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845Y1 - 결상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결상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845Y1
KR200263845Y1 KR2020010035302U KR20010035302U KR200263845Y1 KR 200263845 Y1 KR200263845 Y1 KR 200263845Y1 KR 2020010035302 U KR2020010035302 U KR 2020010035302U KR 20010035302 U KR20010035302 U KR 20010035302U KR 200263845 Y1 KR200263845 Y1 KR 200263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power
uni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동
김무성
박창옥
김만호
Original Assignee
김춘동
김무성
김만호
박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동, 김무성, 김만호, 박창옥 filed Critical 김춘동
Priority to KR2020010035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845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상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삼상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삼상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직류변환부와, 상기 삼상전원을 감압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결상감지센서부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이용하여 결상여부를 판정한 후, 결상이 발생하면 결상신호를 출력하는 결상신호판정부와, 상기 결상신호의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계속될 경우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결상신호확인부 및 상기 차단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직류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트립차단부로 구성되어, 기존의 배선용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에 결상차단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결상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회로구성에 따른 별도의 배선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삼상전원중 한 개의 상이 단전되었을 경우, 배선용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가 자동적으로 삼상을 동시에 차단하여, 삼상전원으로 가동하는 동력 설비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결상에 따른 사용자의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상 차단장치{open phase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결상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삼상전원을 감압하고 포토커플러를 사용하여 잡음 등을 제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비동기 미분회로를 이용하여 각 상의 중복부분을 제거하고 논리회로를 사용하여 결상여부를 확인하며, 일정시간동안 결상될 경우 트립차단장치를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계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한국전력으로부터 삼상전원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경우, 전력설비인 변압기 1차 측의 각 상에 컷아웃스위치(COS : Cut-Out Switch) 및 변압기 2차 측에 캐치홀더(Catch Holder)를 설치하여 옥내설비의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 발생 시, 전로를 자동적으로 차단시켜 전력설비와 옥내에 설치된 전기기계장치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컷아웃스위치 또는 캐치홀더에 내장된 퓨즈(Fuse)가 외적요인에 의하여 끊어지게 되면, 입력전원은 결상상태가 된다.
이때, 메인스위치 이후에 삼상전원으로 가동하는 삼상유도전동기 내부의 결상된 회로에서 전자유도에 의한 과전압이 유기되고, 상기 유기된 과전압에 의하여 절연내력이 파괴되어, 모든 삼상유도전동기에서 소손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측으로부터 한 개의 상이 단전된 결상에 대해 배선용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의 삼상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삼상전원으로 가동하는 동력설비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결상에 따른 사용자의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결상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는 본 고안에 의한 결상 차단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원입력부 20 : 직류변환부
30 : 결상감지센서부 40 : 결상신호판정부
50 : 결상신호확인부 60 : 트립차단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결상 차단장치는 삼상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삼상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직류변환부(20)와, 상기 삼상전원을 감압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결상감지센서부(30)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이용하여 결상여부를 판정한 후, 결상이 발생하면 결상신호를 출력하는 결상신호판정부(40)와, 상기 결상신호의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계속될 경우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결상신호확인부(50) 및 상기 차단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직류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트립차단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의한 결상 차단장치의 블록도로서, 삼상 380V의 전원이 전원입력부(10)로 입력되면, 전원입력부(10)는 입력된 전원을 직류변환부(20)와 결상감지센서부(30)로 공급한다.
상기 직류변환부(20)는 입력된 삼상전원을 삼상전파정류회로를 이용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삼상전파정류전원은 저항분압방식을 이용하여 일정한 전압으로 감압하여 내부회로(도시하지 않음)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결상감지센서부(30)는 입력된 삼상전원을 저항분압방식을 이용하여 일정한 전압으로 감압한 후에 포토커플러로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포토커플러(photocoupler)는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잡음에 강하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간의 전류를 절연할 수 있으며, 각 장치마다 접지(接地)가 가능하고, 장치간의 결합용량이 작기 때문에 출력 쪽의 신호가 입력 쪽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기회로와 단말기 등을 포토커플러를 매개해서 결합하면, 전원전압의 차이나 기계부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어 회로설계가 쉬워지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넓은 소자이다.
상기 포토커플러로 입력된 전원은 펄스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상기 출력된 펄스신호는 낫게이트(NOT GATE)를 거쳐 안정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삼상전원은 120°의 위상차이를 보이는 전원이므로, 상기 공급되는 디지털신호, 즉 펄스파형도 120°의 위상차이를 보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각 상들이 중복되게 된다.
상기 펄스파형이 결상신호판정부(40)로 입력되면, 결상신호판정부(40) 내부의 비동기 미분회로에 의하여 중복부분이 제거되며, 상기 비동기 미분회로의 출력신호는 논리회로를 거쳐 삼상전원의 결상여부를 확인하고, 결상 발생시에 결상신호를 출력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논리회로는 논리곱(AND), 논리합(OR) 또는 부정(NOT) 게이트(GATE)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기 위한 것으로, 당업자간에 다양한 논리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결상신호가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결상의 발생 이외에도 전원측으로부터 삼상이 동시에 정전되거나 차단기 자체동작에 의한 접촉점 시간차에 의하여 미세한 결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내부회로의 잦은 온오프(on-off) 동작을 유발시키게 되며, 그것으로 인한 기기의 수명단축을 초래하게 되므로, 상기 결상신호를 결상신호확인부(50)로 입력하여 일정시간동안 결상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차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직류변환부(20)에서 변환된 삼상전파정류전원을 내부회로에 전달하는 트립차단부(60)로 상기 차단신호가 입력되면, 트립차단부(60)는 삼상전파정류전원의 입력을 중단하게 된다.
이때, 트립차단부(60)의 온오프 동작은 비제이티(BJT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에프이티(FET : Field Effect Transistor )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하던 배선용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를 결상차단기로 변경할 경우, 기존의 배선용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에 결상차단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회로구성에 따른 별도의 배선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삼상전원중 한 개의 상이 단전되었을 경우, 배선용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가 자동적으로 삼상을 동시에 차단함으로써, 삼상전원으로 가동하는 동력 설비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결상에 따른 사용자의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삼상전원의 결상 여부를 확인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장치에 있어서,
    삼상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삼상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직류변환부(20)와,
    상기 삼상전원을 감압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결상감지센서부(30)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이용하여 결상을 판정한 후에 결상신호를 출력하는 결상신호판정부(40)와,
    상기 결상신호의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계속될 경우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결상신호확인부(50) 및
    상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직류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트립차단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상 차단장치.
KR2020010035302U 2001-11-16 2001-11-16 결상 차단장치 KR200263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302U KR200263845Y1 (ko) 2001-11-16 2001-11-16 결상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302U KR200263845Y1 (ko) 2001-11-16 2001-11-16 결상 차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449A Division KR100451250B1 (ko) 2001-11-16 2001-11-16 결상 검출방법 및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845Y1 true KR200263845Y1 (ko) 2002-02-09

Family

ID=7311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302U KR200263845Y1 (ko) 2001-11-16 2001-11-16 결상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8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7954B1 (en) Residual current device
US6178077B1 (en) Electronic branch switching device
KR20060110749A (ko) 누전차단기
EP0483164B1 (en) A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CN100474725C (zh) 给电路断路器供电的方法和系统
KR20080087654A (ko) 누전 검출 장치
CN104901273B (zh) 漏电断路器
US6697237B2 (en) Conversion of standard class a ground-fault circuit-interrupters, (GFCI), to a class a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open neutral protection
KR200263845Y1 (ko) 결상 차단장치
KR100501419B1 (ko) 동작테스트 기능을 갖는 저압 1상용 과전압 누전차단기
KR100451250B1 (ko) 결상 검출방법 및 차단장치
US20070109696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TW223714B (ko)
JP2004015961A (ja) 三相欠相保護付漏電遮断器
JP2023504681A (ja) 残留電流回路遮断器
US7265960B2 (en) Trip coil drive circuit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889535B1 (ko) 누전차단기
JPH11205998A (ja) 変流器二次側回路の開路保護装置
RU23001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человека от пораж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м током в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м пункте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Brewis et al. Theory and practical performance of interlocked overcurrent busbar zone protection in distribution substations
KR100439890B1 (ko) 결상시도 지락보호가 가능한 누전차단기
KR20010003354A (ko) 전원공급장치의 고전압 입력 차단장치
RU251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низковольтных фидеров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сто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централизации на железных дорогах
KR100684972B1 (ko) Afci차단기의 전원회로
JPH06343231A (ja) 系統連系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