스플라인사프트(380)의 외부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볼스플라인사프트(380)는 길이방향으로 V형 볼홈(380-1)이 양방에 대향하여 요설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볼스플라인베어링(381)의 내주연 길이방향으로 V형 볼홈(381-1)이 요설되어 이들 볼홈(380-1,381-1)의 사이에 다수의 구름볼(383)이 개재되어 구성되고,
상기 볼스플라인베어링(381)은 외주연과 상기 구름베어링(371)과의 사이에 끼움 되는 제1풀리(385)와 세팅스크류(384,384)로 조립되고, 이의 상부에 체결볼트(387)에 의해 상기 제2풀리(386)가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1풀리(385)와 제2풀리(386)는 상기 회전동력제어수단(700)으로부터 타이밍벨트(T-B)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게 되고,
이러한 회전동력으로 상기 볼스플라인베어링(381) 및 볼스플라인사프트(380), 이 볼스플라인사프트와 조립 연결된 업다운조인트(350), 이 업다운조인트와 조립 연결된 업다운로드(310)가 동시에 회전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이때, 상기 업다운로드(310)를 지지하는 피스톤(320)은 내주연에 조립된 피스톤패킹과 상부에 형성된 볼안내홈에 안착된 다수의 구름볼(325)과, 이 구름볼을 지지 안내하는 피스톤스페이서(321)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은 정지상태로 상기 구름볼과 피스톤스페이서만의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회전 및 상하운동 시에 발생되는 스러스트 하중을 최소화하면서 최소의 공간을 점유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은 도 5 및 도 7, 도 8, 도 11,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연결로드(311)에 나사 조립되는 연결조인트(410)와,
실린지(S.L)에 충진된 에폭시(E.P)를 이송하는 상기 에폭시이송수단(500)과를 연결하는 가이드블록(420)과,
이 연결조인트의 하부에 조립되는 노즐조립체(430)와,
이 노즐조립체와 상기 가이드블록(420)을 상기 연결조인트(410)에서 조립상태를 고정하는 노즐캡(4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조인트(410)는 상기 연결로드(311)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체결나사공(411)이 형성된 확장헤드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공(411)은 그 하부에충진공(412)과 노즐조립공(415)이 관통되어 연결되되, 상기 충진공(412)은 외주연에 환상으로 요설되는 충진가이드홈(413)과 수평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충진인입공(414)으로 연통 되고, 상기 충진가이드홈(413)의 상, 하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오링홈에 각각의 오링(10-5)(10-5)이 조립된다.
이때, 상기 연결조인트(410)는 상기 연결로드(311)의 승하강에 따른 완충을 목적으로 댐퍼링(417)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공(411)의 내부에 오링(10-7)을 끼우고 상기 연결로드(311)가 나사 조립되되, 이 연결로드의 회전에 의한 나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측에 수평으로 관통된 세팅스크류공(418)에 수지재의 보호구(419-1)를 끼움 되고 세팅스크류(419)로 나사 조임 되어서,
상기 보호구(419-1)의 압착으로 상기 연결로드(311)의 나사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로드(311)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상기 오링(10-7)은 상기 에폭시의 화학성질에 대하여 균일하고 안정감을 제공하는 에틸렌 프로필렌디엔(EPDN)계의 오링을 사용한다.
상기 가이드블록(420)은 일 측에 수직향으로 회전축공(421)이 관통되고 상기 충진가이홈(413)에 위치하는 충진안내공(422)이 상기 회전축공(421)과 수평방향으로 관통 연결되며, 상기 충진안내공(421)의 일 측에 동일방향으로 히팅공(423)이 형성되어 히터(425)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히터공(423)은 일 측에 직교상태로 선단이 협소한 세팅스크류공(424)이 관통되고, 이에 볼(425)과 압축스프링(427)이 끼움 되고 세팅스크류(426)로 나사 조립되어 상기 볼(428)이 탄지 된 상태로 일부가 상기 히터공(423)에 돌출 되도록구성하여 상기 히터(425)를 착탈가능케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히터(425)를 히터공(423)에 끼우게 되면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환홈(425-1)이 상기 볼(428)에 걸림 되어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21 참조)
상기 노즐조립체(430)는 외주연에 걸림돌출턱(431)이 돌출 되고 중앙에 노즐공(432)이 관통되되, 상부 중앙에 니들시트(433)가 조립되고, 하부에 노즐(435)과, 이 노즐의 양방에 봉형태의 스토퍼(436,436)가 조립되어 구성되었다.
이때, 상기 니들시트(433)는 상기 노즐공(432)과 연통된 쐐기형 시트공(433-1)이 형성되어 상기 후술되는 토출량조정수단(600)의 돗팅피스톤(610)의 하부에 단차진 돗팅니들(612)의 반구형 끝단부가 밀착 및 타격 하면서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니들시트(433)는 상기 돗팅니들(612)이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는 곳이어서, 사용수명의 보장과 변형을 방지할 목적으로 열처리되고 경질크롬도금 처리되어 충격에 강한 내구성 및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토퍼(436,436)는 상기 노즐(435)의 끝단보다 약간 돌출 되어 상기 노즐(435)과 스토퍼(436) 간에는 일정의 갭(GAP)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노즐(435)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돗팅작업에 따라서 상기 양방의 스토퍼(436,436) 사이에 하나로 조립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노즐(435)로 조립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니들시트(433)의 재질 및 표면처리는 후술되는 토출량조정수단(600)의 돗팅피스톤(610)의 끝단에 형성된 돗팅니들(612)과의 접촉이 빈번하게 일어남으로 표면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하여 에폭시(E.P) 수용이 항시 일정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이러한 돗팅노즐수단(400)은 상기 가이드블록(420)이 상기 연결조인트(410)에 상기 회전축공(421)을 통하여 확장헤드의 하단면에 밀착 끼움 되고, 상기 노즐조립체(430)는 상기 연결조인트(410)의 노즐조립공(415)에 오링(10-6)을 끼운 상태로 끼움 되면서 저면에 형성된 세팅홈(410-1)에 상기 걸림돌출턱(431)을 조립하고, 상기 노즐캡(440)은 중앙에 관통된 관통공(441)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조립체(430)의 하부를 관통하여 끼운 상태에서 상기 연결조인트(410)의 하부에 밀착하여 나사 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조립체(430)는 걸림돌출턱(431)이 상기 연결조인트(410)의 세팅홈(410-1)에 세팅된 상태에서 노즐캡(440)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고 동시에 상기 가이드블록(420)의 이탈이 상기 노즐캡(440)에 의하여 방지된다.
상기 오링(10-6)은 전술한 오링(10-7)과 같은 재질의 에틸렌 프로필렌디엔(EPDN)계의 오링으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블록(420)의 높이치수는 상기 연결조인트(410)의 각각의 오링홈을 수용하는 큰 치수를 갖고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공(421)내에 상기 오링(10-5)(10-5)이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조인트(410)의 충진가이드홈(413)과 가이드블록(420)의 충진안내공(422)이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연통 되어서 상기연결조인트(410)의 회전에도 기밀성이 보장된다.
상기 에폭시이송수단(500)은 도 5, 도 7 및 도 8, 도 11, 도 18,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폭시(E.P)가 충진된 실린지(S.L)와,
이 실린지의 선단에 조립되는 실린지조인트(510)와,
이 실린지조인트에 나사 조립되는 연결니플(520)과,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의 가이드블록(420)의 충진안내공(422)에 나사 조립되는 연결니플(530)과,
상기 각각의 연결니플(520,530)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호스(540)와,
상기 실린지조인트(510)를 지지하는 실린지블록(5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지조인트(510)는 상기 실린지블록(550)의 조립공(551)에 오링(10-7)을 끼우고 조립되어 상기 연결니플(520)의 나사 조임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고,
상기 실린지조인트(510)는 상기 조립공(551)에 관통된 세팅스크류공(552)에 나사 조립되는 세팅스크류(553)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어 고정되며,
상기 실린지블록(550)은 상기 헤드바디(200)의 전방에 형성된 너트고정홈(231,231)에 너트(554)를 끼운 상태에서 체결볼트(555)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실린지(S.L)에 수용된 에폭시 용액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헤드바디(200)의 전면에는 정전용량센서(용액 잔량 검출센서)(E-S)가 설치되어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됨)에 연결되어 설치되어서, 상기 실린지의 에폭시 용액이 떨어지면 자동으로 감지하여 알려줌으로서 교체시기를 경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호스(540)는 에폭시(E.P)의 세척의 용이성을 위하여 일회용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량조정수단(600)은 도 5 및 도 6, 도 8 내지 도 11,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피스톤공(315) 및 로드공(316), 업다운조인트(350)의 단차축공(352), 볼스플라인사프트(380)의 중앙을 관통하여 내설되는 돗팅피스톤(610)과,
이 돗팅피스톤에 하향탄발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620)과,
상기 돗팅피스톤(610)의 상부 나사부(611)에 나사 조립되는 돗팅스토퍼너트(630) 및 고정너트(640)와,
상기 돗팅스토퍼너트(63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돗팅스토퍼(650)와,
이 돗팅스토퍼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돗팅스토퍼너트(630)의 하강작동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댐퍼(660)와,
상기 돗팅피스톤(610)의 상한 점을 1mm 간격으로 식별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조립되는 스토퍼게이지(690)로 구성된다.
상기 돗팅피스톤(610)은 외주연의 오링홈에 오링(10-8)이 조립된 피스톤헤드(670)가 중앙에 조립되고,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피스톤공(315)의 상부로부터 끼움 되어 체결나사돌부(313)와 나사 조립되는 업다운조인트(350)의 하부면과 상기 피스톤헤드(670)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압축스프링(620)을 개재하여 조립되되,
상기 돗팅피스톤(610)은 상기 연결조인트(410)의 체결나사공(411)의 내부에 끼움 되는 오링(10-7)에 의해 외주면에 묻어 있는 에폭시를 승강작동시에 드리핑(Dripping)하면서 셕선(Suction)하도록 되어 있고, 가늘게 단차 형성된 돗팅니들(612)이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을 구성하는 연결조인트(410)의 충진공(412)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조립체(430)의 니들시트(433)의 쐐기형 시트공(433-1)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돗팅피스톤(610)의 돗팅니들(612)은 끝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니들시트(433)의 쐐기형 시트공(433-1)에 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최하단까지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니들시트(433)의 쐐기형 시트공(433-1)의 최하단 면과 일정의 갭(GAP)을 형성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620)은 이형단면이 사각스프링으로서 원형스프링에 비해 내구성과 강성이 뛰어나며, 고속 작동 시에 서어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률이 적어 본 고안에 적용에 적합하다.
상기 회전동력제어수단(700)은 도 2, 도 23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710)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조립되는 구동풀리(720)와,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의 지지브라켓(110)에 세팅되어 상기 구동모터(710)를 지지 조립하는 모터바디(730)와,
상기 구동풀리(720)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 회전각도를 검출 가능케 하는 위치검출편(741)이 돌출된 센싱디스크판(740)과,
상기 위치검출편(741)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풀리(72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감지센서(S)와,
상기 구동풀리(720)와 상기 각각의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제1풀리(385), 제2풀리(386)를 연결하여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타이밍벨트(T-B)와,
이 타이밍벨트(T-B)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조립체(75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710)는 고속, 고정도의 제어가 가능한 AC 서보모터(SERVO MOTER)가 사용된다.
상기 센서(S)는 통상의 제어부(미도시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위치검출편(741)의 양방에 위치되는 감지센서로서, 상기 위치검출편(741)의 감지에 의한 상기 노즐(435)(복수의 노즐만 적용)의 셋팅각도를 감지하여 돗팅작업시에 상기 노즐(435)의 셋팅각도를 원점으로 잡아 상기 구동풀리(720)의 회전 제어에 의해 돗팅위치를 잡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텐션조정조립체(750)는 단위체 헤드바디(200)가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에 밀착 조립되는 상기 너트고정홈(232,232)간에서 슬라이드 이동 조정케 조립되어 상기 타이밍벨트(T-B)를 외측에서 가압하는 정도에 의하여 텐션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텐션조립체(750)는 상기 헤드바디(200)의 좌, 우측 후단에 형성된 너트고정홈(232,232)에 끼움되는 너트(751)와,
상기 헤드바디(200)의 상부면에 안착된 간격지지구(752)와,
이 간격지지구에 조립되는 제1베어링(753), 제2베어링(754)과,
이들 베어링이 상기 제1풀리(385)와 제2풀리(386)에 권회되는 각각의 타이밍벨트(T-B)의 폭 위치에 맞도록 유지시켜주는 제1, 제2스페이서(787,788)와,
이들을 조립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너트(751)와 체결되는 고정볼트(789)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벨트(T-B)의 텐션조정시에는 상기 고정볼트(789)를 어느 정도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한 다음 다시 고정볼트를 상기 너트(751)와 나사조임하여 조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수단(800)은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도 4, 도 5, 도 8,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형성된 에어토출/인입공(810)이 상기 헤드바디(200)의 실린더실(210)과 연통된 에어통로(290)와 연결되고, 후방의 상하방에 돌출된 픽싱에어조인트(820)(830)로서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의 에어토출구(120)와 에어배기구(13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픽싱에어조인트(820)(830)는 동일구조로서 선단에 내부통로와 연통 되는 다수의 에어통로(84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토출구(120)및 에어배기구(130)의 전방포트에 끼움 되는 가압돌출링(850)이 형성되어 선단으로부터 오링(10-3)을 끼운 상태에서 에어토출구(120) 및 에어배기구(130)의 전방포트에 각각 끼움 조립된다.
상기 밸브수단(800)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로서 작동이 정교하면서 규칙적이고 강한 추진력을 낼수 있으며, 짧은 스토로크(stroke)를 갖는 응답속도를 최대한 고속으로 낼 수 있는 3-2 웨이(WAY)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한다.
이러한 밸브수단(800)의 상기 픽싱에어조인트(820)(830)는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의 에어토출구(120) 및 에어배기구(130)에 끼움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돌출링(850)이 상기 오링(10-3)을 가압 밀착하여 외부와의 완벽한 기밀이 제공되고,
동시에 상기 에어토출구(120)의 후방포트에 설치된 차단밸브(124)의 에어차단플러그(125)가 상기 압축스프링(125)을 압착하면 후퇴시켜, 선단에 관통된 에어통로(840)를 통하여 상기 에어공급로(29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를 밸브수단(80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조립상태에서 상기 밸브수단(8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밸브를 개방하여 전방의 에어토출/인입공(810)을 통하여 일정한 압을 갖는 에어를 헤드바디(200)의 실린더실(210)에 공급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실(210)에 설치된 업다운회전수단(300)의 피스톤(320)을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원차단시에는 상기 압축스프링(360)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을 원래 위치로 하강하면서 인입된 에어가 다시 상기 전방의 에어토출/인입공(810)을 통하여 에어픽싱조인트(830), 상기 에어배기구(130)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상기 소음기(135)에 의해 배출소음이 극소화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밸브수단(800)은 상기 헤드바디(200)의 에어공급로(290)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서 동력공압을 상기 헤드바디(200)의 실린더실(210)에 공급과 차단이 제공되어 업다운회전수단(300)과 토출량조정수단(600)의 신속한 승강작동, 다시 말하여 고속의 응답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도 28a 내지 도 28j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듈플레이트(100)가 통상의 로봇유니트(미도시됨)에 조립된 상태에서 이송되어 위치된 PCB기판(P-B)의 상부에서 X축-Y축 간을 제어상태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의 에어공급로(140) 일측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 예로서 콤프레샤가 연결되고 타측은 엔드캡(미도시됨)을 마감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수단(8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밸브수단(800)은 전방의 에어토출/인입공(810)을 통하여 상기 헤드바디(200)의 에어통로(290)를 경유하여 실린더실(210)의 하부실에 인입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실린더실(210)의 하부실에 내설된 피스톤(320)을 상승 작동함으로서 업다운회전수단(300)과 돗팅노즐수단(400), 토출량조정수단(600)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Z축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상기 피스톤(320)이 공기압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면 업다운로드(310)가 상승하게 되고, 이와 나사 조립된 업다운조인트(350), 이 업다운조인트와 세팅 조립된 볼스프라인사프트(380)가 볼스플라인베어링(38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압축스프링(360)의 탄발력을 강압적으로이기고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실(310)의 중앙실에 충만되어 있는 공기는 상기 헤드바디(200)의 전방 상부에 연통된 배기공(220)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단차헤드(312)에 의한 내부공기 압축이 없이 원활한 상승작동이 제공된다.
이러한 작동과 연계되어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하부 연결로드(311)에 조립 연결된 돗팅노즐수단(400)도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로드(311)와 나사 조립된 연결조인트(410)와, 가이드블록(420)과, 노즐조립체(430), 노즐캡(440)을 일체의 개념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렇게 돗팅노즐수단(400)의 상승이 진행되면서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 내부에 관통 설치된 토출량조정수단(600)이 일정 시간차를 갖고 상기 돗팅노즐수단(400)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토출량조정수단(600)의 돗팅피스톤(610)은 중앙의 피스톤헤드(670)가 업다운로드(310)의 피스톤공(315)에 끼움 되고 상기 업다운조인트(350)와 사이에 탄지된 압축스프링(620) 의해 하향탄발력을 제공받아 하단부의 돗팅니들(612)이 상기 연결조인트(410)의 충진공(412)을 관통하여 노즐조립체(430)의 니들시트(433)와 미세한 갭을 유지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차를 갖고 먼저 돗팅노즐수단(400)이 상승하면서 상기 토출량조정수단(600)의 돗팅피스톤(610)의 돗팅니들(612)이 상기 니들시트(433)의 시트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620)을 압축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돗팅피스톤(610)의 돗팅니들(612)이 상기 니들시트(433)에 맞닿은 안착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노즐조립체(430)의 노즐공(432)을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폭시이송수단(500)의 실린지(S.L)에 충진된 에폭시(E.P)가 일정한 압력(통상 0.5~2 bar)에 의해 압축력을 받고 있는 플런저(미도시 됨)에 의하여 압축되어 연결호스(540)를 통하여 돗팅노즐수단(400)의 가이드블록(420)의 충진안내공(422)을 통하여 내부의 충진공(412)에 공급된다.
즉, 충진안내공(422)으로 이송 공급되는 상기 에폭시(E.P)는 연결조인트(410)의 충진가이드홈(413)에 안내되고 충진인입공(414)을 통하여 내부의 충진공(412)에 충진된 상태로 상승하여 도 28a와 같은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PCB기판(P-B) 상의 필요한 위치로 상기 에폭시(E.P)의 돗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X축-Y축으로 이동이 완료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수단(800)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밸브수단(800) 내에 제공되는 공기압이 차단되어 실린더실(210)의 공압이 제거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360)(620)의 탄발력으로 Z축의 하강작동이 시작된다.
즉, 상기 공기압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던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압축스프링(360)과 토출량조정수단(600)의 압축스프링(620)이 신장하게되어 상기 업다운로드(310), 피스톤(320), 업다운조인트(350), 볼스플라인사프트(380) 및 돗팅피스톤(610)이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상기 업다운로드(310)에 조립연결된 돗팅노즐수단(400)이 상기 헤드바디(200)의 하부면에서 이격되어 도 28b의 상태를 경유하게 된다.
이렇게 계속하여 업다운회전수단(300), 토출량조정수단(600) 및 돗팅노즐수단(400)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토출량조정수단(600)의 돗팅피스톤(610)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의 돗팅니들(612)이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의 니들시트(433)에서 이격되면서 충진공(412)에 충진된 에폭시(E.P)가 노즐공(432)으로 유입된다.(도 28c 참조)
이렇게 상기 돗팅니들(612)과 니들시트(433)간에 이격되는 갭(GAP)을 통하여 상기 에폭시(E.P)가 노즐공(432)에 충진되어 하부의 노즐(435)의 내부 하단까지 충진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스토퍼(436)에 의한 그 하강이 제한되면서 PCB 기판(P-B)에 돗팅하는 Z축 하강작동을 완료하게 된다.(도 28d 참조)
이러한 상기의 돗팅과정은 본 고안 장치의 초기작동의 과정으로서 상기 노즐(435)의 하단에 상기 에폭시(E.P)가 돗팅에 필요한 양으로 맺힘(응집)상태가 제공되지 않게 상기 PCB 기판(P-B)에는 에폭시 돗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초기작동 상태에서 다시 밸브수단(800)에 전원 인가하여 개방하게 되면, 상기 헤드바디(200)의 실린더실(210)에 압축된 공기가 공급되면서 본 고안은 Z축 상승작동을 시작하게 되고,
로봇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모듈플레이트(100)는 다시 소정의 위치로 X축-Y축 이동을 시작하여 상기 도 28a 상태의 Z축 상승과 돗팅위치의 설정을 완료하는 도 28e에서 28g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에폭시(E.P)는 상기 노즐(435)의 내부에 충진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돗팅니들(612)에 니들시트(433)가 상승함과 동시에 일정량의 에폭시(E.P)를 노즐공(432)으로 밀어내고, 상기 돗팅니들(612)이 니들시트(433)의시트면에 안착되어 노즐공(432)을 폐쇄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노즐(435)의 끝단에 정량의 에폭시(E.P)가 물방울 형태로 맺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8b로부터 28c까지의 동일한 과정으로서 본 고안은 도 28h에서 28i와 같은 Z축 하강작동을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돗팅니들(612)이 상기 니들시트(433)의 시트면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돗팅니들(612)의 단부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에 에폭시(E.P)가 채워지는 상태로 하강하여 도 28d와 같이 Z축 하강이 완료되는 도 28j의 작동으로 상기 PCB기판(P-B)상에 반구형으로 에폭시(E.P)를 돗팅하고, 상기와 같은 반복과정으로 에폭시의 디스펜싱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이때의 돗팅작업은 고속의 디스펜싱 작업 시에 가장 문제가 되는 테일(tail)의 발생, 다시 말하여 점성물질인 에폭시가 노즐(435)에서 절단이 순간적으로 진행되면서 없애게 되어 정량의 돗팅과 불량이 없는 반구형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돗팅니들(612)이 상기 니들시트(433)의 시트면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에폭시가 돗팅니들(612)의 끝단부로 채워짐과 동시에 상기 시트면에 상기 돗팅니들(612)의 이격으로 인한 부압이 발생하여 상기 노즐(435)에 채워진 에폭시를 순간적인 짧은 시간(15ms 이내)으로 상기 돗팅니들(612) 방향으로 흡인하게 되어 노즐의 끝단부에 유동의 단절이 이루어져 고속의 돗팅작업에서의 돗팅되는 에폭시의 테일(tail)을 없애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에폭시의 드롭(drop)현상을 없애주어 정유량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토출량조정수단(600)의 조정에 의하여 에폭시(E.P)의 돗팅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돗팅피스톤(610)의 상단 나사부(611)에 나사 조립된 돗팅스토퍼너트(630)와 고정너트(640)를 나사 조정하여 하단의 돗팅니들(612)과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의 노즐조립체(430)의 니들시트(433)간의 간격조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돗팅니들(612)과 니들시트(433)간의 간격조정은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에 조립된 스토퍼게이지(690)에 표시된 1mm 간격선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디스펜싱 작업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을 복수의 노즐(435)을 구축한 노즐조립체(430)를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노즐(435,435)을 갖는 노즐조립체(430)의 적용은 돗팅되는 PCB의 패턴에 의한 돗팅 위치에 따라서 상기 노즐(435)의 위치를 가변 하여 돗팅해야만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동력제어수단(700)의 제어에 의해 진행된다.
즉, 상기 회전동력제어수단(700)의 구동모터(710)의 작동에 의해 구동풀리(720)를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풀리의 회전동력을 단위체로서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에 세팅된 각 헤드바디(200)에 구성된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제1풀리(385)나 제2풀리(386)에 타이밍벨트(T-B)로 연결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상기 제1, 제2풀리(385,386)의 회전에 의하여 이와 조립된 볼스플라인사프트(380), 이와 조립 연결된 업다운조인트(350), 이 업다운조인트와 조립 연결된 업다운로드(3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상기 제1풀리(385)는 구름베어링(371)에 지지된 상태로 베어링 회전이 되고, 이 제1풀리(385)와 세팅 고정된 볼스플라인베어링(381) 및 볼스플라인사프트(380), 업다운조인트(350), 업다운로드(350)는 일체의 조립체로서, 상기 업다운로드(350)에 조립된 피스톤(320) 상부에 안착된 구름볼(325)과 이를 안내하는 피스톤스페이서(321)와 상기 헤드바디(200)의 실린더실(210) 하부에 조립된 실린더커버(270)의 베어링(280)에 지지되어 원활한 회전작동이 제공된다.
이러한 업다운회전수단(300)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상기 업다운로드(350)에 나사 연결된 돗팅노즐수단(400)도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의 가이드블록(420)은 회전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바디(200)에 실린지블록(550)으로 조립 고정되는 상기 에폭시이송수단(500)의 에폭시(E.P)를 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의 충진공(412)에 공급하도록 된다.
즉, 상기 업다운로드(350)에 나사 체결된 상기 연결조인트(410)가 상기 가이드블록(420)의 회전축공(421)에서 회전이 진행되고, 이러한 회전에도 상기 에폭시(E.P)는 상기 가이드블록(420)의 충진안내공(422)을 통하여 이송되고, 이렇게 이송되는 에폭시는 연결조인트(410)의 충진가이드홈(413)을 통하여 안내되면서외부의 오링(10-5,10-5)에 의하여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하고 내부의 충진공(412)에 충진연결공(414)으로 안내 공급되어 전술한 돗팅작업의 디스펜싱이 진행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가이드블록(420)의 일측에 형성된 히팅공(423)에 조립된 히터(425)에 의하여 이송되는 에폭시를 돗팅작업과 유동성이 좋은 상태로 예열하여 돗팅작업을 최대화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듈플레이트(100)가 매니폴드형 구조를 갖고 있어 상기 PCB의 패턴에 따라서 단위체의 헤드바디(200)를 필요수량으로 여러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돗팅작업 능률을 최대로 높일 수 있고, 고장 시나 보수 시에 장치 전체의 분해가 필요 없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폭시(E.P)가 채워지는 시간이 본 고안의 Z축 이동시간에 진행이 되면서 X축-Y축 이동한 후 돗팅을 위한 Z축 이동이 진행됨으로서 디스펜싱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인 점에 있고,
고속의 반복적인 돗팅작업에 발생되는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하여 댐퍼가 삽입 설치되어 장치의 안전성을 갖게 되며,
돗팅에 따른 돗팅량의 미세조정, 돗팅위치의 회전제어가 동시에 가능하여 장치의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매우 우수한 기술임이 명백하다.
Claims (35)
- 통상의 로봇유니트에 장착되어 X축-Y축 이동이 가능하고 조립되는 단위체에 동력공압을 연결하기 위한 단위 군별로 에어토출구(120)와 에어배기구(130)를 구성한 모듈플레이트(100)와,이 모듈플레이트에 단위체로서 장착되는 헤드바디(200)와,이 헤드바디에 조립되어서 개별적인 상, 하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업다운회전수단(300)과,이 업다운회전수단의 하부에 장착되어 에폭시(E.P)를 디스펜싱하는 노즐(435)을 구비한 돗팅노즐수단(400)과,이 돗팅노즐수단(400)에 실린지(S.L)에 충진된 에폭시(E.P)를 일정압으로 연결 이송하는 에폭시이송수단(500)과,상기 돗팅노즐수단(400)에 이송되는 에폭시(E.P)를 정량토출하며 그 토출량을 미세조정하는 토출량조정수단(600)과,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회전동력의 전달 및 제어하는 회전동력제어수단(700)과,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상하이동의 동력공압을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와 연결하여 제어하는 밸브수단(8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에어토출구(120)는 내주연의 돌출환턱(121)에 의해 전방포트와 후방포트로 구획 연통 되되, 일 측에서 에어공급유로(140)를 상기 후방포트로 연통하고 상기 전방포트를 폐쇄하는 차단밸브(124)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차단밸브(124)는 전방에 오링(10-1)이 조립되고, 외주연에 에어통로홈(128)이 형성되어 전후이동가능케 삽입되는 에어차단플러그(125)와,외주연에 요설된 오링홈에 오링(10-2)을 끼운 상태로 조립되어 후방포트의 후단을 밀폐하는 에어기밀커버(126)와,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127)에 의해 상기 에어차단플러그(125)가 상기 오링(10-1)을 밀착하고 전방포트를 폐쇄하고, 상기 에어통로홈(128)이 상기 에어공급로(140)와 연통된 상태로 위치되어 각각의 에어토출구(120)는 상호간이 연통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에어배기구(130)는 저면 방향의 직각으로 관통되어 배출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135)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헤드바디(200)는 상부실, 중앙실, 하부실의 3단층으로 실린더실(210)이 관통되고, 전방 중앙에 상기 실린더실(210)의 중앙실 상, 하단 위치에 배기공(220)(221)이 관통되며, 전방 양측에 대향하여 장홈(230,230)과 너트고정홈(231,23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좌, 우측 후단에 내향으로 요설되는 너트고정홈(232,232)이 형성되고,상기 모듈플레이트(100)에 체결볼트(20-1)(20-2)로 상호간이 체결되는 상부지지브라켓(250)과 하부지지브라켓(260)이 후방의 상,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상기 실린더실(210)의 하부실에는 하단에 베어링(280)이 조립되고 상부 내, 외주연에 실린터패킹이 끼움붙임된 실린더커버(270)가 나사조립으로 설치되고 후방에는 에어통로(290)가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장홈(230,230)에는 무접점센서봉(240,240)이 삽입되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은 업다운로드(310)와,이 업다운로드에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실(210)의 중앙실를 기밀 유지하면서 승강작동하는 피스톤(320)과,이 피스톤의 하강 시에 완충작동을 제공하는 완충댐퍼(330)와,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업다운조인트(350)와,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향탄발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360)과,상기 업다운조인트(350)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만을 제공하는 볼스플라인사프트(380) 및 볼스플라인베어링(381)과,이 볼스플라인베어링(38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업다운조인트(350)와 업다운로드(310)를 회전시키는 제1풀리(385), 제2풀리(386)와,상기 제1풀리(385)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름베어링(37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업다운로드(310)는 중앙의 단차헤드(312)의 상, 하부에 체결나사돌부(313)와 하단 외주연으로 나사부를 형성한 연결로드(311)가 연장되고, 상부 내부에 단차진 피스톤공(315)과 로드공(316)이 관통되며, 상기 피스톤공(315)은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배기공(317)이 관통되고, 상기 로드공(316)의 하단 내주연에는 로드패킹(318)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피스톤(320)은 내, 외부에 피스톤패킹을 조립하고 그 상부면에 다수의 구름볼(325)과, 이 구름볼을 안내하는 피스톤스페이서(321)가 순차적으로 안착하여 상기 연결로드(311)에 끼움 되는 스냅링(326)에 의해 상기 피스톤스페이서(321)를 상기 단차헤드(312)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피스톤(320)은 내주연에 조립된 피스톤패킹과 상부에 형성된 볼안내홈에 안착된 상기 다수의 구름볼(325), 이 구름볼을 지지 안내하는 피스톤스페이서(321)의 회전으로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회전 및 상하운동 시에 발생되는 스러스트 하중과 마찰저항을 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업다운조인트(350)는 상부 양방으로 배기공(355,355)이 관통된 체결나사공(351)이 상부의 수평방향으로 세팅스크류공(353,353)이 관통된 단차축공(352)으로 연통 되고,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체결나사돌부(313)의 외주연에 끼움 되는 마그네틱링(340)을 상기 체결나사공(351)으로 나사 조립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압축스프링(360)은 이형단면이 사각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볼스플라인사프트(380)는 하부의 면취부분을 상기 업다운조인트(350)의 단차축공(352)에 형성된 양방의 세팅스크류공(353,353)을 통하여 나사 조립되는 세팅스크류(354,354)에 의해서 조립하고, 상기 볼스플라인베어링(381)은 상기 볼스플라인사프트(380)의 외부에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 제7항, 제8항에 있어서,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은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연결로드(311)에 나사 조립되는 연결조인트(410)와,실린지(S.L)에 충진된 에폭시(E.P)를 이송하는 상기 에폭시이송수단(500)과를 연결하는 가이드블록(420)과,이 연결조인트의 하부에 조립되는 노즐조립체(430)와,이 노즐조립체와 상기 가이드블록(420)을 상기 연결조인트(410)에서 조립상태를 고정하는 노즐캡(4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조인트(410)는 체결나사공(411)이 형성된 확장헤드가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오링(10-7)을 끼워 상기 연결로드(311)의 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나사공(411)은 그 하부에 충진공(412)과 노즐조립공(415)이 관통되어 이 노즐조립공에 오링(10-6)을 끼워 상기 노즐조립체(430)에 조립되며,상기 충진공(412)은 외주연에 환상으로 요설되는 충진가이드홈(413)과 수평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충진인입공(414)으로 연통 되고, 상기 충진가이드홈(413)의 상, 하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오링홈에 각각의 오링(10-5)(10-5)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오링(10-6)(10-7)은 에틸렌 프로필렌디엔(EPDN)계로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8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조인트(410)는 일측에 수평으로 관통된 세팅스크류공(418)에 수지재의 보호구(419-1)를 끼움 되고 세팅스크류(419)로 나사조임되어 상기 연결로드(311)의 나사부를 보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블록(420)은 일측에 수직향으로 회전축공(421)이 관통되고 상기 충진가이홈(413)에 위치하는 충진안내공(422)이 상기 회전축공(421)과 수평방향으로 관통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4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블록(420)은 충진안내공(421)의 일측에 동일방향으로 히팅공(423)이 형성되어 히터(425)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노즐조립체(430)는 외주연에 걸림돌출턱(431)이 돌출 되고 중앙에 노즐공(432)이 관통되되, 이 노즐공과 연통된 쐐기형 시트공(433-1)을 갖는 니들시트(433)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니들시트(433)는 열처리되고 경질크롬도금 처리된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에폭시이송수단(500)은 에폭시(E.P)가 충진된 실린지(S.L)와,이 실린지의 선단에 조립되는 실린지조인트(510)와,이 실린지조인트에 나사 조립되는 연결니플(520)과,상기 돗팅노즐수단(400)의 가이드블록(420)의 충진안내공(422)에 나사 조립되는 연결니플(530)과,상기 각각의 연결니플(520,530)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호스(540)와,상기 실린지조인트(510)를 지지하는 실린지블록(5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 제5항,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실린지조인트(510)는 상기 실린지블록(550)의 조립공(551)에 오링(10-7)을 끼우고 조립되어 상기 연결니플(520)의 나사 조임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고,상기 실린지조인트(510)는 상기 조립공(551)에 관통된 세팅스크류공(552)에 나사 조립되는 세팅스크류(553)에 의하여 회전이 고정되며,상기 실린지블록(550)은 상기 헤드바디(200)의 전방에 형성된 너트고정홈(231,231)에 너트(554)를 끼운 상태에서 체결볼트(555)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실린지(S.L)는 내부의 에폭시 용액을 상기 헤드바디(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정전용량센서(E-S)에 의하여 잔량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 제7항, 제8항,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토출량조정수단(600)은 상기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상기 업다운로드(310)의 피스톤공(315) 및 로드공(316), 업다운조인트(350)의단차축공(352), 볼스플라인사프트(380)의 중앙을 관통하여 내설되는 돗팅피스톤(610)과,이 돗팅피스톤에 하향탄발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620)과,상기 돗팅피스톤(610)의 상부 나사부(611)에 나사 조립되는 돗팅스토퍼너트(630) 및 고정너트(640)와,상기 돗팅스토퍼너트(63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돗팅스토퍼(650),이 돗팅스토퍼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돗팅스토퍼너트(630)의 하강작동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댐퍼(660)와,상기 돗팅피스톤(610)의 상한 점을 설정하는 스토퍼게이지(69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돗팅피스톤(610)은 상기 업다운조인트(350)의 하부면과 중앙에 조립된 상기 피스톤헤드(670)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압축스프링(620)으로 탄력 설치되고, 하부의 돗팅니들(612)이 상기 연결조인트(410)의 충진공(412)을 관통하여 상기 니들시트(433)의 쐐기형 시트공(433-1)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돗팅피스톤(610)은 돗팅니들(612)의 하한점과 상기니들시트(433)의 쐐기형 시트공(433-1)의 하한점과 일정의 갭을 갖고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5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상기 돗팅피스톤(610)은 돗팅니들(612)의 반구형 끝단부가 상기 니들시트(433)의 쐐기형 시트공(433-1)을 밀착이나 타격 시에 밀봉하고 승강작동시에 상기 오링(10-7)에 의해 외주면에 묻어있는 에폭시(E.P)를 드리핑하면서 셕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압축스프링(620)은 이형단면이 사각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동력제어수단(700)은 구동모터(710)와,이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조립되는 구동풀리(720)와,상기 모듈플레이트(100)의 지지브라켓(110)에 세팅되어 상기 구동모터(710)를 지지 조립하는 모터바디(730)와,상기 구동풀리(720)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 회전각도를 검출 가능케 하는 위치검출편(741)이 돌출된 센싱디스판(740)과,상기 위치검출편(741)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풀리(72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감지센서(S)와,상기 구동풀리(720)와 상기 각각의 업다운회전수단(300)의 제1풀리(385), 제2풀리(386)를 연결하여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타이밍벨트(T-B)와,이 타이밍벨트(T-B)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조립체(75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모터(710)는 AC 서보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상기 텐션조립체(750)는 상기 헤드바디(200)의 좌, 우측 후단에 형성된 너트고정홈(232,232)의 사이에 끼움 되는 너트(751)와,상기 헤드바디(200)의 상부면에 안착된 간격지지구(752)와,이 간격지지구에 조립되는 제1베어링(753), 제2베어링(754)과,이들 베어링이 상기 제1풀리(385)와 제2풀리(386)에 권회되는 각각의 타이밍벨트(T-B)의 폭 위치에 맞도록 유지시켜주는 제1, 제2스페이서(787,788)와,상기 부재들의 조립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너트(751)와 체결되는 고정볼트(789)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 있어서,상기 밸브수단(800)은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전방에 형성된 에어토출/인입공(810)이 상기 헤드바디(200)의 실린더실(210)과 연통된 에어통로(290)와 연결되고, 후방의 상하방에 돌출된 픽싱에어조인트(820)(830)로서 상기 모듈플레이트(100)의 에어토출구(120)와 에어배기구(130)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33항에 있어서,상기 밸브수단(800)은 포핏구조를 갖는 3-2 웨이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 제33항에 있어서,상기 픽싱에어조인트(820)(830)는 동일구조로서 선단에 내부통로와 연통 되는 다수의 에어통로(84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토출구(120)및 에어배기구(130)의 전방포트에 끼움 되는 가압돌출링(850)이 형성되어 선단으로부터 오링(10-3)을 끼운 상태에서 에어토출구(120) 및 에어배기구(130)의 전방포트에 각각 끼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 디스펜서 헤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5155U KR200264984Y1 (ko) | 2001-11-15 | 2001-11-15 |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5155U KR200264984Y1 (ko) | 2001-11-15 | 2001-11-15 |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1162A Division KR100439084B1 (ko) | 2001-11-15 | 2001-11-15 |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4984Y1 true KR200264984Y1 (ko) | 2002-02-20 |
Family
ID=7311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5155U KR200264984Y1 (ko) | 2001-11-15 | 2001-11-15 |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4984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779B1 (ko) | 2004-10-27 | 2006-07-06 |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정밀정량토출형 점 도포 장치 |
KR100611350B1 (ko) | 2004-08-06 | 2006-08-11 | 주식회사 케이엠지 | 포장박스의 슬립방지용 분사기 |
KR20130110740A (ko) * | 2012-03-30 | 2013-10-10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수지도포장치 |
-
2001
- 2001-11-15 KR KR2020010035155U patent/KR20026498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1350B1 (ko) | 2004-08-06 | 2006-08-11 | 주식회사 케이엠지 | 포장박스의 슬립방지용 분사기 |
KR100597779B1 (ko) | 2004-10-27 | 2006-07-06 |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정밀정량토출형 점 도포 장치 |
KR20130110740A (ko) * | 2012-03-30 | 2013-10-10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수지도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9084B1 (ko) |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 |
EP0691804A1 (en) | Electronic-part surface mounting apparatus | |
KR100496401B1 (ko) | 흡착유니트 | |
KR101010024B1 (ko) | 칩 분류장치 | |
CN111453416B (zh) | 一种芯片拾取头 | |
KR20080076681A (ko) | 이송툴의 픽커 및 그를 가지는 이송툴 | |
CN110918384B (zh) | 一种超精密点胶系统及方法 | |
KR200264984Y1 (ko) |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 |
CN105070670A (zh) | 一种键合头装置及芯片封装装置 | |
CN1742528A (zh) | 多安装头 | |
KR100578693B1 (ko) | 레진 도포장치 | |
CN215031221U (zh) | 吸取装置及测试分选设备 | |
EP0423184B1 (en) | Device for rapid applying of pastes and adhesives at discrete points, especially for surface mounting of components at circuit cards | |
KR200315454Y1 (ko) | 업다운 및 회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고속정량토출형디스펜서 헤드 | |
KR200385695Y1 (ko) | 레진 도포장치 | |
TW200536696A (en) | Resin dispensing apparatus | |
JP3114469B2 (ja) | 電子部品吸着装置 | |
EP0939584B1 (en) | Electronic-component transferring apparatus | |
KR200171758Y1 (ko) | 에어실린더 | |
KR100865254B1 (ko) | 반도체칩 제조용 디스펜서 장치 | |
JPS61216399A (ja) | 部品插入装置 | |
KR100618307B1 (ko) | 솔더볼 공급장치 | |
CN218796955U (zh) | 一种螺杆喷射阀 | |
CN221916286U (zh) | 挡针结构及半导体产品的分散装置 | |
KR200352358Y1 (ko) | 레진 도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