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775Y1 - 핸드폰케이스 - Google Patents

핸드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775Y1
KR200264775Y1 KR2020010035309U KR20010035309U KR200264775Y1 KR 200264775 Y1 KR200264775 Y1 KR 200264775Y1 KR 2020010035309 U KR2020010035309 U KR 2020010035309U KR 20010035309 U KR20010035309 U KR 20010035309U KR 200264775 Y1 KR200264775 Y1 KR 200264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hook
mobile phone
cas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홍
Original Assignee
이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홍 filed Critical 이진홍
Priority to KR2020010035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775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며 절곡되어 그 전면부와 대향되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부을 구비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면부와 결합되며, 굴곡가능하며 상기 후면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걸이밸트와, 상기 걸이밸트의 끝단에 결합되며,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걸이돌기를 가지는 걸이판과,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밸트가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돌기가 수용되는 고정홈을 가지는 고정판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굴곡가능하며, 그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결합되어 환형의 고리형상을 만드는 연결밸트 및 상기 걸이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중간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밸트와 연결밸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핸드폰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관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드폰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관될 때 느끼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여 핸드폰을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목이나 핸드백, 또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서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드폰케이스{Cellularphone case}
본 고안은 핸드폰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을 수납하여 원하는 대상물에 걸어서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는 핸드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핸드폰케이스에 수용하여 사용된다. 특히 여름철의 경우는 사용자의 복장이 간편한 관계로 핸드폰을 주머니에 넣어서 보관하기가 곤란할 경우가 많다. 이럴 때 핸드폰을 케이스에 수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밸트 등에 걸어서 보관하다가 핸드폰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핸드폰을 이탈시켜 사용하고 다시 케이스에 넣어서 보관한다. 도 1a 및 도 1b에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케이스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핸드폰케이스(1)는 비닐 등의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본체(2)와, 케이스본체(2)에 수용된 핸드폰(9)이 원하지 않은 순간에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본체(2)의 안쪽면에는 케이스본체(2)를 사용자의 허리밸트(6)에 걸 수 있게 하기 위한 고리(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핸드폰케이스(1)는 고리(4)가 케이스본체(2)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허리에 핸드폰(9)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핸드폰케이스(1)를 부착하면 핸드폰(9)의 무게 때문에 핸드폰케이스(1)가 앞으로 기울어져 미관이 좋지 않았으며, 또한 핸드폰(9)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느꼈다. 특히, 사용자가 보행중인 경우는 핸드폰케이스(1)가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딪혀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감이 더욱 고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핸드폰의 무게중심선과 어긋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폰을 걸 수 있으므로 핸드폰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관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드폰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관될 때 느끼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여 핸드폰을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손목이나 핸드백, 또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서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는 핸드폰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핸드폰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핸드폰케이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본체 11. 전면부
12. 후면부 13,14. 측면부
20. 유출방지걸이부 21. 걸이밸트
24. 걸이판 26. 걸이돌기
30. 고정판 31. 고정홈
40. 절개부 42,242,342. 공간부
240,340. 접착판 241,341. 접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며 절곡되어 그 전면부와 대향되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부을 구비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면부와 결합되며, 굴곡가능하며 상기 후면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걸이밸트와, 상기 걸이밸트의 끝단에 결합되며,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걸이돌기를 가지는 걸이판과,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밸트가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돌기가 수용되는 고정홈을 가지는 고정판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굴곡가능하며, 그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결합되어 환형의 고리형상을 만드는 연결밸트 및 상기 걸이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중간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밸트와 연결밸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걸이밸트가 굴곡되어 상기 걸이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에 수용된 핸드폰이 그 케이스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밸트의 밸트구멍에 삽입침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밸트가 환형을 이룬 상태에서 그 연결밸트를 대상물에 걸어둠으로써 상기 핸드폰케이스에 수용된 핸드폰이 대상물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의 사시도를,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핸드폰케이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100)는 케이스본체(10)와, 유출방지걸이부(20)와, 고정판(30)과, 절개부(40)와, 연결밸트(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전면부(11)와, 상기 전면부(11)에서 연장되며 절곡되어 그 전면부(11)와 대향되는 후면부(12)와, 상기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부(13,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10)에 핸드폰(9)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유출방지걸이부(20)는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폰(9)이 케이스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걸이밸트(21)와 걸이판(24)과 걸이돌기(2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걸이밸트(21)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면부(12)와 결합되며, 굴곡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후면부(12)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판(24)은 상기 걸이밸트(21)의 끝단에 결합된다.
상기 걸이돌기(26)는 걸이판(24)의 일면에 형성되며, 걸이판(2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30)에는, 상기 걸이밸트(21)가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돌기(26)가 수용되는 고정홈(3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이판(24)은 자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판(30)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밸트(5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굴곡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밸트몸체(52)와, 그 밸트몸체(52)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밸트몸체(52)가 환형의 띠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일단에는 복수개의 밸트구멍(53)이 형성되며, 상기 밸트몸체(52)가 굴곡되어 상기 밸트구멍(53)에 삽입되는 삽입침(51)이 밸트몸체(52)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40)는 상기 걸이밸트(21)와 연결밸트(5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서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절개부(40)는 상기 걸이밸트(21)의 일면,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돌기(26)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 나란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걸이밸트(21)의 전체 길이의 중간지점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40)는 상기 걸이밸트(21)의 전체 두께 중 일부를 걸이밸트(2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그리고 걸이밸트(21)의 폭보다는 작은 폭으로 절개한 것이며, 또한 상기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걸이밸트(21)의 두께 중 일부를 걸이밸트(21)의 폭방향으로 다시 절개한 것이다. 즉, 걸이밸트(21)의 양단으로부터 조금 이격된 위치에서 한 쌍으로 걸이밸트(21)의 두께 중 일부를 걸이밸트(21)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고, 이 절개된 한 쌍의 선을 각각 시발점과 종점으로 하여 상기 걸이밸트(21)의 두께 중 일부를 걸이밸트(21)의 폭방향으로 절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40)와 상기 걸이밸트(21)는 그 사이에 공간(42)이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마련된 상기 절개부(40)와 상기 걸이밸트(21) 사이의 공간(42)으로 상기 연결밸트(50)가 삽입되어 상기 걸이밸트(21)와 상기 연결밸트(5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본체(10)와 걸이밸트(21)와 연결밸트(50)는 굴곡될 수 있도록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9)을 케이스본체(1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걸이밸트(21)를 굴곡시켜 걸이판(24)의 걸이돌기(26)를 케이스본체(10)의 전면부(11)에 마련된 고정판(30)의 고정홈(31)에 삽입시킨다. 상기 걸이판(24)과 걸이돌기(26)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30)은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임의로는 고정판(30)과 걸이판(24)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힘을 주어 그 결합을 해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상기 걸이밸트(21)가 굴곡되어 상기 걸이돌기(26)가 고정홈(31)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핸드폰이 원하지 않는 순간에 상기 케이스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밸트(50)를 걸이밸트(21)의 절개부(40)와 걸이밸트(21) 사이의 공간부(42)에 삽입한 다음 연결밸트(50)의 밸트몸체(52)를 굴곡시켜 밸트구멍(53)에 삽입침(51)를 삽입시켜서 연결밸트(50)를 환형의 고리형상으로 만든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환형의 고리형상으로 만들어진 연결밸트(50)를 사용자의 손목(8)이나 혹은 도 4의 핸드백 손잡이 등에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밸트(50)와 걸이밸트(21)를 서로 결합시키는 절개부(40)가 상기 걸이밸트(21)의 전체 길이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드폰(9)의 무게중심선과 일치되거나 그 무게중심선 근방에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매달리므로 케이스본체(1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폰(9)이 수용된다. 따라서 케이스본체(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용될 때 느끼는 불쾌감은 해소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밸트(5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가로질러 걸쳐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케이스본체(1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폰(9)이 수용되므로 케이스본체(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용될 때 느끼는 불쾌감은 해소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200)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밸트(50)와 걸이밸트(21)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서 접착판(24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판(240)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착판(240)은 상기 걸이밸트(21)의 일면, 즉 상기 걸이돌기(26)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 나란한 면에 형성되며, 그 걸이밸트(2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접착판(240)의 양단이 상기 걸이밸트(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판(240)과 상기 걸이밸트(21)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결밸트(50)가 삽입되어 상기 걸이밸트(21)와 상기 연결밸트(5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300)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300)의 접착판(340)은 상기 걸이밸트(21)의 타면, 즉 상기 걸이돌기(26)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방향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그 외의 모든 구성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에 의하면, 핸드폰의 무게중심선과 어긋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폰을 걸 수 있으므로 핸드폰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관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드폰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관될 때 느끼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여 핸드폰을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목이나 핸드백, 또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서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며 절곡되어 그 전면부와 대향되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부을 구비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면부와 결합되며, 굴곡가능하며 상기 후면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걸이밸트;
    상기 걸이밸트의 끝단에 결합되며,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걸이돌기를 가지는 걸이판;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밸트가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돌기가 수용되는 고정홈을 가지는 고정판;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굴곡가능하며, 그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결합되어 환형의 고리형상을 만드는 연결밸트; 및
    상기 걸이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중간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밸트와 연결밸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걸이밸트가 굴곡되어 상기 걸이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에 수용된 핸드폰이 그 케이스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밸트의 밸트구멍에 삽입침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밸트가 환형을 이룬 상태에서 그 연결밸트를 대상물에 걸어둠으로써 상기 핸드폰케이스에 수용된 핸드폰이 대상물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걸이밸트의 일면에 형성되며, 그 걸이밸트의 전체 두께 중 일부를 걸이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한 쌍의 절개선과, 이 절개된 한 쌍의 절개선을 각각 시발점과 종점으로 하여 상기 걸이밸트의 두께 중 일부를 걸이밸트의 폭방향으로 절개한 절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부와 상기 걸이밸트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결밸트가 삽입되어 상기 걸이밸트와 상기 연결밸트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걸이밸트의 일면에 형성되며, 그 걸이밸트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그 양단이 상기 걸이밸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된 접착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판과 상기 걸이밸트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결밸트가 삽입되어 상기 걸이밸트와 상기 연결밸트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밸트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굴곡가능한 밸트몸체와,
    상기 밸트몸체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결합되어 환형의 고리형상연결될 수 있도록 그 일단에는 복수개의 밸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밸트몸체가 굴곡되어 상기밸트구멍에 삽입되는 삽입침이 밸트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판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와 걸이밸트와 연결밸트는 가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케이스.
KR2020010035309U 2001-11-16 2001-11-16 핸드폰케이스 KR200264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309U KR200264775Y1 (ko) 2001-11-16 2001-11-16 핸드폰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309U KR200264775Y1 (ko) 2001-11-16 2001-11-16 핸드폰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142A Division KR20030039988A (ko) 2002-03-28 2002-03-28 핸드폰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775Y1 true KR200264775Y1 (ko) 2002-02-20

Family

ID=7311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309U KR200264775Y1 (ko) 2001-11-16 2001-11-16 핸드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7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20B1 (ko) * 2009-03-09 2009-12-29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20B1 (ko) * 2009-03-09 2009-12-29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4146A1 (en) Bone conduction headset
US20020043545A1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30103624A1 (en) Slip casing for mobile phone
US5983459A (en) Clip for eyeglasses
KR200264775Y1 (ko) 핸드폰케이스
KR20030039988A (ko) 핸드폰케이스
KR101962624B1 (ko)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200179427Y1 (ko) 휴대폰 보관 및 자유 인출·삽입장치
JP2002194610A (ja) 携帯電話装着用バンド
KR200307353Y1 (ko) 목걸이형 휴대 단말기 휴대장치
KR200366287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줄
JP2001340136A (ja) リュックサック
CN219962149U (zh) 防丢装置
KR200248697Y1 (ko) 손목착용밴드가 부착된 이동전화용 배터리
KR200289874Y1 (ko) 휴대폰용 클립
KR200149244Y1 (ko) 핸드폰 걸이용 벨트클립
KR200261120Y1 (ko) 목걸이형 핸즈프리 장치의 집게 홀더
JP3013262U (ja) 耳係止型補聴器におけるイヤホ─ン
KR200282058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KR200194784Y1 (ko) 핸드폰용 이어폰 장착구
KR200248632Y1 (ko) 하의 주머니의 휴대전화기 포켓
KR200266422Y1 (ko) 핸드폰 케이스
KR200296678Y1 (ko) 무선전화기용 케이스
KR200159852Y1 (ko) 휴대폰 케이스용 홀더
KR200295620Y1 (ko) 휴대폰을 반지·팔찌·시계에 연결 사용하는 휴대폰안전및 휴대 간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