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151Y1 -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151Y1
KR200262151Y1 KR2020010017970U KR20010017970U KR200262151Y1 KR 200262151 Y1 KR200262151 Y1 KR 200262151Y1 KR 2020010017970 U KR2020010017970 U KR 2020010017970U KR 20010017970 U KR20010017970 U KR 20010017970U KR 200262151 Y1 KR200262151 Y1 KR 200262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unit
processing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식
엄태욱
이재민
김진한
유심모
Original Assignee
(주)우미마이크로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미마이크로웨이브 filed Critical (주)우미마이크로웨이브
Priority to KR2020010017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151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A/V 신호 처리 시스템은 A/V 신호 및 그 A/V 신호의 재생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각각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처리부와, 무선 전송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A/V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무선 전송 처리부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무선 전송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식별 정보를 수신받아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 여부에 따라 재생된 A/V 신호의 출력여부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처리부와, 재생 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재생된 A/V 신호의 출력여부을 스위칭하는 재생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 주파수대역내의 다른 무선 A/V 신호 처리 기기와의 혼선 및 고의적인 전파방해 등을 제거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선명한 무선 A/V 신호 신호전송을 통해 신뢰성과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system for processing audio and video signals}
본 고안은 오디오/비디오 신호(Audio/Video Signal, 이하 A/V 신호라고 칭함)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된 A/V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A/V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A/V 신호 처리 시스템에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A/V 신호를 재생하여 외부의 장치로 전송하는 VCR 같은 A/V 신호 전송장치와, 그 A/V 신호 전송 장치로 부터 전송된 A/V 신호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수신하여 화면으로 재생하여 주는 TV 같은 A/V 재생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A/V 신호 전송 장치와 A/V 신호 재생 장치 사이에는 A/V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동축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A/V 신호 전송 장치의 A/V신호 송신포트와 A/V 신호 재생 장치의 수신포트를 동축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A/V 신호를 주고받고 있다.
그러나, A/V 신호 전송 장치와 A/V 신호 재생 장치의 연결을 유선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다 보니, 각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장치 상호간에 거리의 제한을 받게 되고, 동축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이 여간 불편한 문제가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V 신호 전송 장치와 A/V 신호 재생 장치 사이의 연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8-77092호(고안의 명칭: 텔레비젼 수상기의 VCR 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A/V 신호 처리 시스템은 동일 신호대역 사용으로 인한 장치들간의 보안성 및 고의적 전파방해로 인해 간섭, 전파장애 등의 신뢰성에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램블링 기법 도입, 주파수 할당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이는 보안성과 신뢰성을 개선하는 방안일 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A/V 신호 전송 장치와 A/V 신호 재생 장치간에 A/V 신호를 송수신하여 재생하게 함에 있어서, 동일 주파수대역내의 다른 무선 A/V 신호 처리 시스템과 혼선 및 고의적인 전파방해 등을 제거하는 A/V 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A/V 신호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V 신호 전송 장치의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별 정보 프레임의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V 신호 전송 장치의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A/V 신호 재생 장치의 제 2 식별 정보 수신 처리부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A/V 신호 전송 장치 110 : A/V 신호 무선 전송 처리부
120 :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 130 :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
131 : 와치독 타이머(WDT) 132 : 데이터 저장부
133 : 키입력부 134 : 제어부
135 : 클럭 발생부 136 : 리셋부
200 : A/V 신호 재생 장치 210 : A/V 신호 무선 수신 재생처리부
220 :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 230 :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
231 : 데이터 저장부 232 : 키입력부
233 : 제어부 234 : 클럭 발생부
235 : 리셋부 240 : 재생 스위칭부
250 : 표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A/V 신호 전송장치와, A/V 신호 재생장치에 동일한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A/V 신호 전송장치에서 A/V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A/V 신호 재생 장치에서 A/V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그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일정시간동안 그 A/V 신호가 재생되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A/V 신호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A/V 신호 처리 시스템은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A/V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A/V 신호 전송 장치(100)와, 그 A/V 신호 전송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A/V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그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일정시간동안 그 수신된 A/V 신호를 재생하는 A/V 신호 재생 장치(200)로 구성된다.
A/V 신호 전송 장치(100)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A/V 신호를 재생하여 그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무선을 통해서 전송하는 A/V 신호 무선 전송 처리부(110)와,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그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와,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정보를 변조하여 무선전송하는 식별 정보 무선송신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A/V 신호 재생 장치(200)는 A/V 신호 전송 처리부(110)로부터 A/V 신호를 전송받아 재생하는 A/V 신호 수신 재생 처리부(210)와, 식별 정보 전송 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와,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를 통해 복조된 식별 정보와 기저장된 식별 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수신된 A/V 신호의 재생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와, A/V 신호의 재생 출력을 제어하는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로 스위칭하여 재생된 A/V 신호의 출력 여부를 스위칭하는 재생 스위칭부(240)와,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에서 제공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재생 스위칭부의 동작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A/V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A/V 신호가 처리되는 절차를 살펴보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A/V 신호는 A/V 신호 무선 전송 처리부(110)를 통해 무선신호로 전송되고 A/V 신호 수신 재생 처리부(210)에서 그 A/V 무선 신호가 수신된다. 한편, A/V 신호 무선 전송 처리부(110)를 통해 A/V 신호가 무선신호로 전송됨과 아울러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던 식별 정보도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를 통해 무선 신호로 변조되어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어진다.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에서는 그 수신된 식별 정보와 기저장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된 A/V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재생 스위칭부(240)로 출력된다. 재생 스위칭부(240)는 그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된 A/V신호가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되고, 일정 시간동안 수신된 A/V 신호가 재생되어 출력된다. A/V 신호가 재생되어 출력되는지의 여부는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에서 제공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표시부(250)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진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V 신호 전송 장치(100)의 A/V 신호 전송 처리부(110) 및 A/V 신호 재생 장치(200)의 A/V 신호 수신 재생 처리부(210)에서 A/V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용 주파수는 정부에서 승인한 여러 주파수가 사용가능하다. 비디오 신호용 주파수에 사용되는 900 ㎒, 2.4 ㎓, 5.8 ㎓ 등의 대역으로부터 정부에서 승인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도 있다. 900 ㎒ 대역은 허용대역폭이 좁아 여러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사용하기 어렵고 2.4 ㎓, 5.8 ㎓ 등의 고주파 대역에서는 사용 대역폭이 넓어 여러 채널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비디오 주파수의 경우 선명한 비디오을 얻기 위해서는 채널당 4 - 6 ㎒ 대역폭이 요구된다. 오디오 신호도 비디오 주파수 대역 중 일부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A/V 신호 전송 장치(100)의 A/V 신호 전송 처리부(110)에서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A/V 신호를 재생하여 그 A/V 신호를 예를 들면 RF의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설정된 주파수의 반송파에 실어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A/V 신호 재생 장치(200)의 A/V 신호 수신 재생 처리부(210)에서는 A/V 신호 전송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된 예를 들면 RF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 변조시에 사용된 주파수의 반송파를 제거하고 A/V 신호로 복조하고, 그 복조된 원래의 A/V 신호를 오디오과 비디오으로 출력하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이 A/V 신호 전송 장치(100)의 A/V 신호 전송 처리부(110) 및 A/V 신호 재생 장치(200)의 A/V 신호 수신 재생 처리부(210)에서는 통상적인 A/V 신호에대한 무선 송수신 및 수신받은 A/V 신호의 재생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 및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는 A/V 신호 전송처리부(110) 및 A/V 신호 수신 재생 처리부(210)와는 독립적으로 A/V 신호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무선을 통해 송수신하게 된다.
즉, RF 무선 통신을 통해 식별 정보 전송 처리부(22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그 식별 정보와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에 기설정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A/V 신호 수신 재생 처리부(1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A/V 신호가 재생되어 출력시키느냐의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30)에서 식별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 여러 주기로 여러 가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5초의 주기를 가지고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AM 340㎒의 변조를 사용할 수 도 있는데 이는 AM 340㎒의 변조 주파수를 사용한 것은 국가에서 특별한 사용허가를 취득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는 공용주파수 대역이기 때문이다.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에서는 AM 340㎒의 변조주파수를 가지고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2.4 ㎓의 A/V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는 안테나, RF 필터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RF 필터소자는 전송하고자 하는 식별 정보를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에서 전달받아 반송파에 실어 안테나로 전달한다. 이때 RF 필터소자에서는 제 1 식별 정보처리부(130)에서 설정한 채널의 반송파 주파수에 맞추어 식별 정보를 변조한다. 안테나에서는 RF 필터소자를 통해 변조된 식별 정보 RF 신호를 송신한다.
식별 정보 전송 처리부에 있는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는 다양한 마이컴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활성모드와 슬립모드(sleep mode)의 시간 카운팅은 프로그램과 와치독 타이머에 의해 처리할 수 도 있다.
도 2에는 이러한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의 구성 블록도가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셋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시간을 카운팅하여 일정한 시간마다 리셋신호를 요청하는 와치독 타이머(131)와, 식별 정보 및 그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카운팅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32)와,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하는 식별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133)와, 데이터 저장부(132)에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와치독 타이머(131)에 의해 슬립모드에서 활성모드로 되어 주기적으로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읽어들여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로 출력하는 제어부(134)와, 제어부(134)에서 실행할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기 위한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 발생부(135)와, 전원이 공급될 때 또는 외부의 요청에 의해 제어부(134)를 리셋하기 위한 리셋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치독 타이머(131)는 일단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마이컴내에서 아무런 동작신호가 없는 경우, 즉 슬립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이 설정해 놓은 시간을 초과하면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를 다시 리셋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 저장부(132)는 각종 ROM소자 또는 RAM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32)에는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그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로 전송하기 위해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에서 실행해야 할 동작의 순서가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나 상수가 저장된다.
아울러, 와치독 타이머(131)에서 카운팅하는 카운팅 데이터들이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의 설정에 있어서 초기에 설정된 디폴트값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수동으로 입력받아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를 구성함에 있어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는 전원의 온오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카운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는 전원이 오프되면 다시 초기화되는 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식별 정보는 허가된 사용자들만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증이나 암호화에 사용되는 각종 식별 코드 데이터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32bit의 데이터 비트를 사용할 경우 4억개 정도의 식별 코드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식별 코드는 프로그램 메모리를 제작할 때 초기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의해 수시로 변경 설정될 수 도 있다. 아울러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는 전원의 공급여부에 상관없이 식별 정보를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저장됨에 따라 전원이 공급여부에 따라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가 새롭게 동작한다고 할 지라도 제작시에 설정된 식별 정보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식별 정보 프레임의 예를 든 것으로 32bit의 코드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식별 정보 프레임은 스타트 비트와 32bit의 식별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스타트 비트는 1비트를 할당할 때 0.2㎳를 할당할 수도 있다. 식별 정보 프레임을 전송할 때는 스타트 비트를 전송후 32bit의 식별 정보를 2번 연속하여 64㎳로 2 프레임을 전송한다. 다음 슬립모드(500㎳)를 진행하다가 와치독 타이머에 의해 다시 활성모드로 동작하여 다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키입력부(133)는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되는 식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식별 정보를 설정함에 있어서 초기치로 설정된 디폴트값을 식별 정보로 설정하는 자동모드와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받아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수동모드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키입력부(133)에는 식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숫자 및 기호를 입력하고 선택키등이 구비된 다양한 키패드나 버튼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4)는 새롭게 동작할때 우선 시스템 초기화를 수행하여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가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설정을 위해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의 각 포트들을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다음 각 포트들에 최초로 인가되는 디폴트값이 프로그램의 동작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데이터 저장부(132)에서 레지스터들을 초기화 시킨다. 그 다음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절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134)에서는 식별 정보를 설정함에 있어, 데이터 저장부(132)에 초기치로 설정된 식별 정보 디폴트값을 설정할 수 도 있고,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중에 사용자에게 식별 정보 설정동작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도 있다. 이렇게 사용자로부터 수동 입력받아 식별 정보를 설정할 경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보안을 이룩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식별 정보 전송 처리부에 있는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가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동작을 시작하면 우선 시스템 초기화가 진행하여 제어부(134)에서는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그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순서에 따라 이후의 동작을 진행시켜 나간다. 그 다음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레지스터의 초기화를 수행한다(S1). 그 다음 식별 정보에 데이터 저장부(132)초기에 설정된 디폴트값을 사용할 것인지, 키입력부(133)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식별 정보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한다(S2). 이러한 설정은 키입력부(133)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설정된다.
아울러, 와치독 타이머(131)의 동작을 위해 와치독 타이머(131)를 사용가능하게 한다.(S3). 이때부터 와치독 타이머(131)는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가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으면 리셋신호를 발생시켜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가 리셋되어 처음부터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4)에서는 데이터 저장부(132)에 프로그래밍된 대로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식별 정보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횟수를 설정하게 된다. 만약 2회에 걸쳐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었다면 전송 횟수의 변수에 2를 설정한다(S4). 그 다음 2회에 걸쳐 식별 정보 프레임을 무선신호를 통해서 전송하게 된다.
그 순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횟수를 나타내는 변수 N이 0보다 큰가를 검색한다(S5). 최초의 검색에서는 N값이 2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 다음 단계를 진행하여 식별 정보 프레임중에서 먼저 스타트 비트를 송신한 다음 데이터 32비트를 송신한다(S7, S8). 이를 위해 제어부(134)에서는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된 식별 정보 프레임을 읽어들여서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로 출력하여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에서 주파수 변조를 수행하여 무선 신호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 다음 N값을 1씩 감소시킨다(S8). 그러면 N값이 1로 재설정되고 첫번째 동작 사이클을 마치게 된다.
다시 N값이 0보가 큰가를 검색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5) 역시 0보다 크므로 다시금 식별 정보 프레임중에서 먼저 스타트 비트를 송신한 다음 데이터 32비트를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로 출력하여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120)에서 주파수 변조를 를 통해 송신한다(S7, S8). 그 다음 N값을 1씩 감소시킨다(S8). 그러면 N값이 0로 재설정되고 두번째 동작 사이클을 마치게 된다.
다시 N값이 0보가 큰가를 검색하는 단계를 수행하면(S5) 이번에는 그렇지 않으므로 슬립모드를 진행하게 된다(S9). 그 다음 와치독 타이머(131)로부터 리셋신호가 요청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S10). 이렇게 슬립모드를 진행하는 동안에도와치독 타이머(131)는 사용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작상태에 있으므로 일정한 시간동안의 슬립모드가 경과하면 즉, 와치독 타이머(131)의 설정값을 8비트 타이머를 이용할 경우 카운팅값이 11111111에서 1이 더 카운팅되면 제어부(234)의 리셋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의해 제어부(234)에 리셋신호가 인가되어 다시금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의 동작을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에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 1 식별 정보 처리부(130)의 동작을 통해 A/V 신호 전송 장치에서는 A/V 신호를 계속적으로 무선 전송함과 아울러, A/V 신호 전송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A/V 신호 재생 장치에 기 설정된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A/V 신호 재생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무선 수신부(220)는 안테나, RF 필터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에서는 식별 정보 전송 처리부(120, 130)로부터 전송된 식별 정보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필터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F 필터소자는 안테나를 통해 전달받은 식별 정보 RF 신호중에 반송파를 제거하고 식별 정보만을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에서 읽을 수 있는 데이터로 복조한다. 이때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에서 설정한 채널의 반송파 주파수에 맞추어 RF 신호를 복조한다.
재생 스위칭부(240)는 릴레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할 있다.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로 스위칭되어 A/V 신호 수신 제어 처리부(210)를 통해 A/V 신호가 재생될 수 있게 하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표시부(250)는 각종 LED 소자 또는 LCD소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에서 제공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재생 스위칭부(240)의 동작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A/V 신호의 재생 동작여부를 알려주는 한편, A/V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해주게 된다.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는 각종 마이컴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는 A/V 신호 전송 장치(100)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약 2초의 래치시간을 지속하게 되어 식별 정보가 수신된 후에 일정한 시간 예를 들어 2초 동안에 다시 식별 정보가 수신되지 못하더라도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온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식별 정보가 수신된 후 2초가 지나도 다시 식별 정보가 수신되지 못하게 되면 송신 장치가 오프 된 것으로 간주하여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 상태로 되고, A/V 신호장치의 신호도 오프된다. 2초 정도의 래치시간은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도 있다. 2초의 래치시간은 주위의 불량한 전파환경의 장애요소로 인한 오동작(방송중 A/V 신호 제어부의 릴레이가 오프되어 방송이 차단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식별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A/V 신호 처리 기기만이 수신받은 A/V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스위칭부(240)를 온 상태로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A/V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만약, 식별 정보가 다른 A/V 신호 처리 기기간에는 식별 정보가 다름으로 인해 A/V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되어 수신된 A/V 신호라 할지라도 재생되지 않고 그 출력이 차단된다. 따라서 동일 식별 정보가 설정된 A/V 신호 전송 장치와 A/V 신호 재생 장치간에만 A/V 신호의 송수신 및 재생이 이루어짐에 따라 주파수의 간섭 및 보안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의 구성블록도가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그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를 통해 복조된 식별 정보의 일치여부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 데이터 및 카운팅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31)와, 데이터 저장부(231)에 상기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카운팅 시간내에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있는 경우, 수신된 A/V 신호를 일정시간동안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재생 스위칭부에 출력하는 제어부(233), 제어부(233)에서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거나 카운팅을 하기 위한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 발생부(234)와, 전원의 공급시나 외부의 요청에 의해 제어부(233)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부(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31)는 A/V 신호 전송장치(100)의 데이터 저장부(132)와 같은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저장하고 있는 식별 정보도 A/V 신호 전송장치(100)의 데이터 저장부(132)와 같다. 다만, 그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A/V 신호 전송 장치의 식별 정보의 비교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233)에서 실행해야 할 동작의 순서가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나 상수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어부(233)는 새롭게 동작할때 우선 시스템을 초기화를 수행하여 데이터 저장부(23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식별 정보 처리부에서 기설정된 식별 정보와 제 1 A/V 처리 기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 여부에 따라 수신된 A/V 신호의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설정을 위해 식별 정보 처리부의 각 포트들을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다음 각 포트들에 최초로 인가되는 디폴트값이 프로그램의 동작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데이터 저장부(231)에서 레지스터들을 초기화 시킨다. 그 다음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절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6를 참조하여 식별 정보 처리부를 구성하는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식별 정보 처리부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우선 시스템 초기화가 진행하여 제어부(233)에서는 데이터 저장부(23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그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순서에 따라 이후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식별 정보 처리부의 각 포트들에 대하여 프로그래밍된 대로 각 기능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식별 정보 처리부의 각 포트들에 대한 디폴트값의 설정과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레지스터의 초기화를 수행한다(S11). 그 다음 식별 정보에 데이터 저장부(231)초기에 설정된 디폴트값을 사용할 것인지, 키입력부(232)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식별 정보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한다(S12).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설정된다.
한편, 제어부(233)에서는 데이터 저장부(231)에 프로그래밍된 대로 A/V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신호와 데이터 저장부(231)에 기설정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 A/V 신호의 재생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식별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식별신호가 최소한 일정시간내에 발생해야 하므로 그 시간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시간은 마이컴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8비트 타이머를 사용하여 하나의 사이클 동안 소요되는 시간을 2초로 설정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하나의 사이클을 카운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어떻게 프로그래밍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 순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시작할 때는 타이머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S13). 그 다음 역으로 카운팅을 수행함에 따라 카운팅 값을 1씩 줄이면서 역카운팅해 나간다. 00000000(0)에서 1을 감소시키므로 카운팅값은 11111111(255)이 된다. 이 상태에서 타이머의 값이 0인가를 검색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15). 타이머값이 11111111(255)로 설정된 상태임에 따라 다음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에 수신된 식별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S16).
식별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는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220)와 연결된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의 수신포트의 값이 하이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색한다. 만약 하이상태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무선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수신포트의 하이상태로 체크되면 자체적인 카운팅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시간이 초과되면 이는 스타트 비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17). 만일 수신포트의 값이 하이상태이지만 스타트 비트로 판단할 만한 시간이 아닐 경우에는 스타트 비트 신호가 입력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일단 스타트 비트가 수신되면 그 다음 입력되는 것은 32비트 식별 정보 데이터이므로 32비트 데이터를 수신한다(S18). 이렇게 수신된 32비트의 식별 정보와 기저장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게 된다. 비교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식별 정보의 데이터값에서 수신된 32비트의 데이터값을 빼는 연산을 수행하여(S19) 그 결과치가 0이 되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식별 정보와 수신된 32비트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그 결과치가 0이 되어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기설정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수신되었으므로 다시 타이머의 설정값을 0으로 설정하여 다시 역카운팅을 실행하고(S20), 수신된 A/V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릴레이 스위치를 온상태로 되게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아울러 릴레이 스위치가 온상태로 동작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한 예를 들면 LED 표시부를 온상태로 동작시킨다(S21).
재생 스위칭부(240)에서는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이 제어신호에 따라 약 2초동안 A/V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래치된다. 만약 2초가 경과하기 전에 새로운 제어신호가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로부터 입력되지 않는다면 재생 스위칭부(240)의 릴레이는 오프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A/V신호의 재생은 중단되어진다. 이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여 하나의 동작 사이클을 완료하게 되고, 다시 타이머의 설정값이 0이 된 상태에서 다시 역카운팅을 수행하여(S14)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타이머의 설정값이 0이 된 상태에서 다시 역카운팅을 수행하여(S14) 타이머의 설정값이 0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식별 정보 전송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정보가 없어서 타이머가 계속적으로 역카운팅되지만 수신포트의 값이 로우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역카운팅되어 타이머의 설정값이 0이 되는 시점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타이머의 설정값이 0이 된다면 A/V 신호의 재생을 중단시키기 위해 재생 스위칭부(250)의 릴레이를 오프시키고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된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서 LED 표시부(250)를 오프시켜도(S22) 계속적으로 역카운팅하며 수신 포트의 값을 검색하여 식별 정보의 수신여부를 계속적으로 체크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식별 정보 처리부(230)의 동작을 통해 A/V 신호 재생 장치에서는 A/V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한다고 할지라도 기설정된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그 수신된 A/V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A/V 신호 처리 기기간에 A/V 신호와 아울러 식별 정보를 별도로 무선 전송하여 그 식별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그 수신된 A/V 신호를 재생되게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대역내의 다른 무선 A/V 신호 처리 기기와의 혼선 및고의적인 전파방해 등을 제거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선명한 무선 A/V 신호 신호전송을 통해 신뢰성과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식별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도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더욱더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A/V 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A/V 신호 및 그 A/V 신호의 재생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각각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처리부와,
    상기 무선 전송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A/V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상기 무선 전송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수신받아 기저장된 식별 정보의 동일 여부에 따라 재생된 A/V 신호의 출력여부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처리부와,
    상기 재생 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재생된 A/V 신호의 출력여부을 스위칭하는 재생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A/V 신호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처리부는,
    A/V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A/V 신호 전송부와,
    상기 A/V 신호 전송부의 전송동작시 기저장된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식별 정보 처리부와,
    상기 식별 정보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정보를 변조하여 무선 전송하는 식별 정보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A/V 신호 처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처리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와,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카운팅부의 카운팅 신호에 동작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식별 정보 무선 전송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V 신호 전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A/V 신호를 재생하는 A/V 신호 재생부와,
    상기 무선 전송 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와,
    상기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를 통해 복조된 식별 정보와 기저장된 식별 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재생된 A/V 신호의 출력 여부를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재생 스위칭부에 출력하는 식별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A/V 신호 처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식별 정보 처리부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재생된 A/V 신호를 일정시간동안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재생 스위칭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V 신호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스위칭부의 온상태를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키기 위해 기설정 유지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더 포함하는 A/V 신호 처리 시스템.
  7.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A/V 신호 처리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처리부에서 제공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재생 스위칭부의 동작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A/V 신호 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V 신호를 무선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상기 식별 정보를 무선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A/V 신호 처리 시스템.
KR2020010017970U 2001-06-15 2001-06-15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KR200262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70U KR200262151Y1 (ko) 2001-06-15 2001-06-15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70U KR200262151Y1 (ko) 2001-06-15 2001-06-15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018A Division KR20020095803A (ko) 2001-06-15 2001-06-15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151Y1 true KR200262151Y1 (ko) 2002-03-18

Family

ID=7310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970U KR200262151Y1 (ko) 2001-06-15 2001-06-15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1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2972A (en) Remote programming of CATV channel authorization unit
CN103262463B (zh) 无线麦克风系统
US8461960B2 (en)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method
US5609525A (en) Video game data reception apparatus
US20090045970A1 (en) Remote control system, receiv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5291343A (en) Audio/video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 video cassette recorder, and so forth
WO1990008442A1 (en) Dual communication mode video tape recorder
JPH0321184A (ja) 機能変更が可能なケーブルテレビジョン.コンバータシステム
US6650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home appliance communications network
KR200262151Y1 (ko)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EP1662476A2 (en) Video device capable of downloading dat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07307084A (ja) 自動設定可能な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
KR20020095803A (ko) 오디오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47943A1 (en) Remote-controlled transmitter and information transfer system using the same
EP2041880B1 (en) Receiver for receiving at least two types of signal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a receiver.
US20050174494A1 (en) Electronic device
US5557421A (en) Apparatus for programming a video tape recorder
US5343528A (en) Procedure and decoder for decrypting a coded video signal
KR0181917B1 (ko) 한국형 예약녹화시스템을 이용한 예약시청방법
JP3724891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信号の受信機器
KR100632065B1 (ko) 일반 타이머를 이용한 키 코드 해독방법
KR20060128891A (ko) 자동화된 신호 선택
KR100195344B1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예약 기능을 가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그의 방송 예약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전화기의 동작방법
CN103733571B (zh) 电视接收机、通信系统、以及通信设定方法
JPH0775082A (ja) Catv用端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