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546Y1 -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 Google Patents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546Y1
KR200263546Y1 KR2020010031941U KR20010031941U KR200263546Y1 KR 200263546 Y1 KR200263546 Y1 KR 200263546Y1 KR 2020010031941 U KR2020010031941 U KR 2020010031941U KR 20010031941 U KR20010031941 U KR 20010031941U KR 200263546 Y1 KR200263546 Y1 KR 200263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uct
heat
air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근호
Original Assignee
강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근호 filed Critical 강근호
Priority to KR2020010031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546Y1/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 연탄적재함이 수납되는 공간부 상방으로 일측에 송풍수단이 구비되는 외기유입관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외기유출관이 형성되며 본체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수직방으로 소직경의 열교환관이 다수개, 다수열 배치 고정 관통되는 하단덕트와, 상기 하단덕트 상방으로 본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에 송풍수단이 구비되는 외기유입관이, 타측으로 외기유출관이 구비되고,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에 의해 가스집진구를 형성하는 상단덕트를 구비하되, 상기 하단덕트의 열교환관보다 3~4배의 직경을 갖는 열교환관이 소수개 배치 고정되며 관통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각각의 덕트 일측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에 의해 열교환 된 후 타측으로 배출,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하단덕트의 열교환관으로 연소공기의 통과시 일정정도 지체 현상에 의해 외기와 열교환 된 후, 상단덕트의 소수 열교환관으로 모여지는 과정에서도 2차 외기에 의해 열교환 된 후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설비 장치에 의해서도 효율적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The fever-wind and the warm-wind construction}
본 고안은 연탄을 열원으로 하여 농가의 화원이나 비닐하우스등의 실내를 난방시키거나 열풍을 제공하기 위한 열풍 및 온풍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장치에 의해 난방 및 온풍, 열풍이 제공되도록 하여, 시설 설치비의 절감 및 유지보수비를 대폭 절감하고, 열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의 비닐하우스나 화원등에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난방시키거나 또는 뜨거운 고온의 열풍을 불어넣어 주기 위해 열풍기 또는 온풍기등을 사용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으나, 이와같은 열풍기 또는 온풍기 사용시 주로 기름을 주연료로 하여 사용하므로 이에 따른 연료비가 상당하게 증가되고, 화원의 꽃이나 비닐하우스의 야채, 과일등의 재배시 그 원가가 상당하여 상품화 하였을 경우 제품자체가 상당한 고가품화 될 수 밖에 없어 실소비자의 부담 가중은 물론, 재배자인 농업 종사자 또한 이윤 발생률이 격감되는 요소로 작용되어 왔으며, 이와같은 요인은 원유 상승 효과에 비례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왔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연료원을 기름에서 연탄으로 대체함에 따른 연탄의 소비율이 증가 하고 있으며, 열효율 및 열풍에 의한 난방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고안된 고안들이 다수 특허청에 기출원되거나 또는 등록되어 개시중에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실용신안 공개 제 2000-2219호의 경우, 외벽 전체가 보온제로 감싸지고 전면 상부에는 흡입공이 형성되어 내부와 연통된, 열풍기본체의 발열실 중앙부에 하측 연탄 연소실과 다수개의 연통관으로 연결되는 집진닥터와 그 일측으로 연결닥터를 설치하여 서로 연통되게 하고, 연결닥터 타측과 상측에는 흐름닥터와 배출닥터를 구성한 다음, 흐름닥터와 연결닥터, 그리고 열풍기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굴뚝이 상면에 형성된 배출닥터 사이에 여러개의 열교환관을 횡설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발열실과 격리되는 하측 연소실은 일측을 개방하여 개폐문으로 개폐되게 하면서 바닥면 중앙부에 통기공이 수개 뚫려진 공기공급관을 고정하여 입구를 개폐문 외부까지 연장하며 연소실 하부 발열실 양측에는 배출공을 형성하여 각각 송풍기를 설치하여서 되는 연탄 열풍기를 제공하고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의 열풍기는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연탄 연소에 의해 열량을 함유하는 공기가 닥트를 타고 유동되는 관로가 주로 수직과 수평으로 직교되고 있어 유동제한에 의한 지체시간의 과다로 실내 최적 온도를 맞추는데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가열공기의 대류시간 과다로 인한 연탄 연소시간이 다소 길어져 연탄 소비율이 저하되는 잇점은 있으나 적은 발열량에 의해 상당한 실내 체적을 적정온도로 유지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적정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어려운 점이 지적되고 있고, 다수의 관로가 형성되는 열교환관이 내설되는 덕트를 외기가 에워싸는 형상의 대류현상을 보이며 가열되므로, 즉 외기가 열교환관과 직접 접촉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열교환관을 에워싸는 덕트 주변을 돌며 가열되므로, 열교환관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충분히 외기가 함유하지 못한채 외부(즉 실내)로 유입되어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부측에 구비되는 연탄적재수납구측으로 가이드레일에 의해 수납/인출되는 연탄적재함과, 일측으로 송풍기에 의해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출구가 형성되며, 배면부측으로 연도가 구비되고, 배면부 내측으로 상단으로부터 하단부로 기류유도판을 형성하되 그 하단 단부로 유도공이 형설되도록 하여 연탄적재함의 연탄 연소에 의한 연소공기가 기류유도판을 따라 하강된 후 유도공을 통해 연도로 배출되도록 하고, 단열재에 의해 내벽이 형성되는 본체와, 일측에 외기유입구를, 타측에 외기유출구를 구비하여 각각 본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관되도록 하는 열교환덕트를 구비하되, 상기 열교환덕트 내부를 수직 관통하는 다수개, 다수열로 배열되는 양단이 개방되는 열교환관을 내설하여 본체의 유입구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열교환덕트를 통과하며 열교환관과 당접되며 대류되어 열교환되어 유출구측으로 뜨거운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연소공기는 열교환관으로 상승된 후 기류유도판을 따라 다시 하강되어 유도공을 통해 연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를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출원 제2001-25591호로 출원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경우에 종래의 열풍기 또는 온풍기에 비하여 열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은 있으나, 덕트가 절곡 형성되므로 송풍수단으로부터 상당한 고압으로 외기를 공급하여야 유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적정 압력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므로, 송풍수단이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생산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덕트를 'ㄷ'자형 또는 'ㄹ'자형으로 절곡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공정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게 되고, 열풍장치의 배면기류유도판 가공작업, 연도의 상하승강 조절 가공작업, 상부측 덕트를 관통하는 열교환관 상단을 절반 정도 개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공정등이 수반될 수 밖에 없어 생산공정이 번잡하고, 이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와 장치 자체가 상당하게 커지게 되어 필요 이상의 소요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열풍장치를 제공하되 높은 열효율을 기대함과 동시에 제작 공정을 감축하여 생산 작업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상단덕트만을 도시한 일부단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단덕트에 내설되는 열교환관의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단면도이며,
도 2d는 상단덕트내 열교환관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하단덕트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하단덕트에 내설되는 열교환관의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3c는 하단덕트에 내설되는 열교환관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구획판이 없는 상태의 상단덕트를 이용하여서 되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외기유출관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열/온풍장치 100; 본체 110; 공간부
111; 가이드레일 120; 상단덕트 121; 열교환관
122; 외기유입관 123; 외기유출관 130; 하단덕트
131; 열교환관 132; 외기유입관 133; 외기유출관
140; 가스집진구 150; 연도 160; 연탄적재함
161; 케스터 170; 송풍수단 180; 유출관커버
190; 가스유출억제판 191; 가스유출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탄적재함(160)이 슬라이딩 인출, 수납되고 그 상방으로 다수의 열교환관(121,131)이 내설되고 일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170) 및 타측으로 뜨거운 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출관(123,133)이 구비되는 본체(100)로 되는 열풍 및 온풍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측 상단부에 2단으로 되는 상하단덕트(120, 130)를 상하 구성하고, 하단덕트(130) 내부를 수직상 관통하는 소직경의 열교환관(131)이 다수개, 다수열 고정되고 상단덕트(120) 내부를 상기 소직경의 하단덕트(130) 열교환관(131)보다 3~4배 크기를 갖으며 수직상 관통하는 대직경의 열교환관 (121)이 소수개 형성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상단덕트만을 도시한 일부단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단덕트에 내설되는 열교환관의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단면도이며, 도 2d는 상단덕트내 열교환관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하단덕트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하단덕트에 내설되는 열교환관의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3c는 하단덕트에 내설되는 열교환관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구획판이 없는 상태의 상단덕트를 이용하여서 되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외기유출관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측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탄을 다수개 다수층 적재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연탄적재함(160)과, 상기 연탄적재함(160)으로부터 연소되어 상승되는 고온의 연소공기를 열교환하여 실내로 열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1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하단부측에 연탄을 적재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연탄적재함 (160)이 슬라이딩 수납/인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110)를 형성한 후 그 공간부(110) 하단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111)을 형성하고 상기 연탄적재함(160) 하단의 케스터(161)에 의해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딩 수납/인출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공간부(110) 상부측으로 연탄적재함(160)의 연탄으로부터 연소된 뜨거운 연소가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덕트(120,130)를 상하 2단으로 구성한다.
이와같은 덕트(120,130)는 도면에서 보듯이 2단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하단덕트(130)를 본체(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시키되 하단덕트(1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열교환관(121)을 다수개 다수열 밀집되는 형태로 고정한다. 이때의 열교환관(131)은 비교적 소직경의 파이프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되는 하단덕트(130)의 일측 즉, 하단덕트(130)가 위치되는 위치의 본체(100) 일측면으로 송풍수단(170)이 구비된 외기유입관(132)을 형성하고, 그 타측 즉 본체(100) 타측의 하단덕트(130) 유출방향측으로는 외기유출관(133)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의 송풍수단(170)에 의해 공급된 외기가 하단덕트(130)를 유동함과 동시에 연탄적재함(160)의 연탄으로부터 연소되는 뜨거운 연소가스가 하단덕트(130)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열교환관(131)을 유동할 때 그 뜨거운 열이 열교환관 (131)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면서 상기 차가운 외기와 열교환되어 고온의 외기로 전환된 후 하단덕트(130) 타측의 외기유출관(133)을 통해 비닐하우스등의 실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 3b에서 보듯이 소직경의 열교환관(131) 내부로 봉(134)을 내입(內入)하여 미설명된 고정구(136)에 의해 상기 봉(134)을 고정하고, 그 봉(134) 외주면을 권회하는 코일(135)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연탄적재함(160)의 연탄으로부터 연소되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달궈진 상태의 열교환관(131)이 하단덕트(130)의 외기유입관(132)을따라 유입된 외기와 열교환 될 때 빠른 속도로 열교환되어 상기 열교환관(131)이 급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관(131)이 외기에 의해 급냉되더라도 그 내부에 내설되어 있는 코일(135)은 항상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열교환관(131)의 유지온도를 항상 일정하며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도 3c에서 보듯이 열교환관(131)의 상단측에 가스유출공(191)이 천공되는 가스유출억제판(190)을 고정하여 연탄적재함(160)의 연탄으로부터 연소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빠르게 열교환관(131)을 통하여 상단덕트(120)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교환관(131)내에서 고온의 가스가 일정시간 지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기와 충분하게 열교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같은 하단덕트(130) 상방측으로 상단덕트(120)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상단덕트(120) 또한 마찬가지로 본체(100)의 길이방향측으로 길게 형성된 후 본체(100)의 일측에 송풍수단(170)을 갖는 외기유입관(122)을 형성하고 본체(100) 타측으로 외기가 유출되기 위한 외기유출관(123)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단덕트(120)의 상단부측을 구획하는 구획판(124)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124)과 상단덕트(120)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열교환관(121)을 등간격 이격시키며 고정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관(121)은 하단덕트(130)의 열교환관(13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하되 상단덕트(120) 열교환관(121)의 직경이 하단덕트(130) 열교환관(131) 직경보다 3~4배 크기를 갖도록 하고, 상기 구획판(124)을 두는 이유는 이와같은 상단덕트(120) 각각의 열교환관(121)으로 유동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방측으로 유동된 후 본체(100) 상단부측으로 형성된 연도(150)로 유동되어 외부로 유출되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단덕트(120) 하단부에서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커버판(125)을 형성하여 그 커버판(125)내로 하단덕트(130)가 내합되도록 하여 연소가스가 열교환관(121)(131)을 통하여 유동할 때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의 열효율을 증대시키고,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시예로 도 2b 및 도 2c를 제시하는바, 도면에서 보듯이 상단덕트(120)의 대직경으로 되는 열교환관(121) 내경측에 미설명된 고정구(128)에 의해 상하단에 각각 취부되어 상기 열교환관(121)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봉(126)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봉(126) 외주면에 다수개 고정되는 원판형상의 차단판(127)을 형성한다.
상기의 차단판(127)은 상기 상단덕트(120) 열교환관(1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하단덕트(130)의 열교환관(131)을 통해 유입된 연소가스가 상기 상단덕트(120) 열교환관(121) 내부를 통과할 때 차단판(127)에 의해 연소가스의 유동속도를 현저하게 격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온의 연소공기가 상하단덕트(120, 130) 열교환관(121, 131)에 장시간 체류가능하도록 하여 열효율의 증감 및 연탄의 연소속도를 줄여 연탄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2d에서와 같이 그 구성을 달리 할 수 있는바, 하단덕트(130)의열교환관(13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단덕트(120)의 열교환관(121) 상단부측에 가스유출공(191)이 천공되는 원판형상의 가스유출억제판(190)이 내경면과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열교환관(121)을 통과하는 고온의 가스의 유동을 지체시켜 충분하게 외기와 열교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보듯이 상단덕트(120)의 외기유출관(123)이 절곡 형성되며 그 단부가 하단덕트(130)의 외기유출관(133)측으로 내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단덕트(120)를 통과하여 열교환에 의해 고온화된 외기와 하단덕트(130)를 통과하여 열교환에 의해 고온화된 외기가 혼합된 후 실내측으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단덕트(120)의 외기와 하단덕트(130)의 외기가 갖는 온도차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도 6에서 보듯이 상단덕트(120)의 외기유출관(123)과 하단덕트 (130) 외기유출관(131)을 각각 평행하게 인출한 상태에서 그 각각의 외기유출관(123)(133)을 에워싸는 유출관커버(180)를 두어 상기 외기유출관 (123)(133)으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열풍이 상기 유출관커버(180)내에서 혼합된 후 실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실내 특히 화원, 비닐하우스, 가축 사육장 등 실내에 적정온도를 유지를 위한 난방을 하기 위해, 연탄을 열원으로 하여 열풍/온풍등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 본 고안에서와 같이 연탄을 다수개 다수열/층으로 적재하여 점화시킨 상태에서 본체(100)의 하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공간부(110)측으로 유입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본체(100)의 일측 상하에 각각 구비되는 송풍수단(170)을 구동시키게 되면, 실외의 차가운 외기가 상하로 각각 구비된 외기유입관(122,132)을 통해 본체(100) 내부 상하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단덕트(120,130)로 유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연탄적재함(160)으로부터 연소된 고온의 연소가스는 하단덕트 (130)를 관통하며 밀집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열교환관(131)을 통해 상승 유동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관(131)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며 듬성듬성 고정 관통되어 있는 상단덕트(120)의 열교환관(121)을 통과한 후 상단덕트(120)를 구획하는 구획판(124) 상단의 가스집진구(140)측으로 집진된 상태에서 본체(100) 상단의 연도(150)를 통하여 외부로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탄적재함(160)으로부터 연소되는 연소공기의 흐름과는 달리, 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송풍수단(170)에 의해 외부의 외기가 외기유입관(122)을 통하여 본체(100) 내부 각각의 상하단덕트(120,130)로 유입되어 상기한 각각의 열교환관(121, 131) 외주면과 접하며 통과되면서 열교환관(121, 131)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에 의해 차가운 외기가 열교환되어 고온의 공기로 전화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단덕트(130) 열교환관(131) 내부의 코일 (135)이 항상 달궈진 상태이므로 하단덕트(130)를 통과하는 외기가 항상 균일한 온도로 열교환되고, 이어서 상단덕트(120)의 열교환관(121)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의연소공기가 열교환관(121) 내부를 다수개 구획하여 연소공기의 유동속도를 감소시켜 급속하게 외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고온 공기로 전화된 외기는 본체(100) 타측의 외기유출관(123, 133)으로 유출되는데,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단덕트(120)의 외기유출관(123)이 하단덕트(130)의 외기유출관(132) 내부측으로 내합 형성되어 있어 다른 속도 및 다른 온도에 의한 열교환된 외기가 최종적으로 하단덕트(130)의 외기유출관(132) 단부측에서 상호 혼합되며 동일 온도, 동일 속도로 형성된 다음 실내측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주로 열풍 공급과 관련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외에도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한 특허등록출원 제 2001 - 25591 호에서와 같이 상단덕트측에 온수탱크를 구비하여 그 온수탱크를 관통하는 열교환관에 의해 냉수가 온수로 전환된 후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실내의 바닥면을 난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단덕트를 본체내에 내설하고 그 덕트를 관통하는 열교환관을 고정하되, 하단덕트에 고정되는 열교환관을 소직경으로 하여 다수개 밀집되게 형성하고, 상단덕트에 고정되는 열교환관을 이보다는 큰 대직경으로 하여 소수개 듬성듬성 형성 고정되도록 하고, 각각의 덕트 일측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에 의해 열교환 된 후 타측으로 배출,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하단덕트의 열교환관으로 연소공기의 통과시 일정정도 지체 현상에 의해 외기와 열교환 된 후, 상단덕트의 소수 열교환관으로 모여지는 과정에서도 2차 외기에 의해 열교환 된 후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설비 장치에 의해서도 고효율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열교환관에 코일 및 차단판을 각각 구비하여 연소공기의 유동속도를 제어하여, 항상 덕트내 열교환관이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열교환율이 항상 균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장치에 의한 열/온풍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제작공정이 간소화되므로 생산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크기를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설치 소요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효율적인 설치 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연탄적재함(160)이 슬라이딩 인출, 수납되고 그 상방으로 다수의 열교환관(121,131)이 내설되고 일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170) 및 타측으로 뜨거운 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출관(123,133)이 구비되는 본체(100)로 구성되는 열풍 및 온풍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연탄적재함(160)이 수납되는 공간부(110) 상방으로 일측에 송풍수단(170)이 구비되는 외기유입관(13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외기유출관(133)이 형성되며 본체(100)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수직방으로 소직경의 열교환관(131)이 다수개, 다수열 배치 고정 관통되는 하단덕트(130)와,
    상기 하단덕트(130) 상방으로 본체(10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에 송풍수단(170)이 구비되는 외기유입관(122)이, 타측으로 외기유출관(123)이 구비되고,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124)에 의해 가스집진구(140)를 형성하는 상단덕트(120)를 구비하되, 상기 하단덕트(130)의 열교환관(131)보다 3~4배의 직경을 갖는 열교환관(121)이 소수개 배치 고정되며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덕트(120)의 외기유출관(123)은 하단덕트(130)의 외기유출관(133)내에 내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덕트(120)의 구획판(124)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단덕트(120)의 상하단을 열교환관(12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열풍 및 온풍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덕트(120) 하단으로 연장되는 커버판(125)에 의해 하단덕트(130)를 에워싸는 것을 포함하는 열풍 및 온풍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덕트(120) 내부 중앙에 고정봉(126)이 고정되고, 고정봉(126) 외주연으로 등간격 차단판(127)이 다수개 배치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열풍 및 온풍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덕트(130) 내부 중앙에 봉(134)을 고정하고, 그 외주연으로 코일(135)이 권회되는 것을 포함하는 열풍 및 온풍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덕트(120,130)내에 내설되는 열교환관(121,131) 상단부 내경측에 가스유출공(191)이 중앙에 천공되는 가스유출억제판(190)이 밀착 고정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열풍 및 온풍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KR2020010031941U 2001-10-19 2001-10-19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KR200263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41U KR200263546Y1 (ko) 2001-10-19 2001-10-19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41U KR200263546Y1 (ko) 2001-10-19 2001-10-19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546Y1 true KR200263546Y1 (ko) 2002-02-06

Family

ID=7306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941U KR200263546Y1 (ko) 2001-10-19 2001-10-19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5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578B1 (ko)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100719858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1573901B1 (ko) 대류관이 구비된 난로
KR200263546Y1 (ko)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KR101475446B1 (ko) 농축산 생육시설의 내부환경 조절 시스템
KR200174585Y1 (ko) 비닐하우스의 난방장치
KR101556446B1 (ko) 온풍, 온수, 냉풍 및 냉수 공급이 가능한 다기능 냉난방 기기
KR100885702B1 (ko) 시설재배 하우스 및 축사용 에너지 절약형 온풍 난방기
KR101522548B1 (ko) 온실 히트펌프시스템용으로 냉난방 및 제습이 가능한 팬코일 유니트장치
KR101767189B1 (ko) 폐열 회수 순환 난방기
CN110567154A (zh) 一种热气产生装置及其用途、家用热炕系统
KR20020086004A (ko) 열풍 및 온풍 기능을 갖는 열/온풍 장치
CN202281375U (zh) 折返环绕热交换热风炉
CN205727605U (zh) 一种高效节能型脱温鸡舍
KR200341149Y1 (ko) 보온시설물용 내부 공기조화장치
KR200441288Y1 (ko) 농업용 온풍 난방기
CN202303865U (zh) 鼓风换热取暖炉
CN213656032U (zh) 一种快速提升室温的集成管道
CN217365488U (zh) 一种节能降温的空气炸锅
CN211267871U (zh) 温室系统
KR20190115578A (ko)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KR102410196B1 (ko) 재배사의 공조 시스템
KR200264814Y1 (ko) 농업용 열풍기
CN209345714U (zh) 改进的菇房
KR101533291B1 (ko) 폐열 확산증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