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577Y1 - 세척용 수세미 - Google Patents

세척용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577Y1
KR200264577Y1 KR2020010034716U KR20010034716U KR200264577Y1 KR 200264577 Y1 KR200264577 Y1 KR 200264577Y1 KR 2020010034716 U KR2020010034716 U KR 2020010034716U KR 20010034716 U KR20010034716 U KR 20010034716U KR 200264577 Y1 KR200264577 Y1 KR 200264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washing
cell
present
loofa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범
Original Assignee
강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범 filed Critical 강호범
Priority to KR2020010034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577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수세미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 개의 가지로 형성되는 개방형의 외면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세미의 셀이 소정의 크기와 소정의 형상, 보다 상세히는 4내지 7밀리미터에 이르는 외면이 개방된 개방형의 셀이 적층 형성되도록 하여, 종래 수세미를 사용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거품의 발생, 음식찌꺼기의 점착 및 잔여 세재의 세척의 문제가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척용 수세미{The scrubbing brush for washing}
본 고안은 세척용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시에 수세미의 내부로 밥알과 같이 세척시에 발생되는 오물이 수세미에 부착되지 않고, 또한, 잔여 세재가 용이하게 씻겨 나가도록 하는 세척용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미는 가정용으로 식기의 세척이나 선반 청소와 같은 일반적인 용도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수세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수세미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세미는 내부에서 거품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탄력성의 골격부(3)와, 상기 골격부(3)를 사이에 두고 상하면에 형성되어식기에 직접 닿아 마찰력으로 세척의 성능이 발휘되도록 하는 세척부(2)와, 양측면에 형성되어 수세미의 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박음질부(1)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을 취하는 수세미의 동작을 설명하면, 세재가 넣어진 상태에서 수세미를 문지르면, 상기 골격부(3)에 다수 형성되는 탄력성의 세로대의 사이로 거품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세미를 반복하여 문지르고 또한, 움직임으로써 거품의 발생정도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수세미에서 발생된 거품이 일정정도가 넘어서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부(2)를 식기에 문질러 기름과 같은 세척시의 오물이 떨어져 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식기의 세척이 끝나면 수세미를 세척하고, 세척이 끝난 수세미는 다음 번의 세척에 사용하기 위하여 보관을 하게된다.
한편, 종래 또 다른 수세미의 형상으로서, 상기 골격부(3)로서 세로대를 대신하기 위하여 스폰지(Sponge)를 사용하여 거품의 발생량을 높이게 하는 기술도 적용된 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식기의 세척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한 수세미로서 스폰지(sponge)가 단품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세미는, 세척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오물이 골격부(3) 및 세척부(2)에 점착됨으로써, 세척시에 오염된 수세미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서 수세미의 오염은 반복되는 수세미의 사용상에 식기의 청결도에 저하시켜 사용상의 문제점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세미는 세척이 끝난 뒤에 세재를 용이하게 씻어낼 수 없어, 세재를 씻어내기 위하여 오랜 시간동안 물로 씻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세척시에 세재로 만들어지는 거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끝난 뒤에 수세미를 세척할 때도 손쉽게 세재를 씻어낼 수 있도록 하는 수세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1 : 박음질부
2 : 세척부
3 : 골격부
10 : 셀
10a : 가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 개의 가지로 형성되는 개방형의 외벽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수세미는 수세미의 내부에 형성되는 셀(Cell)들의 사이로 오물들이 쉽게 빠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의 사이 공간사이로 거품 또한 손쉽게 형성되도록 하여 세척효과 뿐만 아니라, 세척이 종료된 뒤에 수세미의 세척 또한 손쉽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는 다수개의 셀(Cell)(10)이 적층 형성되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셀(10)은 각각의 외면이 개방되어있어 셀(10)의 외면에는 거품이 발생되는 부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수세미의 전체 형상은 장방형의 직육면체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미감을 증진하기 위하여 과일의 형상으로 하거나 구형상 또는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셀(10)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셀(10)은 그 외면으로 다수 개의 가지(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지(10a)는 또 다른 셀(10)의 가지(10a)가 되도록 하는 것을 그 형상에 있어서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세척동작을 설명하면, 종래와 동일하게 거품이 형성되어 세척이 이루어진 뒤에는 수세미를 씻어 내는데, 이때 위에 제시된 크기의 셀(10)은 물의 침투뿐만 아니라 물의 배출또한 용이하게 하여, 잔여세재가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셀(10)에 있어서 그 외벽을 형성하는 가지가 밀폐된 막이 아닌, 개방된 가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종래 스폰지에서 볼 수 있는 밀폐된 셀(10) 구조의 단점 즉, 거품의 형성과 잔여 세재의 배출 두 가지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각각의 셀(10)은 다수의 가지(10a)로 형성되며, 나아가서 하나의 셀(10)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가지(10a)는 근접하는 또 다른 셀(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지(10a)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는 셀(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지(10a)로 이루어진다 할수 있으며, 그 가지(10a)는 세재가 사용되는 거품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셀(10)의 크기는 그 직경(D)이 4 내지 7 밀리미터로 하여 세척면에 붙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세척후에 남은 잔여 세재가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형상을 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동작을 설명하면, 수세미의 외부에 세재를 적당량 도포한 뒤에 수세미를 문질러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고, 수세미의 외면을 식기와 문질러 오물이 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거품의 형성동작 중에 각각의 셀(10) 사이에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여 식기 세척의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직경(D) 4 내지 7 밀리미터에 이르는 각각의 셀은 거품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적정의 크기에 해당되는 것이다.
고안자가 제시한 바와 같은 크기의 셀(10)은 거품의 형성과, 음식 찌꺼기의 점착 및 잔여세재의 배출에 이르는 세 가지의 목적을 모두 달성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의해 달성된 것으로서, 단순한 수치한정으로 보아서는 아니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는 가지를 형성하기 위한 재질로서, 적절한 탄성을 가져 복원이 손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설명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을 표현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의 또 다른 실시예또한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수세미의 셀이 소정의 크기와 소정의 형상, 보다 상세히는 4내지 7밀리미터에 이르는 외명이 개방된 개방형의 셀이 포함되도록 하여, 종래 수세미를 사용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거품의 발생, 음식찌꺼기의 점착 및 잔여 세재의 세척의 문제가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탄성을 가지는 다수 개의 가지로 형성되는 개방형의 외벽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수세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는 폴리프로필렌을 그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수세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그 직경이 4 내지 7밀리미터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수세미.
KR2020010034716U 2001-11-12 2001-11-12 세척용 수세미 KR200264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16U KR200264577Y1 (ko) 2001-11-12 2001-11-12 세척용 수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16U KR200264577Y1 (ko) 2001-11-12 2001-11-12 세척용 수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577Y1 true KR200264577Y1 (ko) 2002-02-19

Family

ID=7311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16U KR200264577Y1 (ko) 2001-11-12 2001-11-12 세척용 수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5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4577Y1 (ko) 세척용 수세미
KR101802492B1 (ko) 수세미
JP3118960U (ja) 洗浄用スポンジ
KR101397390B1 (ko)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CN205625710U (zh) 一种节水型超声波清洗菜盆
JP3131161U (ja) スポンジたわし
JP3190819U (ja) 食器洗い泡立てスポンジ
KR200383513Y1 (ko) 핸디형 다목적 초음파 세정기
KR101504826B1 (ko) 비눗갑
KR200489458Y1 (ko) 돌기형 수세미
JP3135553U (ja) 清掃用具
CN104127238A (zh) 一种手术室用洗手器
KR200432676Y1 (ko) 주방용 세척기구
KR200435605Y1 (ko) 수세미를 채용한 비누
CN204445563U (zh) 蔬菜水果滤篮
RU2690722C1 (ru) Губка, мочалка со средством для мыть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ухода, уборки и личной гигиены
JP2008029900A (ja) 洗浄具
KR102607193B1 (ko) 싱크대 거치형 초음파 식기세척기
KR200351059Y1 (ko) 손가락 끼움부가 형성된 수세미
KR200428999Y1 (ko) 양면 수세미
KR200422240Y1 (ko) 수세미
KR970001401Y1 (ko) 그릇세척기(食器洗滌機)
CN201082153Y (zh) 涡轮式半自动洗碗机
CN106562750A (zh) 洗碗机专用撞擦式橡胶助洗球
JPH03546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