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066Y1 - 스트레칭 롤링베드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롤링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066Y1
KR200264066Y1 KR2020010030895U KR20010030895U KR200264066Y1 KR 200264066 Y1 KR200264066 Y1 KR 200264066Y1 KR 2020010030895 U KR2020010030895 U KR 2020010030895U KR 20010030895 U KR20010030895 U KR 20010030895U KR 200264066 Y1 KR200264066 Y1 KR 200264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roller
bed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규영
Original Assignee
남궁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규영 filed Critical 남궁규영
Priority to KR2020010030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066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의 바른 골격 유지 및 근육 피로를 해소하는 스트레칭 롤링베드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스트레칭 롤링베드를 보다 개량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킨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지지되는 평상형의 베드 본체와;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입설되는 커버 틀의 내측을 따라 로울러가이드레일이 장착되고, 로울러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로울러가 본체 상면의 요입부에 입설된 와이어가이드롤러를 거쳐 본체 하단에 장착되는 풀리에 감겨지는 동력전달체와 연결되고, 풀리는 롤러이동용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는 롤링베드에 있어서, 프레임은 본체의 무게중심에서 본체를 지지하도록 되고; 본체의 중앙부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반월치차가 부착되고; 프레임 안에는 반월치차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감속기를 거쳐 모터에 연결되도록 하여 수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피시술자에게 부여하는 스트레칭 효과를 최대화하는 역학적 구조를 손쉽고도 정확하면서 내구성 높게 부여하는 스트레칭 베드를 제공하며, 게다가 피시술자에게 항상 일정한 시술을 할 수 있도록 시술도구를 베드에 일체화하며, 특히나 스트레칭 효과를 한층 더 극대화하는 장치를 장착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스트레칭 롤링베드{Stretchy rolling bed for stretching}
본 고안은 사람의 바른 골격 유지 및 근육 피로를 해소하는 스트레칭 롤링베드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스트레칭 롤링베드를 보다 개량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킨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윤택한 생활을 누리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건강하고도 활력 넘치는 신체는 대중의 소망이 되어 버린지 오래이며, 이러한 바램은 신체의 바른 골격 유지 및 건전한 신장과 더불어 근육의 피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중의 하나인 스트레칭 롤링베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스트레칭 롤링베드 중 전형적인 것이 시술자의 높이에 맞춘 4개의 다리인 프레임(2)에 지지되는 평상형의 베드 본체(1)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본체(1)에 피시술자가 누우면, 시술자는 여러 가지 도구, 예컨대 로울러 등을 손으로 잡고 시술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베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상 스트레칭에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기 곤란하며, 시술자의 인력에 의한 시술이라서 도구를 수작업으로 사용함에 의해 시술자의 능력에 따라 심지어는 동일한 시술자의 경우에도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시술정도가 달라짐으로 항상 일정하고 균일한 시술을 함으로서 피시술자의 신체 발육 및 골격의 균형된 스트레칭을 도모하며, 경직된 근육을 고르게 이완시킴으로서 근육피로를 충분히 풀 수 있도록 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본인의 등록실용신안 제228808호의 '스트레칭 롤링베드'는 도 7 내지 도 9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의 높이에 맞춘 프레임(2)에 지지되는 평상형의 베드 본체(1)로 이루어지는 롤링베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길이방향 양측에 입설되는 커버 틀(61)의 내측을 따라 로울러가이드레일(16)이 장착되고, 상기 로울러가이드레일(16)에 안내되는 로울러(12)가 상기 본체(1) 상면의 요입부에 입설된 와이어가이드롤러(13)를 거쳐 본체(1)하단에 장착되는 풀리(41)에 감겨지는 동력전달체(42)와 연결되고, 상기 풀리(41)는 롤러이동용의 모터(40)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본체(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돌출되게 안착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51)의 내부에는 히터(50)가 장설된 것'과 '상기 구성과 더불어, 상기 본체(1)의 상면 후부에는 고정 보조구(19)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2)은 중앙에 상기 본체(1)와 힌지 연결되는 경첩(20)이 장착되고, 양단에는 와이어로프(32)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32)가 축(31)을 거쳐 상기 본체(1)의 하부에 장착되는 경사조절모터(30)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인데, 이는 종래의 베드 본체(1)를 기본으로 하여 금속제의 프레임(2)을 밴딩하여 본체(1)를 지지하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경첩(21')이 장착되고, 와이어로프(32)가 축(31)을 거쳐 상기 본체(1)의 하부에 장착되는 경사조절모터(30)로 연결되어 이 모터(30)에 의하여 본체(1)가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며, 게다가, 로울러(12)가 모터(40)의 회전의 회전에 의해 풀리(41)의 외주에 감긴 동력전달체(42)의 힘으로본체(1)의 길이방향 전후로 이동하면서, 로울러가이드레일(16)에 안내되어 사람이 누웠을 때의 인체의 굴곡에 맞추어 상하진 함으로서 피시술자의 인체를 눌러주게 되며, 이때 히터(50)는 적절한 찜질 온도를 부여하여 근육의 마사지와 뼈 및 관절의 교정효과를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본인의 선등록 고안은 상술한 여러 가지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본체(1)의 틸팅이 와이어로프(32)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장기간 사용시 와이어로프(32)의 장력을 재조정하여야 정확한 각도로 틸팅이 이루어지며, 그 구성도 복잡하여 고장의 여지가 많으며, 내구성에도 약간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고안뿐만 아니라 본 인의 선 고안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개발된 것으로 그 과제는 피시술자에게 부여하는 스트레칭 효과를 최대화하는 역학적 구조를 손쉽고도 정확하면서 내구성 높게 부여하는 스트레칭 베드를 제공하며, 게다가 피시술자에게 항상 일정한 시술을 할 수 있도록 시술도구를 베드에 일체화하며, 특히나 스트레칭 효과를 한층 더 극대화하는 장치를 장착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완성된 고안인데, 이를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의 발췌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의 요부 발췌상태도,
도 7은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종래 고안의 요부 발췌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프레임(지지대) 10. 로울러틀
11. 베어링 12. 로울러 13.와이어 가이드 로울러
16. 로울러가이드레일 18. 인체고정지지대 19. 고정 보조구
20.경첩 21. 반월 치차 22. 치차축
30,40. 모터 31. 감속기 32. 와이어로프
33. 피니언 41. 풀리 42. 동력전달체
50. 히터 51. 안착부 60. 커버
61. 커버 틀 70. 리미트 스위치 71. 제어선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작동부를 알 수 있도록 이를 발췌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의 높이에 맞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지지되는 평상형의 베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길이방향 양측에 입설되는 커버 틀(61)의 내측을 따라 로울러가이드레일(16)이 장착되고, 상기 로울러가이드레일(16)에 안내되는 로울러(12)가 상기 본체(1) 상면의 요입부에 입설된 와이어가이드롤러(13)를 거쳐 본체(1)하단에 장착되는 풀리(41)에 감겨지는 동력전달체(42)와 연결되고, 상기 풀리(41)는 롤러이동용의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는 롤링베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상면 후부에는 인체 고정지지대(18)가 부착되어 이에 고정 보조구(19)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2)은 상기 본체(1)의 무게중심에서 본체(1)를 지지하도록 되고; 상기 본체(1)의 중앙부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반월치차(21)가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2) 안에는 상기 반월치차(21)에 치합되는 피니언(33)이 감속기(31)를 거쳐 모터(30)에 연결되도록 하여 수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월치차(21)가 상기 본체(1)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치차축(22)의 가운데에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도 4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의 요부인 작동부를 알 수 있도록 이를 발췌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월치차(21)가 상기 본체(1)의 양측면에 하나씩 부착되고, 상기 피니언(33)도 하나의 피니언축(33)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반월치차(21)각각에 치합되어 상기 감속기(31)와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본체(1)의 상면인 안착부(51)에 사람이 눕고, 고정보조구(19)로 피시술자의 발목을 고정한 후, 외부의 컨트롤 패널{일부 도시된 제어선(71)을 통해 베드의 주변 편리한 위치에 설치 또는 장착됨}에서 스위치를 온 하면 그 후는 자동으로 작동이 되는데,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본인의 선등록 고안과 많은 부분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술한 종래 고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함으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며, 특히 본체(1)를 틸팅하는 부분을 개선한 것이 본 고안의 요지임으로 이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의 상면 후부에는 인체 고정지지대(18)가 부착되어 이에 고정 보조구(19)가 장착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본체(1)의 틸팅시에 피시술자의 발목을 묶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에 부착되는 철봉상의 지지대(18)와 이 철봉에 발목을 묶는 띠인 고정 보조구(19)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2)은 상기 본체(1)의 무게중심에서 본체(1)를 지지하도록 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피시술자가 본체(1)에 누웠을 때 시술자가 허리를 구부려 시술하기 편리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특히 모터(30), 감속기(31) 및 피니언(33)을 내장하는 것으로 지지강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트롤 패널{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선(71)을통해 본체(1)에 내장되는 작동 서보들과 연결되는 것으로, 무선형의 리모콘이어도 좋음}을 적절히 조작하여 온도와 경사각 및 로울러(12)의 작동 속도와 모드 등을 설정하고 온 시키면 이후는 자동으로 작동하여 시술하게 되며, 특히 경사각의 조절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본체(1)의 중앙부에는 반월치차(21)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모터(30)의 회전력을 감속기(31)가 적절히 감속하여 피니언(33)에 전달하면, 이에 의해 치합된 반월치차(21)가 소정 각도로 회전되면서 이에 일체로 부착되는 본체(1)가 틸팅이 되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본 고안의 구성과 더불어 본인의 선등록 고안인 등록 제228,808호에 적용되는 히터(50)를 본 고안의 본체(1)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본체(1)에 히터(50)를 장설하면 찜질효과까지 부여하여 보다 완벽한 근육의 마사지와 뼈 및 관절의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반월치차(21)가 상기 본체(1)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치차축(22)의 가운데에 고정된 것인데, 이는 특히 반월치차(21)가 한 개인 경우의 구체화로서 치차축(22)은 반월치차(21)가 본체(1)의 무게 중심에서 지지되도록 고정하는 역할만 하면 됨으로 반드시 원형 막대일 필요는 없으며, 본체(1)의 중앙 하부를 가로지르는 프레임이나 바(Bar)로 대체하여도 기능상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반월치차(21)가 상기 본체(1)의 양측면에 하나씩 부착되고, 상기 피니언(33)도 하나의피니언축(33)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반월치차(21)각각에 치합되어 상기 감속기(31)와 연결된 것인데, 이는 상기한 반월치차(21)를 두 개로 한 것으로, 반월치차(21)를 복수화 함으로서 하중을 분산하여 내구성향상 및 고장을 적게할 수 있으며, 피니언(33)은 하나의 축인 피니언축(33)의 양단에 고정되는 것임으로 동기화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시술자에게 부여하는 스트레칭 효과를 최대화하는 역학적 구조를 손쉽고도 정확하면서 내구성 높게 부여하는 스트레칭 베드를 제공하며, 게다가 피시술자에게 항상 일정한 시술을 할 수 있도록 시술도구를 베드에 일체화하며, 특히나 스트레칭 효과를 한층 더 극대화하는 장치를 장착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시술자의 높이에 맞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지지되는 평상형의 베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길이방향 양측에 입설되는 커버 틀(61)의 내측을 따라 로울러가이드레일(16)이 장착되고, 상기 로울러가이드레일(16)에 안내되는 로울러(12)가 상기 본체(1) 상면의 요입부에 입설된 와이어가이드롤러(13)를 거쳐 본체(1)하단에 장착되는 풀리(41)에 감겨지는 동력전달체(42)와 연결되고, 상기 풀리(41)는 롤러이동용의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는 롤링베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상면 후부에는 인체 고정지지대(18)가 부착되어 이에 고정 보조구(19)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2)은 상기 본체(1)의 무게중심에서 본체(1)를 지지하도록 되고;
    상기 본체(1)의 중앙부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반월치차(21)가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2) 안에는 상기 반월치차(21)에 치합되는 피니언(33)이 감속기(31)를 거쳐 모터(30)에 연결되도록 하여 수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롤링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월치차(21)가 상기 본체(1)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치차축(22)의 가운데에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롤링베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월치차(21)가 상기 본체(1)의 양측면에 하나씩 부착되고, 상기 피니언(33)도 하나의 피니언축(33)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반월치차(21)각각에 치합되어 상기 감속기(31)와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롤링베드.
KR2020010030895U 2001-10-10 2001-10-10 스트레칭 롤링베드 KR200264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895U KR200264066Y1 (ko) 2001-10-10 2001-10-10 스트레칭 롤링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895U KR200264066Y1 (ko) 2001-10-10 2001-10-10 스트레칭 롤링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066Y1 true KR200264066Y1 (ko) 2002-02-19

Family

ID=7306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895U KR200264066Y1 (ko) 2001-10-10 2001-10-10 스트레칭 롤링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0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929B2 (ja) 整復装置
US20050272566A1 (en) Bed-shaped exerciser
HUH3799A (en) The apparatus for treatment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recreation, and training of spine and other human body parts
KR100664725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CN108618944B (zh) 一种医疗护理用颈椎病按摩装置
KR101589958B1 (ko) 성장 촉진 기구
US2950715A (en) Orthopedic bed
JP4627326B2 (ja) 整復装置
KR200264066Y1 (ko) 스트레칭 롤링베드
KR200441907Y1 (ko) 척추 교정기
CN201356687Y (zh) 腰椎牵引及摆动康复床
KR200434119Y1 (ko) 골반교정기
KR200210427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880672B2 (ja) 腰痛治療装置
KR200264067Y1 (ko) 스트레칭 롤링베드
US7141010B2 (en) Variable radius flexibility apparatus
KR20140095198A (ko) 손가락 재활기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KR101366533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하체 고정장치
KR200462107Y1 (ko) 환자중량을 이용한 자동 견인 척추 교정기구
CN2403409Y (zh) 一种床面角度可调整的振抖牵引按摩床
KR200264065Y1 (ko) 스트레칭 롤링베드
CN2715742Y (zh) 人体倒立机
KR200329856Y1 (ko) 중력을 이용한 고정식 척추 치료장치
KR200363859Y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