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104Y1 -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104Y1
KR200262104Y1 KR2020010033142U KR20010033142U KR200262104Y1 KR 200262104 Y1 KR200262104 Y1 KR 200262104Y1 KR 2020010033142 U KR2020010033142 U KR 2020010033142U KR 20010033142 U KR20010033142 U KR 20010033142U KR 200262104 Y1 KR200262104 Y1 KR 200262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ight
loading
tubes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to KR2020010033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104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후면 프레임(4)과 좌우프레임(6)을 상부가 노출된 수개의 관체(12)(14)(16)(18)(20)로 구성하는 그 상부에는 각기 손잡이(42)(44)를 갖는 와이어로프(46)로 연결되고 또 스프링(38)이 탄력지지하는 걸림구(32)(34)(36)를 설치하여 상기 각 걸림구가 관체(12)(14)(16) 내부를 출몰하도록 하고, 각 프레임(4)(6)의 상부로부터는 각기 프레임의 관체(12)(14)(16)(18)(20)내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서 동일갯수와 간격을 갖는 관체(47)(48)와 봉체(50)(52)로 구성되고 양측 관체(46)(48)에는 수개의 걸림공 (54)(56)이 형성된 보조프레임(8)(10)을 결합구성하여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적재가 상시 안정감있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시각적인 적재량 부족현상으로 인한 구매자들의 불만을 없애줄수가 있으며 차종에 따라 적재함의 내부높낮이가 다른 경우에도 최대한 적재할 수가 있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for conveyance cart}
본 고안은 물품운반대차의 프레임 높낮이를 조절해 줄 수 있도록 한 높낮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운반대차는 케스터를 갖는 밑판상에 수개의 관체와 봉체를 상하로 길게 연결형성하여 구성되는 후면프레임과 좌우프레임을 연결설치하여 구성하며 본건출원인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69202호와, 동제146720호와, 동제212582호등 여러건을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에 물품운반대차들은 프레임이 높낮이 조정이 불가능한 일체형으로 된 것으로서, 적재되는 물품이 각지거나 또는 비규격박스는 물론 규격박스에 포장된 경우에도 프레임이 갖는 높이와 일치하도록 적재해 줄수가 없어 적재물품이 프레임 상부로 돌출될 경우 적재가 불안정하고 운반중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프레임보다 낮게 적재된 경우에도 빈공간으로 인하여 적재가 불안정하고 시각적인 느낌에 의한 적재량감소로 구매자로 하여금 불만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차량을 이용한 운반시 차종에 따라 적재함의 내부높낮이가 프레임이 갖는 높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이용자체가 불가능하고, 높을 경우에는 적재량감소로 물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적재하고자 하는 적재물의 높낮이나 차량적재함의 내부높낮이에 따라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적재가 보다 안정감있게 이루어지고, 적재량에 따른 구매자의 불만의 소지를 없애줄수가 있으며, 조정폭 내에서 차량적재함의 내부높낮이가 다른 경우에도 최대한의 적재가 가능하므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는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기 수개의 수직관체 중 좌우관체의 상부에는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고 또 손잡이를 갖는 와이어로프로 서로 연결된 걸림봉을 설치하여 관체내부를 출몰하도록 하고 각 프레임의 상부에는 프레임이 갖는 관체와 동일갯수와 간격으로 구성되고 좌우관체에는 상하로 수개의 걸림공이 형성된 보조프레임을 결합하여 프레임의 걸림봉이 보조프레임의 걸림공과의 선택적인 결합으로 보조프레임이 프레임으로부터 조정된 높낮이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요부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후면프레임 (6)--좌우프레임
(8)(10)--보조프레임 (12)(14)(16)(18)(20)--관체
(22)(24)--연결편 (26)(28)(30)--안내관
(32)(34)(36)--걸림구 (38)--스프링
(40)--안내대 (42)(44)--손잡이
(46)--와이어로프 (47)(48)--관체
(50)(52)--봉체 (54)(56)--걸림공
도 1은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밑판(2)과, 상기 밑판을 받쳐주는 받침편으로부터 수직고정되는 후면프레임(4)과, 상기 후면프레임(4)의 양측 전방에 절첩가능케 연결되는 좌우프레임(6)(8)과, 좌우프레임(6)을 연결하는 행거와, 프레임(4)(6) 상부에 높낮이 조절가능케 결합되는 보조프레임(8)(1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일부분해사시도로서, 후면프레임(4)과 좌우프레임(6)은 각기 직경이 큰 좌우관체(12)(14)(16) 사이에 직경이 작은 관체(18)(20)를 수개의 연결편(22)(24)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나란히 연결고정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편 중 상부연결편(22)(24)의 저면양측에는 안내관(26)(28)(30)을 용접형성하여 상기 안내관(26)(28)(30)에 걸림구(32)(34)(36)를 스프링(38)으로 탄력설치하여 상기 걸림구(32)(34)(36)의 단부가 통공을 통하여 좌우관체(12)(14)(16) 내부로 출몰하도록 하고, 상기 좌우걸림구(32)(34)(36)는 각기 안내대(40)를 통하여 중앙에 손잡이(42)(44)를 갖는 와이어로프(46)로 연결하여 손잡이(42)(44)의 당김으로 동시에 후퇴하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 좌우걸림구는 그 사이에 레버를 회전가능케 설치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와이어로프로 연결해 주게 되면 이 역시 레버의 회전으로 좌우걸림구는 동시에 후퇴하게 되는바, 본 고안은 걸림구를 동시에 후퇴시켜 줄수 있는 구조이면 만족한다.
또한 보조프레임(8)(10)은 각기 프레임(4)(6)이 갖는 관체(12)(14)(16)(18) (20)내에 삽입될 수 있는 작은 직경의 관체(47)(48)와 봉체(50)(52)를 동일간격으로 연결형성하고 좌우관체(47)(48)의 내측에는 수개의 걸림공(54)(56)을 상하등간격으로 형성하여 프레임(4)(6)이 갖는 걸림구(32)(34)(36)와 선택적인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고안은 각 프레임(4)(6) 상부로부터 각 프레임(4)(6)을 구성하는 관체(12)(14)(16)(18)(20) 내에 보조프레임(8)(10)을 구성하는 관체(47)(48)와 봉체(50)(52)가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보조프레임(8)(10)은 손잡이(42)(44)를 이용한 걸림구(32)(34)(36)의 후퇴상태에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보조프레임(8)(10)의 결합시 적정높낮이에서 당기고 있던 손잡이를 놓아주게 되면 걸림구(32)(34)(36)는 스프링(38)의 반발력에 의해 관체(12)(14)(16) 내부로 돌출하여 보조프레임(8)(10)의 관체(47) (48)에 형성된 수개의 걸림공(54)(56) 중 선택된 걸림공과 결합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프레임의 높낮이가 적재된 물품의 높낮이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운반차량의 적재함 내부높낮이와 큰 차이를 갖는 경우 한손으로 손잡이(42)(44)를 잡고 당겨서 걸림구(32)(34)(36)의 걸림이 해지되게 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보조프레임(8)(10)을 잡고 프레임(4)(6)에 더욱 깊숙히 결합하여 높낮이를 낮춰주거나 또는 프레임(4)(6)으로부터 돌출시켜서 높게 조정한 다음, 잡고 있던 손잡이(42) (44)를 놓아주게 되면 걸림구(32)(34)(36)가 선택된 걸림공(54)(56)과 걸림이 이루어져 조정된 높낮이를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해 줄수가 있어 물품적재가 상시 안정감있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시각적인 적재량 부족에 따른 구매자들의 불만의 소지를 없애 줄수가 있으며 차종에 따라 적재함의 내부높낮이가 다른 경우에도 적재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가 있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는 등의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케스터를 갖는 밑판과, 상기 밑판 후방에 수직고정되는 후면프레임(4)과, 상기 후면프레임(4)의 양측 전방에 연결설치되는 좌우프레임(6)과, 상기 좌우프레임을 연결하는 행거로 구성되는 물품운반대차에 있어서, 각 프레임(4)(6)은 상부가 노출된 수개의 관체(12)(14)(16)(18)(20)를 연결편(22)(24)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부연결편(22)(24) 양측에는 손잡이를 갖는 와이어로프(46)로 연결된 걸림구(32)(34)(36)를 스프링(38)으로 탄력설치하여 상기 걸림구가 좌우관체(12) (14)(16) 내부로 출몰하도록 하고, 각 프레임(4)(6) 상부로부터는 프레임이 갖는 관체(12)(14)(16)(18)(20)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서 동일간격을 갖도록 관체(47)(48)와 봉체(50)(52)로 구성되고 양측 관체에는 수개의 걸림공(54)(56)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8)(10)을 결합하여서 된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10033142U 2001-10-30 2001-10-30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62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142U KR200262104Y1 (ko) 2001-10-30 2001-10-30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142U KR200262104Y1 (ko) 2001-10-30 2001-10-30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104Y1 true KR200262104Y1 (ko) 2002-02-06

Family

ID=7307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142U KR200262104Y1 (ko) 2001-10-30 2001-10-30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1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5150A (en) Collapsible utility cart for use with automobile trunks
US4887837A (en) Carrier for use on beaches, etc.
US5285981A (en) Wire dispenser
US9428205B2 (en) Security cart
US8979098B2 (en) Collapsible platform truck
US8408581B1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device
US6793223B2 (en) Convertible stocking cart
US9050988B1 (en) Collapsible cart
US20060091096A1 (en) Stackable rolling rack apparatus
US4830385A (en) Cart
US7407171B2 (en) Compact cart
US5203579A (en) Shop E Z cart
US4784405A (en) Collapsible luggage cart
JPH08173282A (ja) 折りたたみ可能な車輪付ディスプレスタンド
CA3009156A1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US20110220642A1 (en) Foldable cart platform and basket combination
KR200262104Y1 (ko) 물품운반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03212291A (ja) 収納ボックス
US3337227A (en) Nesting merchandise cart
US20170232986A1 (en) Keg Transporter
US7185898B2 (en) Load leveler for a cart
JP7186421B2 (ja) 折り畳み運搬カート
CN219312808U (zh) 折叠手推车
JP2000313338A (ja) ハンドカート
JP3089620U (ja) 荷物搬送用ボックス型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