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291B1 - 폐열 확산증폭장치 - Google Patents

폐열 확산증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291B1
KR101533291B1 KR1020130053213A KR20130053213A KR101533291B1 KR 101533291 B1 KR101533291 B1 KR 101533291B1 KR 1020130053213 A KR1020130053213 A KR 1020130053213A KR 20130053213 A KR20130053213 A KR 20130053213A KR 101533291 B1 KR101533291 B1 KR 10153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mbustion gas
housing
ai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728A (ko
Inventor
홍 대 박
Original Assignee
홍 대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 대 박 filed Critical 홍 대 박
Priority to KR102013005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2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8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는, 난방기구(1)의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결되어,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는 공기순환하우징(10)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부에 각각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결합되고,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어 가열되는 가열하우징(20)과;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상,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통되는 연소가스공급관(24) 및 연소가스배출관(22)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과 상기 가열하우징(20)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열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는 가열유로(18)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실내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의 상기 가열유로(18)로 안내하는 공기유입배관(15)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유로(18)에서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배출배관(16);을 포함하는 폐열 확산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순환하우징의 내부에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하우징이 별도로 구성되어 연소가스와 실내공기가 완벽하게 분리된 상태로 가열이 이루어져 연소가스의 누출에 따른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하우징이 가열되어 실내공기를 가열하므로 난방기구와 더불어 연소가스를 이용한 추가적인 실내공기의 가열이 이루어져 난방효율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가열하우징의 내부에 가열부재가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가열하우징의 내부에 오래 머무르게 하여 가열하우징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열부재의 열이 전달되어 가열하우징의 가열속도를 가속화하여 실내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가열되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열 확산증폭장치{Heating apparatus for Using Waste Heat}
본 발명은 폐열 확산증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로 또는 보일러와 같은 난방기구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가열하우징의 가열이 이루어져 난방 효과를 극대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폐열 확산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 난방기구로 위한 보일러, 열풍기, 난로, 전기 히터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연통으로 배출되는 상당한 열기를 가진 폐열은 외부로 방출되어 대기 중에 탄소를 많이 배출하므로, 지구 온난화 속도를 빨라지게 한다.
더욱이 겨울철 추위가 더욱 강해져 연료비는 상승하고 연료소모가 더욱 많아지는 것은 심각한 문제로서,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원예작물 하우스의 경우 과일 하나에 절반 이상이 난방비라고 할 만큼 난방비로 인한 농가의 부담은 날로 더해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겨울철 난방비를 얼마나 절약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서, 난방비의 절약이 중대한 가격결정의 요인이 된다. 하겠다.
이에 관련된 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0305호에서는 농업용 온실 등에 난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열풍기에서 연통으로 방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효과적으로 집열하여 열풍기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연료의 절감과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농업용 열풍기의 교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집열박판을 지그재그로 부착하는 등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구성요소가 많은 단점이 있다.
이뿐 아니라, 열풍기에서 연통으로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집열하여 열풍기 내부로 재순환시키는 구조이므로, 난방효율이나 연료비 절감의 효과가 미비한 단점이 있다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로 또는 보일러와 같은 난방기구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가열하우징을 가열하여 공기를 순환시켜 열을 확산 및 증폭시킴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탄소배출을 감소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폐열 확산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는, 난방기구의 연소가스배출배관과 연결되어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는 공기순환하우징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부에 각각 연소가스배출배관이 결합되고,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어 가열되는 가열하우징과, 상기 가열하우징의 상,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연소가스배출배관과 연통되는 연소가스공급관 및 연소가스배출관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과 상기 가열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상기 가열하우징의 열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는 가열유로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실내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의 내부의 상기 가열유로로 안내하는 공기유입배관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유로에서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배출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가스공급관과 상기 연소가스배출관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에 전달하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열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를 확산시키는 가열판과, 상기 가열판이 상기 연소가스공급관 또는 연소가스배출관으로 부터 이격되도록 가열판과 가열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가열판의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열전달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판에는, 상기 가열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상,하부가열판이 보다 빠르게 가열되게 하는 가열홀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열전달지지대는, 상기 가열판의 일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열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공기순환하우징의 내부에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하우징이 별도로 구성되어 연소가스와 실내공기가 완벽하게 분리된 상태로 가열이 이루어져 연소가스의 누출에 따른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하우징이 가열되어 실내공기를 가열하므로 난방기구와 더불어 연소가스를 이용한 추가적인 실내공기의 가열이 이루어져 난방효율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가열하우징의 내부에 가열부재가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가열하우징의 내부에 오래 머무르게 하여 가열하우징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열부재의 열이 전달되어 가열하우징의 가열속도를 가속화하여 실내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가열되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구에 설치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열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열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구에 설치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전체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확산증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열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열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열 확산증폭장치는, 난방기구(1)의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결되어,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는 공기순환하우징(10)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부에 각각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결합되고,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어 가열되는 가열하우징(20)과,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상,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통되는 연소가스공급관(24) 및 연소가스배출관(22)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과 상기 가열하우징(20)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열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는 가열유로(18)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실내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의 상기 가열유로(18)로 안내하는 공기유입배관(15)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유로(18)에서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배출배관(16) 등으로 이루어진다.
난방기구(1)는 일반적인 보일러, 히터, 난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보일러를 적용하여 적용된 사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난방기구(1)는 내부에 연소실(2)이 설치되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내부에 순환되는 물을 가열하여 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실(2)에서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진 후 연소된 가스는 연소가스배출배관(4)을 통해 상기 난방기구(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연소가스배출배관(4)을 통해 상기 난방기구(1)의 내부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고열을 함유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연소가스배출배관(4)을 통해 상기 난방기구(1)의 외부로 배출된 고열을 포함한 연소가스는 공기순환하우징(10)에 결합된ㄷ.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은 상부에는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12)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는 후술할 가열하우징()이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13)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커버(13)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13)는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하단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커버(13)는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하측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커버(13)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결합부위에는 나사체결홀(14)이 다수개 형성되어, 나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하부커버(13)의 중앙에는 결합홀(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12)은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후술할 연소가스공급관(24)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과 상기 하부커버(13)의 결합홀(12)의 외측으로 후술할 연소가스배출관(22)과 연소가스공급관(24)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결되고,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외부에 상기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고정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우측 하부에는 공기유입배관(15)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유입배관(15)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의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외면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실내(6)에 위치된다. 상기 공기유입배관(15)은 실내(6)의 냉각된 공기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우측 상부에는 공기배출배관(16)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배출배관(16)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의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외면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실내(6)에 위치된다. 상기 공기배출배관(16)은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실내(6)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는 가열유로(18)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유로(18)는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열하우징(20)이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과 상기 가열하우징(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가열유로(18)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유로(18)는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과 후술할 가열하우징(20)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공기유입배관(15)을 통해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서 순환되어 가열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보온커버(19)가 설치된다. 상기 보온커버(19)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보온재로, 여기서 사용되는 보온재는 불연성의 실리카(silica)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온커버(19)는 실리카(silica) 이외에도 퍼라이트(perlite), 폴리에틸렌, 유리면, 암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온커버(19)는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온커버(19)는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 공기를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는 가열하우징(20)이 설치된다. 상기 가열하우징(20)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열하우징(20)은 상,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어 가열하우징(20)을 가열한다. 상기 가열하우징(20)은 열전도성 재질의 금속제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급되는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상,하부면에는 연소가스배출관(22)과 연소가스공급관(2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과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상,하부면에 중앙에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과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상,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연결된다.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과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을 통해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연소가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의 외주면에는 고정리브(2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을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25)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결합되어,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상단이 고정된다.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는 가열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재(30)는 상부가열부재(32)와 하부가열부재(3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가열부재(32,36)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 및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공급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확산시키는 상,하부가열판(32a,36a)과,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a)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a)이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일단은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연결되고,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가열된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a)의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하는 열전달지지대(32b,36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은 열전도성 재질인 금속제로 이루어져,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은 상기 연소가스배출홀(22)과 상기 연소가스공급홀(24)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하우징(20) 내부에 공급 및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확산시켜 상기 가열하우징(20)이 보다 빠르게 가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가열판(36b)은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을 통해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중앙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면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하부가열판(36b)에 의해 연소가스는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면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상부가열판(32a)에 의해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으로 이동이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에 의해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서 순환되어 상기 가열하우징(20)을 고열로 가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도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의 가열된 열기가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되어 보다 빠르게 상기 가열하우징(20)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의 내부에는 가열홀(34)이 형성된다. 상기 가열홀(34)은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에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열홀(34)은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홀(34)은 연소가스의 상부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열홀(34)을 통해 이동되는 연소가스에 의해 보다 빠르게 상,하부가열판(32a,36b)을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가열판(32a)의 상부면에는 상부열전달지지대(36b)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열전달지지대(36b)는 열전도성 재질의 금속제로 이루어져,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열전달지지대(36b)는, 도 5와 같이, 상기 상부가열판(32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열전달지지대(36)는 상단이 상기 상부가열판(32a)의 하부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부열전달지지대(36)는 상기 상부가열판(32a)을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이격된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상부가열판(32,40)의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한다.
상기 하부가열판(36b)의 하부면에는 하부열전달지지대(36b)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열전달지지대(36b)는 열전도성 재질의 금속제로 이루어져,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열전달지지대(36b)는, 도 6와 같이, 상기 하부가열판(36b)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열전달지지대(36b)는 상단이 상기 하부가열판(36b)의 하부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하부열전달지지대(36b)는 상기 하부가열판(36b)을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이격된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하부가열판(36b)의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이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면,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과 연결된 상,하부열전달지지대(32b,36b)가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의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하여 상기 가열하우징(20)이 보다 빠르게 가열되도록 하며, 연소가스에 의한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폐열 확산증폭장치는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난방기구(1) 내부의 연소실(2)에서 연료가 연소되며, 물이 가열되어 실내(6)의 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연소실(2)의 연료가 연소되어 가열된 연소가스가 생성된다. 상기 연소실(2) 내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는 연소가스배출배관(4)을 통해 상기 난방기구(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연소가스배출배관(4)의 상부에는, 도 1과 같이, 공기순환하우징(10)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 및 하부커버(13)에 형성된 결합홀(12)을 통해 상기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실내(6)와 연통되는 공기배출배관(16)과 공기유입배관(15)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하측에 설치된 공기유입배관(15)의 실내(6)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공기유입배관(15)을 통해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가열하우징(20)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유로(18)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공기배출배관(16)을 통해 실내(6)로 공급된다.
즉, 실내(6)의 냉각된 공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냉각된 공기는 가열유로(18)을 따라 이동되며 가열하우징(20)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공기배출배관(16)을 통해 실내(6)로 공급되어 추가적인 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상,하부에 형성된 연소가스배출관(22)과 연소가스공급관(24)에 각각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설치된다.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을 통해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고, 하부가열판(36b)에 의해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확산되어 이동된다. 상기 하부가열판(36b)에 의해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서 확산되어, 상기 가열하부징(20) 가열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 상측에는 상부가열판(32a)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열판(32a)은 상기 연소가스배출홀(22)의 하부에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연소가스배출홀(22)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상부가열판(32a)에 의해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어 연소가스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가열홀(3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열홀(34)을 통해 연소가스가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을 관통하여 이동되며, 연소가스에 의해 상,하부가열판(32a,36b)이 보다 빠르게 가열된다.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이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면,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과 연결된 상,하부열전달지지대(32b,36b)가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의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한다.
상기 상,하부열전달지지대(32b,36b)는 일단은 상,하부가열판(32a,36b)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열하우징(20)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b)을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하여 상기 가열하우징(20)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가열하우징(20) 및 상,하부가열부재(32,36)에 의해 불열소된 연소가스가 가열하우징(20)을 가열하여 재연소가 이루어져, 가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가스가 공급되는 가열하우징(20)과, 실내의 공기가 순환되는 공기순환하우징(10)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연소가스에 함유된 오염된 공기에 의한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공기순환 하우징 12. 결합홀
13. 하부커버 15. 공기유입배관
16. 공기배출배관 18. 가열유로
19. 보온커버 20. 가열하우징
22. 연소가스배출관 24. 연소가스공급홀
30. 가열부재 32. 상부가열부재
34. 가열홀 36. 하부가열부재
34. 가열홀

Claims (6)

  1. 난방기구(1)의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결되어,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는 공기순환하우징(10)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부에 각각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결합되고,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어 가열되는 가열하우징(20)과;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상,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통되는 연소가스공급관(24) 및 연소가스배출관(22)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과 상기 가열하우징(20)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열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는 가열유로(18)와;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실내의 냉각된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내부의 상기 가열유로(18)로 안내하는 공기유입배관(15)과;
    상기 공기순환하우징(1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유로(18)에서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배출배관(16)과;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는 설치되며,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과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하는 가열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3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열하우징(20)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를 확산시키는 가열판(32a,36a)과;
    상기 가열판(32a,36a)이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 또는 연소가스배출관(22)으로 부터 이격되도록 가열판(32a,36a)과 가열하우징(20) 사이를 연결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가열판(32a,36a)의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열전달지지대(32b,36b);를 포함하는 폐열 확산증폭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32a,36a)에는,
    상기 가열판(32a,36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상,하부가열판(32a,36a)이 보다 빠르게 가열되게 하는 가열홀(3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 확산증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지지대(32b,36b)는,
    상기 가열판(32a,36a)의 일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열판(32a,36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 확산증폭장치.
  6. 난방기구(1)의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결되며,상,하부에 각각 연소가스배출배관(4)이 결합되고, 내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되어 가열되는 가열하우징(20)과;
    상기 가열하우징(20)의 상,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연소가스배출배관(4)과 연통되는 연소가스공급관(24) 및 연소가스배출관(22)과;
    상기 가열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과 상기 연소가스배출관(22)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에 전달하는 가열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3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열하우징(20)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를 확산시키는 가열판(32a,36a)과;
    상기 가열판(32a,36a)이 상기 연소가스공급관(24) 또는 연소가스배출관(22)으로 부터 이격되도록 가열판(32a,36a)과 가열하우징(20) 사이를 연결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가열판(32a,36a)의 열을 상기 가열하우징(20)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열전달지지대(32b,36b);를 포함하는 폐열 확산증폭장치.
KR1020130053213A 2013-05-10 2013-05-10 폐열 확산증폭장치 KR10153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213A KR101533291B1 (ko) 2013-05-10 2013-05-10 폐열 확산증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213A KR101533291B1 (ko) 2013-05-10 2013-05-10 폐열 확산증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728A KR20140133728A (ko) 2014-11-20
KR101533291B1 true KR101533291B1 (ko) 2015-07-08

Family

ID=5245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213A KR101533291B1 (ko) 2013-05-10 2013-05-10 폐열 확산증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66B1 (ko) * 2017-06-05 2019-05-27 주식회사 파나시아 부식 방지 기능을 가진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64Y1 (ko) * 2006-01-26 2006-04-28 최동식 벽난로 및 보일러 연통의 폐열회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64Y1 (ko) * 2006-01-26 2006-04-28 최동식 벽난로 및 보일러 연통의 폐열회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728A (ko)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89410U (zh) 一种对流速热式电暖器
KR101147609B1 (ko) 폐열회수장치
KR200402475Y1 (ko) 열풍기
KR101533291B1 (ko) 폐열 확산증폭장치
KR100889799B1 (ko) 이중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1573901B1 (ko) 대류관이 구비된 난로
KR101326939B1 (ko) 폐열 회수용 연통
RU126433U1 (ru)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стальной
KR20100110493A (ko) 면상발열체가 내장된 난방장치
KR100828382B1 (ko) 복합 보일러
CN102226536B (zh) 一种型煤热风炉
KR20180031088A (ko) 야외용 무동력 가스 온풍기
KR101253701B1 (ko) 수평방향의 열전달파이프를 구비하는 열풍기
WO2007028257A2 (en) Solid fuel furnace
KR20090132268A (ko) 무한 순환 난방 방식을 적용한 전기 고열 발열 장치
KR20120056545A (ko) 급기공기를 이용한 연소실 냉각구조
KR100885702B1 (ko) 시설재배 하우스 및 축사용 에너지 절약형 온풍 난방기
KR200174585Y1 (ko) 비닐하우스의 난방장치
RU169049U1 (ru) Дымоход - теплообменник
CN203687357U (zh) 一种大棚高效暖风机
CN105091322A (zh) 微分式动态热交换节能锅炉
CN208936176U (zh) 一种改进燃烧效果的四元体加热炉
JP2020084516A (ja) 家屋内発電装置および家屋の空調装置
CN209139095U (zh) 一种烘干炉系统
RU2569372C1 (ru) Газовый конвектор для отопления и вентиляции помещ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