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789Y1 - 자가 발전식 리모컨 - Google Patents

자가 발전식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789Y1
KR200264789Y1 KR2020010035718U KR20010035718U KR200264789Y1 KR 200264789 Y1 KR200264789 Y1 KR 200264789Y1 KR 2020010035718 U KR2020010035718 U KR 2020010035718U KR 20010035718 U KR20010035718 U KR 20010035718U KR 200264789 Y1 KR200264789 Y1 KR 200264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self
knob
genera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철
Original Assignee
그린테크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크산업(주) filed Critical 그린테크산업(주)
Priority to KR2020010035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789Y1/ko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가 발전식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은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노브와, 상기 구동노브의 구동에 따라 기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증속기어와, 상기 증속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소정 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기 모듈과; 상기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 저장하는 충전수단과; 상기 충전수단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다수의 키 버튼 및 리모컨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구동노브의 주위에 노브의 구동에 따라 점등되는 구동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 발전식 리모컨{Independent power Remote Controller}
본 고안은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컨의 전원으로 건전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가 발전기를 통해 전원을 축전하여 사용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오디오 또는 비디오와 같은 전자기기 등에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리모컨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전자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 리모컨을 통해 조작가능 거리 내에서 용이하게 상기 기기들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컨의 대부분에는 통상적으로 1.5V 건전지 1개 또는 2개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기들에 사용된 종래의 건전지는 환경공해 물질로서 폐건전지 매립시 토양오염 문제 등으로 최근에는 무수은, 무카드늄 계열의 건전지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수은 건전지 등의 사용에 따른 분리수거 등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건전지를 생산할 때 공해물질을 배출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자체 충전 타입의 리모컨이다. 이러한 리모컨은 발전기와 충전회로를 결합하여 리모컨 본체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충전회로에 재충전용 건전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해 콘덴서를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건전지 사용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은 외부에서 충전되는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충전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자가 발전식 리모컨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리모컨이 충전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충전수단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자가 발전식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전기 모듈 20 : 충전수단
30 : 마이콤 100 : 자가 발전식 리모컨
110 : 구동 노브 120 : 상부 케이스
130 : 구동 표시부 140 : 하부 케이스
210 : 충전 표시부 211 : 검출부
212 : 발광부 220 : 충전확인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발전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노브와, 상기 구동노브에 의해 힘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로부터 발전기의 발전력을 증가시키는 증속기어와, 상기 증속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소정 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기 모듈과; 상기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 저장하는 충전수단과; 상기 충전수단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다수의 키 버튼 및 리모컨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구동노브의 주위에 노브의 구동에 따라 점등되는 구동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은 구동노브의 구동시 충전 진행상황을 상기 구동 표시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은 상기 발전기에 의한 상기 충전수단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사용자는 충전수단의 만충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모컨의 사용가능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의 전체 사시도 및 일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10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구동노브(110)를 구동시킴으로써, 리모컨에 내장된 발전기 모듈(10)의 발전기가 발전하게 된다. 이렇게 발전된 전원은 충전수단에 축전된다. 한편 상기 리모컨(100)은 사용자가 상기 구동노브(110)를 회전시킬 때마다 구동노브 주위에 설치된 구동 표시부(130)의 표시등이 점등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통해 상기 리모컨의 주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압의 발전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모컨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충전수단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충전수단의 충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자가 발전식 리모컨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컨(100)은 구동노브(110), 상부 케이스(120), 구동 표시부(130), 발전기 모듈(10), 기판, 하부 케이스(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노브(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회전노브로서, 상면에는 구동노브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노브가 형성되고, 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발전기를 발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노브(110)의 회전시 구동기어에 결합되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사용자의 회전력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는 다수의 키 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것은 하부 케이스(140)와 결합되어 발전기 모듈을 비롯한 여러 소자들이 결합되어 있는 기판을 보호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120) 내부에는 상기 구동 표시부(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 및 상기 발전기 모듈(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20,140) 및 상기 구동노브(110)는 ABS(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수지로 제작되었다. 이와 같은 ABS 수지는 열, 충격, 빛, 습기 등에 강한 특성이 있으며, 가공이 쉽고 착색이 용이하여 전자, 전기 제품의 외장재나 자동차의 내장재 등에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표시부(130)는 상기 구동 표시등의 점등시 발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 표시부(130)는 상기 구동노브(1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노브(110)가 삽입되는 노브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브 삽입홈의 중앙에는 상기 노브의 하면에 돌출된 삽입부가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표시부(130)의 주위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돌기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노브의 주위에 상기 구동 표시부(130)의 표시등이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표시등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 표시부(130)는 아크릴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아크릴의 특성은 투명성이 강하고 자연광선의 투과율이 매우 높으며,파괴 강도가 일반 유리에 비해 높은 반면에 무게는 유리의 1/2수준이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에 있어서는 반투명의 아크릴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상기 구동 표시부의 표시등 점등시 발광을 안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발전기 모듈(10)은 다수의 기어 셋으로 이루어진 증속기어와 발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노브(110)의 삽입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전기 모듈(10)의 일측에는 상부 케이스(120)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발전기 모듈(10)은 상기 증속기어의 회전에 의해 증속된 회전 운동이 발전기의 축에 인가되면, 발전기의 축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전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기판의 끝단에는 표시등이 부착되어 결합시 상기 구동 표시부(130)의 표시등 삽입홈에 삽입되어 작동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표시등의 점등을 통해 발전 상태 및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리모컨은 사용자가 상기 구동노브를 좌, 우 어느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발전이 된다. 이때 상기 구동 표시부에 삽입된 표시등이 점등하게 된다. 이렇게 점등되는 표시등의 조도는 회전에 따른 충전량이 많을수록 반투명의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진 구동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 표시부를 따라 뚜렷하게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리모컨의 구동노브와 구동 표시부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종류, 예를 들면 왕복운동이 가능한 "ㄷ"형태 구동노브 등 다양한 형태의 구동노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표시부 역시 리모컨의 어느 일 부분에 설치되되, 그 형태는 다양하게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이 구현된 자가 발전식 리모컨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모컨(100)은 발전기 모듈(10), 충전수단(20), 마이콤(30)과 구동 표시부(130), 그리고 추가적으로 충전 표시부(210)와 충전확인 스위치(22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리모컨의 발전기 모듈(10)은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노브(110)와, 상기 구동노브(110)의 구동에 의한 기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증속기어와,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노브에 대한 설명은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증속기어는 상기 구동노브(110)의 구동에 따라 발전기 모듈(10)에 내재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기어 셋이 동작하여 기어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는 상기 증속기어에 의해 회전 속도가 증속된 회전운동이 발전기의 축에 인가되면, 발전기의 축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전기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체적인 발전을 통해 리모컨의 주전원으로 상기 발전기 모듈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충전수단(20)은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출력전압을 축전하는 것으로 상기 발전기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 수단(20)으로는 재충전이가능한 2차 전지나 고압 콘덴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고압 콘덴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2차 전지는 전기분해에 의해 서서히 산화되므로 어느 정도 충, 방전이 계속되면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수명이 다하므로 사용기간의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고압 콘덴서는 콘덴서의 특성상 순간적인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충, 방전으로 인한 수명이 반영구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마이콤(30)은 상기 충전수단(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키 버튼 및 리모컨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 표시부(130)는 상기 구동노브(110)의 구동에 따라 발전되는 발전기 모듈(10)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를 발전하는 할 때마다 표시등이 점등되어 외부로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등으로 사용되는 발광 소자로는 여러 종류의 발광 소자들이 있지만 LED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사용자는 구동노브의 주위에 설치된 구동 표시부의 표시등이 점등되는 것을 보고 발전기의 발전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 표시부(210)는 검출부(211)와 발광부(2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검출부(211)는 충전수단(2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일정 전원레벨 이상인지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부(211)는 충전수단의 출력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충전수단의 충전 잔여량이 설정 기준 이하로 내려가면 오프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검출부(211)에서 검출된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부(212)가 점등되는 것으로 충전량이 설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만 점등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주)한국전자에서 생산하는 리셋 IC의 한 종류인 저전압 검출소자KIA7036 AP/AF를 이용하여 공급전압을 검출하였다.
한편 상기 발광부(212)는 상기 검출부(211)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구동 표시부(130)의 표시등과 별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보다는 2색으로 발광하는 일체형의 2색 LED를 사용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2색 LED는 3개의 리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리드들에서 중앙에 있는 리드가 공통 단자이고, 하나는 적색용이고 다른 하나는 녹색용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2색 LED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제각기 점등될 수도 있고, 양쪽이 모두 점등되면 오렌지색으로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에 사용하는 경우 충전시에는 적색이 점등되도록 발전기 모듈에 직접 연결되어 적색을, 충전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검출부에 연결되어 검출부에서의 검출결과에 따라 녹색의 광을 띠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컨(100)은 충전확인 스위치(220)를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이콤(30)는 상기 충전확인 스위치(220)가 스위칭될 경우 상기 검출부(211)로 소정시간 동안 검출 명령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부(211)는 충전수단(20)으로부터 공급되는 출력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부(212)가 일정시간 동안 점등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는 상기 충전확인 스위치(220)가 상기 마이콤(30)을 통하지 않고 상기 검출부(211)에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211)에서 검출된 출력전압이 일정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스위치가 스위칭되는 동안에는 계속하여 상기 발광부(212)를 통해 발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표시부를 통해 현재 리모컨에 충전된 충전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도 3의 회로도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동 표시부와 충전 표시부가 발광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발전기 모듈에 의해 발전되는 것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모컨의 전원은 발전기 모듈(10)을 통해 발전된다. 그리고 이는 고압 콘덴서와 같은 충전수단(20)에 충전된다. 상기 충전수단(20)은 리모컨의 구동전원부로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발전기 모듈(10)은 구동 표시부(130)로도 전압을 출력하는데 이를 통해 상기 구동 표시부(130)의 표시등이 점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동노브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발전기 모듈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표시등이 점등되고 이를 통해 발전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표시부(210)는 상기 충전수단(20)으로부터 충전된 충전상태를 표시한다. 이러한 충전 표시부(210)는 트랜지스터와, 리셋 IC로 구성된 검출부(211)와 LED를 통해 발광되는 발광부(212)로 구성되어 외부로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켈렉터 단자는 전원공급단자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는 마이콤(30)과, 이미터 단자는 리셋IC와 연결된다. 한편 충전확인 스위치(220)는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한쪽은 접지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마이콤(3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확인 스위치(220)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직접 연결되어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충전확인 스위치(220)를 누르면 상기 마이콤(30)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를 온 시킴으로써, 리셋 IC를 통해 리모컨에 공급되는 전원, 즉 충전수단(20)에 축적된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신호에 따라 LED(212)가 소정의 시간 동안만 점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확인 스위치(220)가 직접적으로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충전확인 스위치(220)를 눌러리셋 IC를 통해 일정 기준전압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충전확인 스위치(220)를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지속적으로 LED(212)가 점등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자가 발전식 리모컨은 사용자가 구동노브를 구동함에 따라 발전기의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충전시 충전확인 스위치를 조작하여 충전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래의 리모컨을 충전시키는 경우 지루함을 느끼거나 아무런 재미를 느낄 수 없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전시 구동 표시부가 점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가 발전식 리모컨은 리모컨에 부착된 구동노브의 구동에 따라 발전기의 발전상태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리모컨에 축적되어 있는 충전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8)

  1.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노브와, 상기 구동노브의 구동에 따라 기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증속기어와, 상기 증속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소정 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기 모듈과;
    상기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 저장하는 충전수단과;
    상기 충전수단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다수의 키 버튼 및 리모컨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구동노브의 주위에 노브의 구동에 따라 점등되는 구동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
    상기 발전기에 의한 상기 충전수단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표시부와 구동 표시부가 2색 엘이디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표시부가 :
    공급전원이 일정 전원레벨 이상인지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 충전확인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 상기 충전확인 스위치가 스위칭될 경우 상기 검출부로 소정시간 동안 검출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
  6.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노브가 :
    회전노브이고, 회전노브의 주위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등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며 발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
  7.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이 :
    고압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
  8.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이 :
    2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식 리모컨.
KR2020010035718U 2001-11-20 2001-11-20 자가 발전식 리모컨 KR200264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18U KR200264789Y1 (ko) 2001-11-20 2001-11-20 자가 발전식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18U KR200264789Y1 (ko) 2001-11-20 2001-11-20 자가 발전식 리모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789Y1 true KR200264789Y1 (ko) 2002-02-20

Family

ID=7307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718U KR200264789Y1 (ko) 2001-11-20 2001-11-20 자가 발전식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7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0213B2 (ja) スイッチ装置
WO2011112553A2 (en) Lighted toy brick
AU2012268883B2 (en) Lamp
KR200264789Y1 (ko) 자가 발전식 리모컨
CN218740029U (zh) 一种智能跳绳的检测装置及其跳绳
KR100260790B1 (ko) 자동차용 원격 제어 장치
JPH0514978A (ja) リモコン装置
CN215870884U (zh) 一种控制设备
KR20060122076A (ko) 자가발전형 발광컵
JP3123169U (ja) 電子懐中電灯
CN209947715U (zh) 一种可远程控制的照明灯开关非接触式按压装置
US6593701B1 (en) Decorative lamp
JPH0593948A (ja) 遠隔操作対応カメラ
IT8922552A1 (it) Apparecchiatura di comando a distanza senza fili del tipo a libro.
CN101311545A (zh) 具显示器功能的风扇
CN216976839U (zh) 一种发光旋钮
CN100334669C (zh) 电子装置
CN212060920U (zh) 一种基于磁传感器的移动照明设备工作控制系统
CN115414626A (zh) 一种智能跳绳
CN219759430U (zh) 发光旋钮
CN220180668U (zh) 一种电子三角架
GB2533009A (en) Lamp
US8860333B2 (en) Method of interfacing with a portable light
CN2457820Y (zh) 自动发光遥控器
CN206094429U (zh) 一种u形led照明万能空调遥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506

Effective date: 2005070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