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780Y1 -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780Y1
KR200264780Y1 KR2020010035377U KR20010035377U KR200264780Y1 KR 200264780 Y1 KR200264780 Y1 KR 200264780Y1 KR 2020010035377 U KR2020010035377 U KR 2020010035377U KR 20010035377 U KR20010035377 U KR 20010035377U KR 200264780 Y1 KR200264780 Y1 KR 200264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ain body
plug
charg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용범
Original Assignee
중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일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5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78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행이나 출장 등 휴대폰 사용자가 이동시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됨은 물론, 휴대폰 전체를 올려놓은 상태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해 본체(1) 내부에 변압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휴대폰 결합편(110)과, 상기 본체(1)의 일측에 직각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전원공급단자(130)가 본체(1) 내부로 수용되거나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플러그(120)와, 상기 플러그에 구비되어 플러그(120)의 회동에 따라 전원공급단자(130)가 본체(1)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는 휴대폰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하는 충전단자(140)와, 상기 플러그(120)의 충전단자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폰을 본체(1)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휴대폰이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걸림턱(150)과, 상기 본체(1)의 플러그(120) 설치부쪽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단자(130)가 본체(1)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플러그(120)가 회동될 때 상기 전원공급단자(130)가 간섭됨이 없도록 하는 피난홈(1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충전기{charger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여행이나 출장시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충전기는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거의 고정식으로 이루어진 본체 일측에 도선으로 연결된 플러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행이나 출장시에는 휴대폰과 함께 소지하였다가 필요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휴대폰을 충전하도록 사용됨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한편, 일례로 국내에서 이미 출원된 고안; 실97-32516을 보면 본체가 개폐가능하게 커버와 받침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와 받침 사이에는 별도의 충전기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충전기를 별도로 소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충전장치'가 이미 공지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한 고안을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휴대용 충전장치는 본체의 커버와 받침 사이에 별도의 충전기를 내장하고 있음에 따라 평시에는 상기 충전기가 결합된 상태로서 휴대폰 또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필요시에는 상기 충전기만을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충전기만을 별도로 휴대하였을 때에는 단지 휴대폰의 배터리만을 충전할 수 있음에 따라 휴대폰 자체를 그대로 결합하여 충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별도의 예비 배터리를 준비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장시간 충전을 수행하는 동안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럼, 여기서 일반적인 휴대폰 충전기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할 때, 종래 일반적인 구성의 휴대폰 충전기는 외부를 감싸 절연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휴대폰을 수직하게 끼워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 착탈홈(100)과, 상기 휴대폰 착탈홈의 안쪽에 더 형성되어 배터리만을 끼워착탈할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착탈홈(101)과, 상기 배터리 착탈홈의 하단부에 구비된 충전단자(2)와, 상기 충전기 내부에 포함된 기타 변압장치(도면에는 미도시)와, 상기 본체(1)를 통해 내부의 변압장치가 도선(3)으로 연결되어 외부 콘센트에 선택적으로 끼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플러그(4)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휴대폰 충전기를 이용해 휴대폰을 충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플러그(4)를 외부 콘센트에 끼워 결합하면 본체(1) 내부의 변압장치로 전원이 인가되는데, 이 때 상기 인가된 전원은 본체(1) 내부의 변압장치가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폰을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로 충전기의 휴대폰 착탈홈(1a)에 끼워 넣음에 따라 상기 휴대폰의 단자(도면에는 미도시)와 본체의 충전단자(2)가 서로 접촉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휴대폰의 배터리만을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으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기의 배터리 착탈홈(1b)에 끼워 넣음에 따라 배터리 단자와 충전기의 충전단자(2)가 서로 접촉되어 배터리가 충전되는 원리는 익히 알려진 바와 같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폰 충전기는 휴대폰 전체를 충전하거나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배터리만을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충전을 수행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휴대폰 충전기는 그 본체가 휴대폰 착탈홈과 배터리 착탈홈을 모두 가지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피가 커지므로 휴대하기에는 부담이 되었고, 또한 충전기의 일측에 도선 및 플러그가 길게 인출된 형상을 취하므로 여행이나 출장시에는 휴대를 위해서 항상 상기 도선과 플러그를 말아서 가방 등에 넣어야만 했으므로 휴대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여행이나 출장 등 휴대폰 사용자가 이동시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됨은 물론, 휴대폰 전체를 올려놓은 상태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 충전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휴대폰 충전기의 휴대시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충전을 위해 전환된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플러그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휴대폰 결합편
120: 플러그 130: 전원공급단자
140: 충전단자 150: 걸림턱
160: 피난홈 170: 스토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해 본체 내부에 변압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휴대폰 결합편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직각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전원공급단자가 본체 내부로 수용되거나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회동에 따라 전원공급단자가 본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는 휴대폰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하는 충전단자와, 상기 플러그의 충전단자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폰을 본체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휴대폰이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걸림턱과, 상기 본체의 플러그 설치부쪽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단자가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플러그가 회동될 때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간섭됨이 없도록 하는 피난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 휴대폰 충전기의 휴대시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충전을 위해 전환된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플러그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기기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휴대폰 충전기는 충전시 휴대폰을 올려놓기 위한 대략 사각형태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전면 일측에 양측으로 형성된 휴대폰 결합편(110)과, 상기 본체(10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플러그(120)와, 상기 플러그의 일측면에 구비된 전원공급단자(130)와, 상기 플러그(120)의 전원공급단자(130) 반대측면에 구비된 충전단자(140)와, 상기 플러그(120)의 충전단자(140)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150)과, 상기 본체(100)의 플러그(120) 설치부쪽에 형성되어 플러그(120)의 전원공급단자(130)가 회동시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피난홈(16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러그(120)의 일측면에는 플러그의 회동각도를 90°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70)를 더 구비하여서 되는데, 이러한 스토퍼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와 힌지결합되는 플러그(120)의 힌지축(190) 일측에는 가이드돌기(170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가이드돌기(170a) 대향면에는 가이드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플러그(120)의 회동범위가 90°이내로 제한되도록 하는 가이드홈(170b)을 더 형성한다.
그럼,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도 2를 참조할 때, 여행이나 출장 등 이동시 본 고안의 휴대폰 충전기를 휴대할 때에는 플러그(120)에 구비된 전원공급단자(130)가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피난홈(160) 내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의 전원공급단자가 피난홈에 삽입된 상태로서 휴대폰 충전기의 외관에 돌출된 부분이 없으므로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넣어 휴대가 용이하고, 특히 휴대폰 충전기를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넣어 보관할 때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걸려 주머니 등이 찢어지는 폐단이 방지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충전기로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충전기 하단의 플러그(120)를 손으로 잡고 약 90°만큼 일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플러그(120)의 일면에 구비된 전원공급단자(130)도 90°만큼 회동하여 도 3과 같이 하방을 향한 상태가 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이 때에는 상기 플러그(130)의 반대측면에 구비된 충전단자(140)와 걸림턱(150)도 플러그(130)와 함께 회동됨으로써 플러그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충전기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플러그(12)의 전원공급단자(130)를 콘센트(180)에 꽂음에 따라 충전기의 본체(100) 내에 구비된 변압장치(도면에는 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을 본체(100)에 올려놓은 상태로 살짝 눌러주면 휴대폰의 양측면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본체(100)의 휴대폰 결합편(110)이 딸깍 소리를 내면서 끼워지게 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휴대폰의 하단부가 플러그(120)의 걸림턱(150)에 올려진 상태로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됨과 함께 상기 휴대폰의 단자(도면에는 미도시)가 플러그(120)의 충전단자(140)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휴대폰이 충전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러그(120)의 힌지축(190) 일측에는 스토퍼(170)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스토퍼에 의해 휴대폰의 충전을 위해 플러그(12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플러그가 90°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휴대폰이 상기 본체(100)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휴대폰의 하중에 의해 본체가 앞쪽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또는 충전기가 벽면 등에 부딪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본체(100) 또는 플러그(120)의 내부에는 인가된 전원을 충전에 알맞도록 변압하기 위한 변압장치를 더 구비하여서 구성되나, 이는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일반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 휴대폰 충전기는 여행이나 출장 등 휴대시에는 충전기의 플러그를 접어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넣으면 되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한편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플러그를 편 상태로 휴대폰 전체를 올려놓고 충전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충전중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으므로 매우 유익한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2)

  1.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해 본체 내부에 변압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휴대폰 결합편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직각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전원공급단자가 본체 내부로 수용되거나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회동에 따라 전원공급단자가 본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는 휴대폰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하는 충전단자와, 상기 플러그의 충전단자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폰을 본체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휴대폰이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걸림턱과, 상기 본체의 플러그 설치부쪽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단자가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플러그가 회동될 때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간섭됨이 없도록 하는 피난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일측에는 그 회동범위를 90°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KR2020010035377U 2001-11-17 2001-11-17 휴대폰 충전기 KR200264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377U KR200264780Y1 (ko) 2001-11-17 2001-11-17 휴대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377U KR200264780Y1 (ko) 2001-11-17 2001-11-17 휴대폰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780Y1 true KR200264780Y1 (ko) 2002-02-20

Family

ID=7307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377U KR200264780Y1 (ko) 2001-11-17 2001-11-17 휴대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7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5086466A1 (ja) 携帯端末用クレードル装置
JP2002504781A (ja) 電子装置用ヒンジアセンブリ
KR20040079134A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기
KR100663486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200264780Y1 (ko) 휴대폰 충전기
CN213522318U (zh) 一种蓝牙耳机防水充电盒
CN211405614U (zh) 多功能蓝牙耳机充电盒
US20030076442A1 (en) Cradle for camera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CN212258453U (zh) 带无线充电和支架功能的蓝牙耳机充电盒
JPS6230358Y2 (ko)
KR20020010027A (ko)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100630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 장치
KR100316160B1 (ko) 바-타입변환휴대폰
KR20000024304A (ko) 오토 폴더형 휴대 전화기, 오토 플립형 휴대 전화기, 오토모니터 내장 노트북 p.c
KR200198183Y1 (ko) 이동통신 전화 단말기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390629Y1 (ko) 핸드폰 직결 가능한 휴대용 2차전지 충전기
JPH01106658A (ja) 電気機器
KR200264824Y1 (ko)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KR200161957Y1 (ko) 보조 배터리의 충전기
JPH11307070A (ja) 電池パック
KR200284089Y1 (ko)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KR200308186Y1 (ko) 휴대용단말기의플립장치
KR200194599Y1 (ko)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0310400Y1 (ko)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