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111Y1 -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111Y1
KR200262111Y1 KR2020010033584U KR20010033584U KR200262111Y1 KR 200262111 Y1 KR200262111 Y1 KR 200262111Y1 KR 2020010033584 U KR2020010033584 U KR 2020010033584U KR 20010033584 U KR20010033584 U KR 20010033584U KR 200262111 Y1 KR200262111 Y1 KR 200262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insertion groove
pipe
bulkhea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33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111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효율적으로 하수방류구로 배출하기 위한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건설 현장으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는 위치에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침전되는 영역을 다단으로 나누어 형성시킨 침전조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며 상단 일부에 제1월류구(110)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외측 삽입홈(120)이 형성된 중앙의 제1관체(100)와, 상단 일부에 제2월류구(210)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수직하고 상기 외측 삽입홈(120)에 대향하는 내측 삽입홈(220)과 외측 삽입홈(220, 230)이 형성된 중간의 제2관체(200)와, 내주면에 각각 수직하고 상기 내측 삽입홈(220)에 대향하는 내측 삽입홈(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체(200)와의 사이에 채워진 활성탄(600)의 하부에 배출구(310)가 형성되어 정화된 오수가 유출되는 최외각의 제3관체(300)가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동심 원기둥 형태로 배열되어 있되,
상기 제1월류구(110)와 제2월류구(210)를 통하여 월류되는 오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각각의 외주면에 수직하게 월류보조판(700)이 체결볼트(720)로 부착되고, 상기 제1관체(100)의 상단에는 중앙에 여과망(810)이 안착된 삼발이 형태의 여과망 지지대(820) 각각의 하단에 협지편(830)이 구비되는 중앙여과대(800)가 부착되고, 상기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사이에는제2관체(200)와 동일한 높이의 1차격벽(400)과 1차격벽(400) 보다 높이가 낮은 1차월류격벽(410)이 외측 삽입홈(120)과 내측 삽입홈(220)에 각각 이격되어 삽입되고, 상기 제2관체(200)와 제3관체(300) 사이에는 제3관체(300)와 동일한 높이의 2차격벽(500)과 2차격벽(500) 보다 높이가 낮은 2차월류격벽(510)이 외측 삽입홈(230)과 내측 삽입홈(320)에 각각 이격되어 삽입되어 있어, 제1관체(100)에 유입된 오수가 제1월류구(110), 1차월류격벽(410), 제2월류구(210), 2차월류격벽(510) 및 활성탄(600)을 거쳐 배출구(310)로 유출된다.

Description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PRECIPITATION TANK IN CONSTRUCTING SPOT}
본 고안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효율적으로 하수방류구로 배출하기 위한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지하옹벽 등을 시공할 때,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벤토나이트 등의 점토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벤토나이트 등은 강알카리성이므로 건설 현장에서 나오는 배출수와 함께 하천으로 떠내려 갈 경우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나오는 오수가 직접 하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화조를 만들어 오수를 정화한 후에 하수구 등으로 흘려 보내게 된다.
종래의 오수 침전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으로부터 오수가흘러 내려가는 위치에 오수를 일단 고이도록 하여 부유물을 침전시키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침전조(1)와, 상기 침전조(1)에서 하수방류구 쪽으로 연장되어 오수가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형성된 수로(2)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수 침전조는 부유물의 비중이 대부분 물보다 작아서 침전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하수구로 떠내려가는 문제점이 있어, 비중이 작은 부유물을 침전시키고 흡착하여 주는 침전조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94년 특허출원 제23283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 현장으로부터 오수가 흘러 내려가는 위치에 형성되어 부유물을 침전시키는 주침전조(10)와, 상기 주침전조(10)에서 하수방류구 쪽으로 연장되어 오수가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단턱(11, 12)이 형성되는 수로(13)와, 상기 수로(13)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보조침전조(14)와, 상기 수로(13)에 배치되어 수질을 향상시켜 주는 활성탄(15)으로 구성되어, 오수를 정화하여 하수구로 흘려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다른 폐콘크리트 폐수 침전조로서 1994년 특허출원 제27528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제작되고, 그 상부가 열려지고 출구측에 배수통공(21)이 형성되는 정화통부(20)와, 상기 정화통부(20)의 내부 가운데에 격벽을 설치하여 폐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입구침전조(22a)와, 폐수가 정화되어 배수통공(21)을 통하여 하수구로 흘러 보내는 출구측침전조(22c)로 구성되는 침전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부(20)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격벽(25a, 25b)들을 입구측에서 상기 출구측쪽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게 설치되어입구측침전조(22a)와 중간침전조(22b)와 출구측침전조(22c)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침전조(22a, 22b, 22c)들 중에서 입구측침전조(22a)의 대향되는 내측벽에 고정받침대(24)를 설치하여 그 상부에 망체(23)가 덮여지도록 하여, 상기 출구측침전조(22c)에는 활성탄(26)이 채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1994년 특허출원 제23283호 및 1994년 특허출원 제27528호에 기재된 종래의 침전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비중이 큰 자갈 및 모래 등은 쉽게 침전되어 종래의 침전조에 의하여 제거가 가능하나, 미세한 입자들의 경우 침전에 요구되는 유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오수를 정화하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와 같은 직육면체의 침전조의 경우에도 침전조를 많이 분할 설치하여 미세한 입자의 대부분을 침전시킬 수 있으나, 건설 현장의 협소한 경우 침전조의 대형화에 한계가 있게 마련이었다.
셋째, 상기 특허출원 제23283호의 경우 입구측침전조(22a)에 오수를 유입시킬 때 오수가 주위로 튀게 되고, 오수에 포함된 자갈, 나무토막, 스티로폴 등의 부피가 큰 입자를 사전에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특허출원 제27528호에서는 직사각형의 망체(23)를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그러나 상기 망체(23)의 경우 그 상부에 자갈이나 나무토막 등 부피가 큰 이물질이 있는 상태에서 오수를 유입시키는 경우에 오수가 주위로 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입구측침전조(22a)가 가득찬 상태에서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오수의 대부분이 침전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중간침전조(22b)로 월류되어 오수의 정화 효과가 극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제한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동심 원기둥 형태의 원형관을 높이가 다르게 설치한 후 각각의 원형관 사이에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격벽을 세움으로써 침전영역을 최대한 확장시킴으로써 오수가 유동하는 거리를 길게 하여 오수에 포함된 미세한 입자까지도 침전시켜 정화하고, 또한 부피가 큰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침전조로 유입되는 오수가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깔대기 형상의 여과대를 사용하여 여과시키는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오수 침전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개량된 오수 침전조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개량된 다른 오수 침전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오수 침전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오수 침전조 내의 오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관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격벽과 월류격벽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관체에 월류보조판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중앙여과대(800)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관체 110 : 제1월류구
120 : 외측 삽입홈 200 : 제2관체
210 : 제2월류구 220 : 내측 삽입홈
230 : 외측 삽입홈 300 : 제3관체
310 : 배출구 320 : 내측 삽입홈
400 : 1차격벽 410 : 1차월류격벽
411 : 월류부 500 : 2차격벽
510 : 2차월류격벽 511 : 월류부
600 : 활성탄 700 : 월류보조판
710 : 체결공 720 : 체결볼트
800 : 중앙여과대 810 : 여과망
820 : 여과망 지지대 830 : 협지편
840 : 고정볼트
본 고안은 건설 현장으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는 위치에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침전되는 영역을 다단으로 나누어 형성시킨 침전조로서, 종래의 개량된 침전조와 같이 활성탄을 이용하고 침전조를 다단으로 나눈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동일한 면적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오수의 정화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침전조를 동심 원기둥 형태의 기하학적으로 구성한 점에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기초 콘크리트 상에 동심의 원기둥 형태로 배열되고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다수개의 관체와, 최외각 관체를 제외한 관체의 상단 일부에 오수가 월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월류구와, 최외각 관체의 하부에는 활성탄을 통과한 오수가 유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와, 각각의 관체 사이에는 오수의 흐름을 막는 격벽 및 오수가 흐를 수 있도록 상단 일부가 절개된 월류부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관체를 중앙의 제1관체(100)와, 중간의 제2관체(200) 및 최외각의 제3관체(300)의 3개로 제한하고, 각각의 관체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격벽과 월류격벽을 각각 1개로 제한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하였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는, 건설 현장으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는 위치에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침전되는 영역을 다단으로 나누어 형성시킨 침전조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며 상단 일부에 제1월류구(110)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외측 삽입홈(120)이 형성된 중앙의 제1관체(100)와, 상단 일부에 제2월류구(210)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수직하고 상기 외측 삽입홈(120)에 대향하는 내측 삽입홈(220)과 외측 삽입홈(220, 230)이 형성된 중간의 제2관체(200)와, 내주면에 각각 수직하고 상기 내측 삽입홈(220)에 대향하는 내측 삽입홈(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체(200)와의 사이에 채워진 활성탄(600)의 하부에 배출구(310)가 형성되어 정화된 오수가 유출되는 최외각의 제3관체(300)가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동심 원기둥 형태로 배열되어 있되,
상기 제1월류구(110)와 제2월류구(210)를 통하여 월류되는 오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각각의 외주면에 수직하게 월류보조판(700)이 체결볼트(720)로 부착되고,
상기 제1관체(100)의 상단에는 중앙에 여과망(810)이 안착된 삼발이 형태의 여과망 지지대(820) 각각의 하단에 협지편(830)이 구비되는 중앙여과대(800)가 부착되고,
상기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사이에는 제2관체(200)와 동일한 높이의 1차격벽(400)과 1차격벽(400) 보다 높이가 낮은 1차월류격벽(410)이 외측 삽입홈(120)과 내측 삽입홈(220)에 각각 이격되어 삽입되고,
상기 제2관체(200)와 제3관체(300) 사이에는 제3관체(300)와 동일한 높이의 2차격벽(500)과 2차격벽(500) 보다 높이가 낮은 2차월류격벽(510)이 외측 삽입홈(230)과 내측 삽입홈(320)에 각각 이격되어 삽입되어 있어,
제1관체(100)에 유입된 오수가 제1월류구(110), 1차월류격벽(410), 제2월류구(210), 2차월류격벽(510) 및 활성탄(600)을 거쳐 배출구(310)로 유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오수 침전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오수 침전조 내의 오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관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격벽과 월류격벽의 사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관체에 월류보조판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중앙여과대(800)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서 100은 제1관체, 110은 제1월류구, 120은 외측 삽입홈, 200은 제2관체, 210은 제2월류구, 220은 내측 삽입홈, 230은 외측 삽입홈, 300은 제3관체, 310은 배출구, 320은 내측 삽입홈, 400은 1차격벽, 410은 1차월류격벽, 411은 월류부, 500은 2차격벽, 510은 2차월류격벽, 511은 월류부, 600은 활성탄, 700은 월류보조판, 710은 체결공, 720은 체결볼트, 800은 중앙여과대, 810은 여과망, 820은 여과망 지지대, 830은 협지편, 840은 고정볼트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체(100)는 상부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며, 상단 일부에 제1월류구(110)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외측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관체(200)는 상단 일부에 제2월류구(210)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수직하고 제1관체(100)에 형성된 외측 삽입홈(120)에 대향하는 내측 삽입홈(220)이 형성되고, 이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외측 삽입홈(230)이 형성된다.
그 다음, 상기 제3관체(300)의 내주면에는 각각 수직하고 제2관체(200)에 형성된 외측 삽입홈(230)에 대향하는 내측 삽입홈(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체(200)와의 사이에 채워진 활성탄(600)의 하부에 배출구(310)가 형성되어 정화된 오수가 유출된다.
즉, 상기 제1관체(100)로 오수가 가득 채워지면 제1월류구(110)를 통하여 월류되어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기 시작하여 가득 채워지게 되면 이어서 제2관체(200)와 제3관체(300) 사이에 채워지게 되면서 하부에 침전된 활성탄(600)을 통과한 정화된 오수가 배출구(310)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월류구(110)와 제2월류구(210)를 통하여 월류되어 아래로 흐르는 오수가 바람 등에 의하여 주변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각각의 외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의 통로 양측에 체결공(710)이 형성된 월류보조판(700)이 체결볼트(720)로 길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각각 부착된다.
이때 상기 월류보조판(700)의 각각의 길이는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의 길이 또는 제2관체(200)와 제3관체(300)의 길이의 차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오수가 수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것보다는 수면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이 오수에 포함된 미세한 입자의 침전에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최초로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자갈, 콘크리트 쇄석, 스티로폴 등 부피가 큰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중앙여과대(8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체(100)의 상부 중앙에 여과망(810)이 안착되도록 삼발이 형태의 여과망 지지대(820)를 구비하고, 이 여과망 지지대(820) 각각의 하단에는 제1관체의 상단면을 함입하도록 협지편(830)이 설치되어 고정볼트(840)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여과망(810)은 자갈 등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과망(810)에 이물질이 채워지게 되면 여과능력이 저하되므로 자주 교체하여 털어 주어야 한다.
상기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사이의 영역에서 오수를 유동시키기 위하여 구배가 있어야 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체(200)와 동일한 높이의 1차격벽(400)을 제1관체(100)에 형성된 외측 삽입홈(120)과 제2관체(200)에 형성된 내측 삽입홈(220)에 삽입되고, 1차격벽(400)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 1차월류격벽(410)이 다른 외측 삽입홈(120)과 다른 내측 삽입홈(22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2차격벽(500)과 2차월류격벽(510)은 상기 1차격벽(400)과 1차월류격벽(410)의 설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관체(300)와 동일한 높이의 2차격벽(500)과 2차격벽(500)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 2차월류격벽(510)이 외측 삽입홈(230)과 내측 삽입홈(320)에 삽입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월류격벽(410)과 2차월류격벽(510)의 상단 일부를 각각 절개하여 월류부(411, 511)를 형성하는 것이 오수의 월류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 요소의 설치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1차격벽(400) 일측단의 전방에 제1월류구(110)가 위치하고 그 타측단의 후방에 제2월류구(210)가 인접하여 설치되어야 하고, 상기 2차격벽(500) 일측단의 전방에 제2월류구(210)가 위치하고 그 타측단의 후방의 하부에 배출구(310)가 인접하여 설치되어야 오수가 충분한 거리를 유동하면서 오수에 포함된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 침전된다.
한편, 상기 1차격벽(400)과 1차월류격벽(410)은 제1관체(100)와제2관체(200) 사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격의 정도는 오수의 침전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되는데,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상기 외측 삽입홈(120)과 내측 삽입홈(220)을 적정한 위치에 미리 형성시켜 놓은 다음 1차격벽(400)과 1차월류격벽(410)을 적정한 위치에 삽입하여 설치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 침전조에 의하여 오수가 유동하는 순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관체(100)에 유입된 오수가 차례대로 ① 제1관체(100)에 형성된 제1월류구(110), ②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사이에 형성된 1차월류격벽(410), ③ 제2관체(200)에 형성된 제2월류구(210), ④ 제2관체(200)와 제3관체(300) 사이에 형성된 2차월류격벽(510)을 거쳐 제2관체(200)와 제3관체(300) 사이에 침전된 활성탄(60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배출구(310)로 유출됨으로써 완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를 사용하면, 다수개의 높이가 다른 원기둥 형태의 관체가 중앙에서 월류되어 회전하면서 서서히 최외각 관체의 하부로 정화된 오수를 유출시킴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오수가 흐르는 거리를 최대화하여 공간과 비용상의 제약이 따르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최대의 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최초 오수의 유입시 깔대기 형상의 여과망으로 1차 여과시킴으로써 부피가 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함과 동시에 어느 정도 이물질이 쌓이게 되더라도 주위로 튀지 않게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건설 현장으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는 위치에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침전되는 영역을 다단으로 나누어 형성시킨 침전조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며 상단 일부에 제1월류구(110)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외측 삽입홈(120)이 형성된 중앙의 제1관체(100)와, 상단 일부에 제2월류구(210)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수직하고 상기 외측 삽입홈(120)에 대향하는 내측 삽입홈(220)과 외측 삽입홈(220, 230)이 형성된 중간의 제2관체(200)와, 내주면에 각각 수직하고 상기 내측 삽입홈(220)에 대향하는 내측 삽입홈(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체(200)와의 사이에 채워진 활성탄(600)의 하부에 배출구(310)가 형성되어 정화된 오수가 유출되는 최외각의 제3관체(300)가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동심 원기둥 형태로 배열되어 있되,
    상기 제1월류구(110)와 제2월류구(210)를 통하여 월류되는 오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각각의 외주면에 수직하게 월류보조판(700)이 체결볼트(720)로 부착되고, 상기 제1관체(100)의 상단에는 중앙에 여과망(810)이 안착된 삼발이 형태의 여과망 지지대(820) 각각의 하단에 협지편(830)이 구비되는 중앙여과대(800)가 부착되고, 상기 제1관체(100)와 제2관체(200) 사이에는 제2관체(200)와 동일한 높이의 1차격벽(400)과 1차격벽(400) 보다 높이가 낮은 1차월류격벽(410)이 외측 삽입홈(120)과 내측 삽입홈(220)에 각각 이격되어 삽입되고,상기 제2관체(200)와 제3관체(300) 사이에는 제3관체(300)와 동일한 높이의 2차격벽(500)과 2차격벽(500) 보다 높이가 낮은 2차월류격벽(510)이 외측 삽입홈(230)과 내측 삽입홈(320)에 각각 이격되어 삽입되어 있어, 제1관체(100)에 유입된 오수가 제1월류구(110), 1차월류격벽(410), 제2월류구(210), 2차월류격벽(510) 및 활성탄(600)을 거쳐 배출구(310)로 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
KR2020010033584U 2001-11-02 2001-11-02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 KR200262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584U KR200262111Y1 (ko) 2001-11-02 2001-11-02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584U KR200262111Y1 (ko) 2001-11-02 2001-11-02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111Y1 true KR200262111Y1 (ko) 2002-02-06

Family

ID=7311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584U KR200262111Y1 (ko) 2001-11-02 2001-11-02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1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906A (ko) 2021-02-27 2022-09-05 서영곤 규조토를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정수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906A (ko) 2021-02-27 2022-09-05 서영곤 규조토를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정수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5304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rainwater drainage
US7722763B2 (en) Purification and separation system for a fluid flow stream
US6638424B2 (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CN1859960B (zh) 俘获漂浮的和非漂浮的颗粒物质的装置
CA2973685C (en) Two-chambered stormwater separator tank
EP2744948B1 (en) Fluid stream hydrodynamic separator with high flow bypass
KR100862740B1 (ko)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US20070068878A1 (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924075B1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CA2331530A1 (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06563298A (zh) 一种污水沉淀池
CN210287004U (zh) 一种絮凝旋流沉淀过滤一体化的污水处理设备
KR200262111Y1 (ko) 건설 현장의 오수 침전조
CN109331506A (zh) 竖流沉淀池
CN214763916U (zh) 一种污水处理用高效分级清理装置
CN212293272U (zh) 一种泥水浆泥水分离系统
CN211435208U (zh) 一种固井实验室用沉淀系统
CN210356150U (zh) 一种具有排污功能的基坑降水回灌用集水沉淀装置
CN210597535U (zh) 一种用于黑臭河道治理的下沉式截流槽系统
KR200258668Y1 (ko)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CN220047390U (zh) 废浆沉滤装置
CN218146041U (zh) 一种设置在曝气池内部的斜管沉淀装置
CN217613137U (zh) 一种新型水力旋流沉砂池
CN212369635U (zh) 一种污水分流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