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295Y1 - 침직기 받침판 - Google Patents

침직기 받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295Y1
KR200264295Y1 KR2020010029934U KR20010029934U KR200264295Y1 KR 200264295 Y1 KR200264295 Y1 KR 200264295Y1 KR 2020010029934 U KR2020010029934 U KR 2020010029934U KR 20010029934 U KR20010029934 U KR 20010029934U KR 200264295 Y1 KR200264295 Y1 KR 200264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abric
support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욱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코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코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코레이
Priority to KR2020010029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295Y1/ko
Priority to CN 02119458 priority patent/CN1410615A/zh
Priority to US10/490,640 priority patent/US20040258388A1/en
Priority to EP02799511A priority patent/EP1438458A4/en
Priority to PCT/KR2002/001814 priority patent/WO2003027722A2/en
Priority to JP2003531217A priority patent/JP2005523997A/ja
Priority to AU2002334441A priority patent/AU2002334441A1/en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단에 광섬유를 침직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받쳐주는 침직기 받침판에 관한 것으로, 침직 바늘에 의해 늘어지거나 휘어지지 않으면서 원단을 받쳐주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바늘로 원단을 뚫고 바늘의 중공을 통하여 광섬유를 원단에 침직시킴에 있어서, 일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안쪽으로 형성된 침직구멍과, 상기 침직구멍을 가로질러 일정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판상의 받침날을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받침날을 이용하여 원단을 받치게 되므로 침직작업시 원단이 쳐지는 현상을 없애주고, 받침날이 바늘에 부딪힐 때 받침날과 바늘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침직기 받침판{Optic fiber fix panel}
본 고안은 원단에 광섬유를 침직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받쳐주는 침직기 받침판에 관한 것으로, 침직 바늘에 의해 늘어지거나 휘어지지 않으면서 원단을 받쳐주도록 한 것이다.
면이나 가죽등의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재질의 원단에 광섬유를 침직한 후 상기 광섬유에 불빛을 전달하여 다양한 연출효과를 내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원단에 광섬유를 빠지지 않게 침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원단에 광섬유를 침직하기 위해서는 중공이 형성된 바늘로 원단을 뚫은 상태에서 바늘의 중공으로 광섬유를 공급한 후 바늘을 빼주도록 하고 있으나, 바늘로 원단을 뚫기 위해서는 원단하부를 받쳐주어야만 원단이 쳐지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광섬유를 침직시킬 수 있다.
기존에는 원단의 하부에 원통형의 받침구를 대고 상기 받침구안에서만 바늘이 이동하면서 침직시키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 경우는 원통형의 직경이내에서만 바늘이 이동하여야 하므로 큰 무늬를 작업할 수 없고 원통형의 받침구를 크게 할 경우는 바늘에 의해 원단이 쳐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원단하부에 그물망을 설치할 경우는 큰 무늬의 작업이 가능한 반면 바늘의 선단이 그물망과 부딪히는 경우가 많아 그물망이 쳐지거나 바늘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역시 작업이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원단의 하부에 얇은 판상의 받침날을 세워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원단이 쳐지지 않게 받쳐주는 한편 바늘이 받침날에 닿았을 때 받침날이 좌우로 휘면서 바늘이 직접 받침날과 부딪히지 않도록 하므로써 원단이 쳐지거나 받침날 또는 바늘이 손상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원단을 바늘이 관통할 때 수 개의 받침날이 세워져 있게 되어 원단이 쳐지지 않게 되고 또한 바늘이 받침날과 접촉하면 받침날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면서 바늘을 피하도록 하므로써 바늘의 손상이나 받침날의 손상을 방지하는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받침날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바늘 3 : 광섬유 10 : 고정판
11 : 받침대 12 : 침직구멍 13 : 삽입홈
20 : 받침날 25 : 고정틀
본 고안은 중앙에 바늘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수단이 형성된 고정수단과, 상기 관통수단을 가로질러 일정간격으로 수 개가 고정되고 원단이 얹혀지는 받침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수단은 고정수단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받침수단은 탄성이 뛰어난 판상의 금속재질을 이용하되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받침수단의 상부에 원단을 놓고 원단에 광섬유를 침직시키기 위하여 바늘을 관통시키면 받침수단이 세워져 있어 원단이 쳐지지 않으며, 바늘이 받침수단과 접촉할 때에도 받침수단의 좌우로 휘면서 바늘을 손상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고정수단은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받침대(11)와, 상기 받침대(11)의 내측에 형성된 침직구멍(12)으로 이루어지며, 받침수단은 얇고 탄성이 좋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받침날(20)과, 상기 받침날(20)이 침직구멍(12)을 가로질러 설치될 때 받침날(20)을 고정시키는 고정판(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판(10)과 받침대(11)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적합하며, 받침대(11)부분은 중앙에 침직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침직구멍(12)을 가로질러 받침날(2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면 족하다.
상기 받침대(11)의 침직구멍(12)측면으로는 받침날(20)이 세워져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을 가로질러 받침날(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4)이 형성되며 고정홈(14)에는 고정판(15)이 삽입되어 나사(16)로 고정되므로써 삽입홈(13)에 끼워진 받침날(20)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받침날(20)은 얇은 강철판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받침날(20)을 세워진 상태로 침직구멍(12)을 가로질러 삽입홈(13)에 끼워지게 일정간격으로 수 개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된 받침날(20)은 고정홈(14)에 끼워져 나사(16)로 고정되는 고정판(15)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 것으로 받침날(20)은 고정판(15)이외의 방식을 이용하여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받침대(11)의 외측에는 고정틀(25)이 끼워져 나사(26)로 조여지게 되며, 상기 고정틀(25)은 받침대(11)위에 놓여진 원단(5)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원단(5)에 따라 고정틀(25)로 고정시키는 것이 유리하나 원단(5)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고정틀(25)은 사용치 않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광섬유(3)를 침직시키기 위한 원단(5)을 받침대(11)위에 올려놓고 고정판(10)은 침직기의 헤드(1)에 설치된 바늘(2)하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원단(5)이 움직임이 거의 없는 원단일 경우는 원단을 그대로 받침대(11)위에 올려놓고 바늘(2)의 하부에 놓아도 되나, 원단(5)의 움직임이 예측되는 경우 원단(5)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어야 하며 그 중 하나가 고정틀(25)을이용하는 방식으로, 받침대(11)위에 원단(5)을 놓고 그 위에 고정틀(25)을 끼운 후 나사(26)로 조이면 원단(5)은 받침대(11)와 고정틀(25)사이에 끼게 되어 움직임이 없어진다.
원단(5)이 고정된 고정판(10)을 바늘(2)의 하부에 놓고 움직이지 않도록 한 후 미리 프로그램 되어진 대로 바늘(2)을 이동시키며 광섬유(3)를 침직시키게 된다.
여기서 바늘(2)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원단(5)을 뚫게 되고, 바늘(2)이 고정된 헤드(1)는 X,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광섬유 침직기에서는 공지된 사실이므로 헤드(1)의 이동과 바늘(2)의 이동 및 상기 바늘(2)의 중공을 통하여 광섬유(3)를 공급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원단(5)이 받침날(20)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놓이게 되어 바늘(2)이 뚫을 때 움직이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서 바늘(2)이 원단(5)을 뚫을 때 원단(5)은 받침날(20)에 받쳐져 있어 원단(5)이 쳐지지 않게 되므로 원하는 장소에 정확히 바늘(2)을 꼿을 수 있다.
즉 받침날(20)은 세워져 있게 되므로 얇더라도 충분히 위에서 누르는 힘을 견딜 수 있다.
그리고 바늘(2)의 선단이 받침날(20)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면 바늘(2)의 선단이 경사져 있어 바늘(2)의 경사면을 타고 받침날(2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게 되어 바늘(2)의 선단이 받침날(20)의 상부를 찍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즉 바늘(2)이 받침날(20)에 직접 닿게 되는 경우 먼저 받침날(20)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휘게 되므로 바늘(2)에 찔려 받침날(20)이 쳐지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따라서 침직작업시 원단(5)이 쳐지지 않는 한편 바늘(2)이 받침날(20)을 치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되어 원단(5)의 정확한 위치에 광섬유(3)의 침직이 가능하고, 바늘(2)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광섬유를 원단에 침직시킴에 있어서, 받침날을 이용하여 원단을 받치게 되므로 침직작업시 원단이 쳐지는 현상을 없애주어 정확한 무늬대로 광섬유를 침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받침날이 바늘에 부딪힐 때 받침날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휘게 되어 바늘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받침날의 손상도 방지하는 것이다.

Claims (3)

  1. 바늘(2)로 원단(5)을 뚫고 바늘(2)의 중공을 통하여 광섬유(3)를 원단(5)에 침직시킴에 있어서,
    일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중앙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대(11)와,
    상기 받침대(11)의 안쪽으로 형성된 침직구멍(12)과,
    상기 침직구멍(12)을 가로질러 일정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판상의 받침날(20)을 구비하므로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직기 받침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날(20)은 받침대(11)에 형성된 삽입홈(13)에 끼워지고, 상기 삽입홈(13)을 가로질러 고정홈(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4)에는 고정판(15)이 고정되어 받침날(20)의 이탈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직기 받침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의 외측에 끼워지는 고정틀(2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틀(25)은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곳은 나사(26)로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직기 받침판.
KR2020010029934U 2001-09-28 2001-09-28 침직기 받침판 KR200264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34U KR200264295Y1 (ko) 2001-09-28 2001-09-28 침직기 받침판
CN 02119458 CN1410615A (zh) 2001-09-28 2002-05-23 光纤维针织装置
US10/490,640 US20040258388A1 (en) 2001-09-28 2002-09-26 Optical fiber sew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ducts produced using it
EP02799511A EP1438458A4 (en) 2001-09-28 2002-09-26 SEWING MACHINE FOR OPTICAL FIBERS AND PRODUCTION METHOD FOR PRODUCTS THEREFOR
PCT/KR2002/001814 WO2003027722A2 (en) 2001-09-28 2002-09-26 Optical fiber sew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ductsproduced using it
JP2003531217A JP2005523997A (ja) 2001-09-28 2002-09-26 光ファイバ針織装置及びこれにより生産される製品の製造方法
AU2002334441A AU2002334441A1 (en) 2001-09-28 2002-09-26 Optical fiber sew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ductsproduced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34U KR200264295Y1 (ko) 2001-09-28 2001-09-28 침직기 받침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295Y1 true KR200264295Y1 (ko) 2002-02-19

Family

ID=7310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934U KR200264295Y1 (ko) 2001-09-28 2001-09-28 침직기 받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2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451B1 (ko) * 2002-09-24 2005-06-14 주식회사 데코레이 광섬유 침직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451B1 (ko) * 2002-09-24 2005-06-14 주식회사 데코레이 광섬유 침직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021870T2 (de) Anordnung an textilmaschinen, insbesondere webvorrichtung.
CN214736606U (zh) 一种纺织生产加工用缝纫机针头穿线设备
KR200264295Y1 (ko) 침직기 받침판
IT1224020B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il montaggio e lo smontaggio degli aghi di una barra ad aghi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fettatrici
DE69018305T2 (de) Elektromagnetische Nadelauswahlvorrichtung für eine Rundstrickmaschine.
ATE241026T1 (de) Verfahren zur kompensation der längungs- oder spannungsänderung in einer webkette und web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970015830A (ko) 미싱의 천칭가이드
CN101180424B (zh) 飞梭刺绣机或合缝机和用于这样机器的针
EP0877112A3 (de) Verfahren zum Besticken von rohrförmigem Nähgut und Vorrichtung zum Besticken von rohrförmigem Nähgut
DE59002606D1 (de) Grundgewebe für Stickereien.
JP2003089962A (ja) ニ−ドルパンチ装置
TW313156U (en) A needle for a needle bar or rod for textile combing machines, and a needle bar with such needles
KR890001936Y1 (ko) 횡편기의 사도장치
CN220266004U (zh) 一种机架及其大圆机
CN211311810U (zh) 一种标签式自动定位缝纫机
CN212426376U (zh) 一种缝纫机的缝纫定位装置
CN108049005B (zh) 定位销组件及含有该定位销组件的综丝分离器与穿综机
JP3584360B2 (ja) ミシン針
CN216551020U (zh) 挑线装置及具有其的缝纫机
WO2003027722A2 (en) Optical fiber sew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ductsproduced using it
DE68906878D1 (de) Schubsteuervorrichtung fuer webnadeln in einer jacquard-maschine.
KR880002843Y1 (ko) 환편기의 원단 개폭장치
CN218261233U (zh) 一种纺织用纱线架
CN210215792U (zh) 一种移动式面料定位机构
KR930000378Y1 (ko) 제직준비기용 실 안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