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468Y1 - 구이용 로스터 - Google Patents

구이용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468Y1
KR200264468Y1 KR2020010036363U KR20010036363U KR200264468Y1 KR 200264468 Y1 KR200264468 Y1 KR 200264468Y1 KR 2020010036363 U KR2020010036363 U KR 2020010036363U KR 20010036363 U KR20010036363 U KR 20010036363U KR 200264468 Y1 KR200264468 Y1 KR 200264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contact
circumferential surface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팔남
Original Assignee
유팔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팔남 filed Critical 유팔남
Priority to KR2020010036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468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체와 외측커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구이용 로스터가 개시된다. 상기 구이용 로스터는 본체의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링형상의 외측커버가 플랜지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결합된다. 즉, 외부케이스의 외면측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본체의 외측에서 외부케이스의 외측 단면(端面)을 쳐올릴 수 가 없다. 또한, 외측커버의 일측은 본체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그러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외측커버가 본체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커버의 삽입부를 본체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위치시킨 후, 외측커버를 놓으면 외측커버가 본체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외측커버를 본체에 대단히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구이용 로스터 {ROASTER FOR ROASTING A MEAT AND FISH}
본 고안은 구이용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본체와 외측커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구이용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이용 로스터를 도 1a 및 도 1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로스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내부케이스(11)가 설치되고, 내부케이스(11)의 내부에는 숯불통(12)과 석쇠(13)가 상하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플랜지(10a)에는 링형상의 외측커버(15)가 덮히고, 외측커버(15)의 중앙부에는 원판형상의 내측커버(17)가 덮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로스터는 외측커버(15)의 수직부(15a)가 본체(10)의 플랜지(10a) 외면을 감싸면서 본체(10)의 하측으로 약간 내려와 있다. 이로인해, 본체(10)의 외측에 앉아서 고기 등을 구워서 먹는 사람이 외측커버(15)의 수직부(15a)를 무릎 등으로 치는 경우에는 외측커버(15)가 본체(10)로부터 벗겨지게 된다. 이로인해, 고온으로 가열된 외측커버(15)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체(10)에 외측커버(15)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본체(10)의 플랜지부(10a)와 외측커버(15)의 수직부(15a)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므로 대단히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외측커버의 일측이 위치되게 외측커버를 구성하여 충격 등에 의하여 외측커버가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한 구이용 로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외측커버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이용 로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의 로스터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결합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120 : 내측케이스
150,170,20 : 외측커버 160,180,190 : 내측커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로스터는, 상면은 개방되며 상단면(上端面)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플랜지측을 덮는 링형상의 외측커버와, 상기 외측커버의 중앙부를 덮는 내측커버를 구비하는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내측케이스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하면이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링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면 중앙부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커버는 원판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상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 내측과 자신의 하면이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로스터는, 상면은 개방되며 상단면(上端面)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플랜지측을 덮는 링형상의 외측커버와, 상기 외측커버의 중앙부를 덮는 내측커버를 구비하는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내측케이스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하면이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링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면 중앙부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벤딩된 하향벤딩부와 상기 하향벤딩부의 단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내측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커버는 원판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은 상기 하향벤딩부와 접촉되고, 외주면측 저면은 상기 내측연장부의 상면과 접촉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이용 로스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111)되고 상단면(上端面)에는 외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링형상의 플랜지(115)를 가지는 본체(110)가 마련된다. 본체(110)의 내측에는 상면 및 하면 일부가 개방된 내부케이스(120)가 설치되고, 내부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숯불통(131)과 석쇠(135)가 설치된다. 이때, 본체(110)의 내주면과 내부케이스(120)의 외주면은 소정 간격(L)을 가진다.
본체(110)의 외측에는 스위치(141)와 회전가능한 화력조절부(145)가 설치되는데, 스위치(141)를 온(On)하면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화력조절부(145)는 숯불통(131)의 하부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본체(110)의 개방부(111)에는 본체(110)의 플랜지(115)측을 덮는 링형상의 외측커버(150)가 결합되고, 외측커버(150)의 중앙부는 내측커버(160)에 의하여 덮힌다.
외측커버(150)는 플랜지(115)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링형상의 지지부(151)와 본체(110)와 내부케이스(120)의 사이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삽입부(155)를 가진다. 지지부(151)의 외경(D1)은 플랜지(115)의 외경(D2)과 대략 동일하게 마련되고, 지지부(151)의 내경(d1)은 내측케이스(120)의 외경(d2)보다 작게 마련된다. 그리하여, 지지부(151)의 외면측 저면이 플랜지(115)의 상면과 접촉되는데, 이로인해 외측커버(150)가 본체(110)의 플랜지(115)측을 덮게되는 것이다.
외측커버(150)의 지지부(151)는 외측지지부(151a)와 외측지지부(151a)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지지부(151b)를 가진다. 외측지지부(151a)는 플랜지(115)와 접촉하고, 내측지지부(151b)는 내부케이스(120)의 외면측 일부를 덮는다.
외측커버(150)의 삽입부(155)는 외측지지부(151a)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제 1 삽입부(155a)와 제 1 삽입부(155a)의 하단면(下端面)에서 벤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삽입부(155b)를 가진다. 이때, 제 2 삽입부(155b)의 상단면(上端面)은 내측지지부(151b)의 외주면과 접하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151)의 외주면 및 내주면은 각각 내측 및 외측으로 벤딩되어지지부(151)의 외주면측 저면 및 내주면측 저면과 각각 접촉하는 내측라운딩부(153) 및 외측라운딩부(157)로 형성된다. 이는 강성(剛性)을 보강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삽입부(15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삽입부(155)의 하단부는 본체(110)와 인접하고 상단부는 내부케이스(120)와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본체(110)와 내부케이스(120)의 사이에서 유동하는 삽입부(155)의 유동거리를 제한하여 외측커버(150)의 삽입부(155)의 소정 부위가 항상 플랜지(115)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내측커버(160)는 몸체부(161)와 상측벤딩부(163) 및 접촉부(165)를 가진다. 몸체(161)는 원판형상의 마련되고, 상측벤딩부(163)는 몸체부(161)의 외주면에서 상측으로 벤딩ㆍ연장되어 외측커버(150)의 지지부(151)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접촉부(165)는 상측벤딩부(163)의 상단면(上端面)에서 외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는데, 접촉부(165)의 하면은 지지부(151)의 상면 내측과 접촉한다. 그리하여, 내측커버(160)가 외측커버(150)에 결합되는 것이다.
외측커버(150)의 지지부(151)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측커버(160)의 접촉부(165)는 외측커버(150)의 지지부(151)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강성(剛性)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미설명 부호 167은 집게 등을 삽입하여 내측커버(160)를 들기 위한 걸이공이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결합단면도로써,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외측커버(170)는 지지부(171)와 삽입부(175)와 하향벤딩부(177) 및 내측연장부(179)를 가진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외측커버(170)의 지지부(171) 및 삽입부(175)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측커버(150)의 지지부(151) 및 삽입부(155)의 구성과 동일하다.
하향벤딩부(177)는 지지부(171)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되고, 내측연장부(179)는 하향벤딩부(177)의 하단면(下端面)에서 내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지지부(171)의 외주면 및 내측연장부(179)의 내주면은 각각 내측 및 외측으로 벤딩되어 지지부(171)의 외주면측 저면 및 내측연장부(179)의 내주면측 저면과 각각 접촉하는 내측라운딩부(171a) 및 외측라운딩부(179b)로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측라운딩부(171a) 및 외측라운딩부(179b)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측라운딩부(153) 및 외측라운딩부(157)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측커버(180)는 원판형으로 마련된다. 내측커버(180)의 외주면측 외면 및 저면은 외측커버(170)의 하향벤딩부(177) 및 내측연장부(179)의 상면과 각각 접촉된다. 이때, 내측커버(180)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벤딩된 접촉라운딩부(181)로 형성되는데, 접촉라운딩부(181)의 외면 및 저면이 외측커버(170)의 하향벤딩부(177) 및 내측연장부(179)의 상면과 각각 접촉되는 것이다.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결합단면도로써, 제 2 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의 외측커버(170)는 제 2 실시예의 외측커버(170)와 동일하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내측커버(190)는 몸체부(191)와 상측벤딩부(193) 및 접촉부(195)를 가진다. 몸체부(191)는 원판형상의 마련되고, 상측벤딩부(193)는 몸체부(191)의 외주면에서 상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되고, 접촉부(195)는 상측벤딩부(193)의 상단면(上端面)에서 외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된다. 그리하여, 몸체부(191)의 외면측 저면은 외측커버(170)의 내측연장부(179)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측벤딩부(193)는 외측커버(170)의 하향벤딩부(177)와 접촉하며, 접촉부(195)의 저면은 외측커버(170)의 지지부(171)의 내면측 상면과 접촉한다. 즉, 제 3 실시예에 따른 내측커버(19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측커버(160)의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 4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결합단면도로써,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외측커버(210)의 삽입부(215)는 지지부(211)와 별도로 제작되어, 지지부(211)에 용접으로 결합된 것을 보인다. 즉, 삽입부(215)는 2겹이 아닌 1겹으로 마련된 것을 보인다.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75)도 제 4 실시예 처럼 한겹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로스터는 본체의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링형상의 외측커버가 플랜지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결합된다. 즉, 외부케이스의 외면측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본체의 외측에서 외부케이스의 외측 단면(端面)을 쳐올릴 수 가 없다. 또한, 외측커버의 일측은 본체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그러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외측커버가 본체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커버의 삽입부를 본체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위치시킨 후, 외측커버를 놓으면 외측커버가 본체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외측커버를 본체에 대단히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6)

  1. 상면은 개방되며 상단면(上端面)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플랜지측을 덮는 링형상의 외측커버와, 상기 외측커버의 중앙부를 덮는 내측커버를 구비하는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내측케이스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하면이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링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면 중앙부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커버는 원판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상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 내측과 자신의 하면이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로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의 지지부는 상기 플랜지와 접촉하는 외측지지부와 상기 외측지지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외측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외측커버의 삽입부는 상기 외측지지부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1 삽입부의 단면(端面)에서 상측으로 벤딩되어 상기내측지지부의 외주면과 일체로 접하는 제 2 삽입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로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의 지지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각각 외측 및 내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측 저면 및 외주면측 저면과 각각 접촉하는 외측라운딩부 및 내측라운딩부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커버의 접촉부는 상기 외측커버의 지지부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로스터.
  4. 상면은 개방되며 상단면(上端面)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플랜지측을 덮는 링형상의 외측커버와, 상기 외측커버의 중앙부를 덮는 내측커버를 구비하는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내측케이스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하면이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링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면 중앙부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벤딩된 하향벤딩부와 상기 하향벤딩부의 단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내측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커버는 원판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은 상기 하향벤딩부와 접촉되고, 외주면측 저면은 상기 내측연장부의 상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로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의 지지부는 상기 플랜지와 접촉하는 외측지지부와 상기 외측지지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외측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외측커버의 삽입부는 상기 외측지지부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1 삽입부의 단면(端面)에서 상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내측지지부의 외주면과 일체로 접하는 제 2 삽입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로스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및 상기 내측연장부의 내주면은 각각 내측 및 외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측 저면 및 상기 내측연장부의 내주면측 저면과 각각 접촉하는 내측라운딩부 및 외측라운딩부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커버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내측커버의 저면과 접촉하는 접촉라운딩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로스터.
KR2020010036363U 2001-11-26 2001-11-26 구이용 로스터 KR200264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63U KR200264468Y1 (ko) 2001-11-26 2001-11-26 구이용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63U KR200264468Y1 (ko) 2001-11-26 2001-11-26 구이용 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468Y1 true KR200264468Y1 (ko) 2002-02-19

Family

ID=7311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63U KR200264468Y1 (ko) 2001-11-26 2001-11-26 구이용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4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6170B2 (ja) 電気圧力炊飯器の蒸気排出装置
ES2288431B1 (es) Recipiente de coccion para cocinas de induccion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l mismo.
ES2602852T3 (es) Disposición de quemador de gas
KR200264468Y1 (ko) 구이용 로스터
USD532507S1 (en) Updraft hood for a cooking appliance
KR102053551B1 (ko) 조리용 솥
JP3751355B2 (ja) 炎漏出防止型コンロ
KR200159705Y1 (ko) 가스버너의 버너바디
CN217565793U (zh) 食品保温罩
CN214484188U (zh) 烹饪装置、面盖结构及其蒸汽阀
KR200213702Y1 (ko) 냄비뚜껑
JP3245847B2 (ja) 調理器
KR200309985Y1 (ko) 토스터용 방진 덮개
JP3675432B2 (ja) 電気調理器
JP2841044B2 (ja) ガスコンロ用マット
KR200273186Y1 (ko) 냄비
KR200264145Y1 (ko) 가스버너용 로스터
KR200189709Y1 (ko) 튀김용 안전모자
KR20110092447A (ko) 구이기
JP3630099B2 (ja) 炊飯器
JP2003074877A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S6336992Y2 (ko)
KR200238644Y1 (ko) 가스레인지용 불고기판
CN112438580A (zh) 烹饪装置、面盖结构及其蒸汽阀
JPH03186219A (ja) 電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