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064Y1 -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 Google Patents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064Y1
KR200262064Y1 KR2020010032243U KR20010032243U KR200262064Y1 KR 200262064 Y1 KR200262064 Y1 KR 200262064Y1 KR 2020010032243 U KR2020010032243 U KR 2020010032243U KR 20010032243 U KR20010032243 U KR 20010032243U KR 200262064 Y1 KR200262064 Y1 KR 200262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screw
combustion
fuel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화
곽진욱
Original Assignee
(주) 성빈네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성빈네스코 filed Critical (주) 성빈네스코
Priority to KR2020010032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064Y1/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체연료의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폐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별도의 고체연료를 연소실 내부로 녹거나 엉기는 현상이 없이 자동적으로 공급한 후, 보일러에 설치된 점화용 버너를 통해 연소시키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통해 공급수를 가열함으로써, 중앙 집중식 다세대 주택의 난방과 대중 목욕탕의 온수 공급 등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열효율이 높고,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고체연료 공급장치(30)의 구성은 2중 관체로 형성된 스크루 케이스(32)의 내관체에는 이송용 스크루(31)가 내장되어서 고체연료 (43)의 이송통로의 역할을 하며, 내관체와 외관체사이 공간부에는 냉각수(62)가 수장되어 순환펌프(61)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됨으로써 연소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스크루(31)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내관체 내주면에 고체연료(43)가 녹아 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스크루 케이스(32)의 일측단에는 감속기(33)와 모터(34) 및 환기용 소형팬(35)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며, 타측단은 연소실(20) 내부로 삽입되어진 형태를 가지며, 그 상측으로는 호퍼(40)가 연통된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보일러 본체(10)의 구성은 전면부 중앙 하측에 점화용 버너(23)가 설치되어 고체연료(43)의 최초 연소를 돕고, 그 상측으로는 상기 고체연료 공급장치 (30)가 호퍼(40)와 연통된 형태로 설치되며, 좌측면부 일측 하단으로는 액체연료저장탱크(50)와 냉각수 저장탱크(60)가 나란히 설치되고, 본체(10)의 배면부 하단으로는 연통(1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측면으로는 연소용 송기장치(14)가 설치된 대략적인 구성을 가진다.
또한, 내부에 구비되어지는 연소실(20)은, 일정한 두께의 코어(core) 형태를 가지되, 상하면의 공급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는 입수관(11)과 출수관(12)이 연결되어 있으며, 연소실(20)의 중하단에는 중공부(21)가 형성되어 고체연료(43)가 연소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고, 중공부(21) 중상단에는 공급수의 가열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연기 배출구가 구비된 가열 탱크(22)로 구성되며, 중공부(21) 후측 저면에는 연소용 송기장치(14)와 연결된 수평 송기관(25)이 관통되어 있고, 그와 연결된 수직 송기관(26)은 중공부(21) 중앙에 입설된 형태를 취하며, 수직 송기관(26)의 중앙에는 연료분산 받침(28)이 설치되고, 중공부(21) 바닥부에는 점화장치(24)가 설치되고, 전면 하단으로부터 관통된 액체연료 연료 이송관(52)에 의해 액체연료가 공급되며, 그 상부로는 고체연료 공급장치(30)가 관통되어 고체연료 (43)가 공급되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고체연료 공급장치를 통해 고체연료가 투입될 때, 연소실 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공급장치 내에서 고체연료가 녹거나 엉겨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정확한 양의 고체연료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입된 고체연료는 발열량이 대단히 높아서 열효율이 뛰어나며, 지속적인 산소의 공급으로 완전연소를 가능케 하여 일산화 탄소 및 다이옥신 등의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이 없으며, 또 대규모의 보일러를 제작하여 중앙 집중식 난방을 하는 다세대 주택과 대량의 온수를 필요로 하는 대중 목욕탕 등에 사용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a solid fuel device and the boiler using that device }
본 고안은 고체연료의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폐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별도의 고체연료를 연소실 내부로 자동적으로 공급한 후, 보일러에 설치된 점화용 버너를 통해 연소시키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통해 공급수를 가열함으로써, 중앙 집중식 다세대 주택의 난방과 대중 목욕탕의 온수 공급 등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열효율이 높고,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난방 및 온수 공급을 위한 대부분의 보일러는 화석연료또는 전기에너지를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대규모의 난방과 온수 공급에 있어서는 과도한 연료비를 유발하게 되고, 화석연료를 사용하게 될 경우 완전연소가 이루어 지지 않아서 미연가스에 포함된 각종 대기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 연소효율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한정된 화석연료의 고갈이라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으로 연료를 제어할 수 있는 고체연료 공급장치를 설치하되, 그 내·외관체 사이로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하여 스크루의 열변형을 억제하고, 열가소성 수지재의 고체연료가 녹거나 엉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확한 연료투입을 가능케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폐열가소성 수지로 제작된 별도의 고열량의 고체연료를 사용함으로써 연료비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일산화탄소 및 다이옥신 등의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이 없으며, 열효율이 높아서 대규모의 난방과 온수 공급에 적합한 보일러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보일러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고체 연료 공급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점화 및 소화과정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입수관
12 : 출수관 13 : 연통
14 : 연소용 송기장치 20 : 연소실
21 : 중공부 22 : 가열 탱크
23 : 점화용 버너 24 : 점화장치
25 : 수평 송기관 26 : 수직 송기관
27 : 산기공 28 : 연료분산 받침
30 : 고체연료 공급장치 31 : 스크루
32 : 스크루 케이스 33 : 감속기
34 : 모터 35 : 환기용 소형팬
40 : 1차 호퍼 41 : 2차 호퍼
42 : 컨트롤 패널 43 : 고체연료
44 : 스톱 밸브 50 : 액체연료 저장탱크
51 : 액체연료 공급펌프 52 : 액체연료 이송관
60 : 냉각수 저장탱크 61 : 순환펌프
62 : 냉각수
본 고안은 고체연료의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폐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별도의 고체연료를 연소실 내부로 녹거나 엉기는 현상이 없이 자동적으로 공급한 후, 보일러에 설치된 점화용 버너를 통해 연소시키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통해 공급수를 가열함으로써, 중앙 집중식 다세대 주택의 난방과 대중 목욕탕의 온수 공급 등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열효율이 높고,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어지는 고체연료는 본 발명자가 국내특허출원중인 제 2001-0026069호로 제안되어 있는바, 그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재활용이 가능한 폐열가소성수지를 수거하여 분쇄기를 통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 및 절단을 하여 세척한 후,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용융로에 의해 폐열가소성수지를 최소의 온도로 용융시켜 단위체 고분자화합물 소성변형을 시킨 후, 고압 압출기내에서 1차적으로 6기압 이하의 수소(H2)가스를 단위체 고분자화합물 내부에 주입하고, 2차적으로는 8기압 이상의 산소(O2)가스를 주입하여 단위체 고분자화합물 사이에 산소(O2)가 과포화 결합된 상태에서 강한 압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외부로 분출되어지면, 냉각기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냉각시키되, 직경이 2mm 정도의 섬유사 형태로 응고시킨 후, 절단기를 통하여 2 ~ 5mm 크기의 소형 원통형칩 형태로 절단하여 완성된 고체연료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보일러는 전체적인 외형이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작되어지며, 크게 본체(10)와 연소실(20), 고체연료 공급장치(30) 및 호퍼(40)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도 1은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0)의 전면부 중앙 하측에는 점화용 버너(23)가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는 고체연료 공급장치(30)가 호퍼(40)와 연통된 형태로 설치되며, 전면부 일측 하단으로는 액체연료 저장탱크(50)와 냉각수 저장탱크(60)가 설치되고, 본 고안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의 배면부 하단으로는 연통(1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측면으로는 연소용 송기장치(14)가 설치된 대략적인 구성을 가진다.
먼저, 고체연료 공급장치(30)는 본 고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용 스크루(31)가 내장된 스크루 케이스(32)의 일측단에 감속기(33)와 모터(34) 및 환기용 소형팬(35)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며, 타측단은 연소실(20) 내부로 삽입되어져서 고체연료(43)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스크루(31)의 주축에 연결된 감속기(33)는 모터(34)의 회전속도를 250:1의 비율로 감속시켜서 고체연료(43)가 서서히 공급되는 구성을 가지며, 컨트롤 패널(42)로 부터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모터(34)의 회전이 제어됨으로써 원하는 온도를 얻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모터(34)에 연결된 환기용 소형팬(35)은 스크루 케이스(32)내의 환기 및 모터(34)와 감속기(33)를 냉각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스크루 케이스(32)는 2중 관체의 형태로, 내관체에는 스크루(31)가 내장되어서 고체연료(43)의 이송통로의 역할을 하며, 내관체와 외관체사이 공간부에는 냉각수(62)를 수장하여 순환함으로써 스크루(31)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내관체 내주면에 고체연료(43)가 녹아 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냉각수(62)의 순환은, 별도로 구비된 장치에 의해서 가능한데, 냉각수 저장 탱크(60)의 냉각수(62)를 순환펌프(61)가 스크루 케이스(32)의 내·외관체 사이 상측 유입구로 양정하면, 스크루(31)와 고체연료(43)를 냉각시킨 후 스크루 케이스(32) 하측 배출구로 배출·순환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스크루 케이스(32)의 일측 상부에는 고체연료(43) 저장용 호퍼(40)를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하되, 1차·2차 호퍼(40, 41)의 2단 구성을 가지며, 그 형상은 1차 호퍼(40)의 경우 정사각 상자체의 하부에 사각 깔때기가 접합된 형태로 1차 호퍼(40)의 배면측에 받침다리를 구비하여 본체(10)의 상면부에 재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2차 호퍼(41)는 1차 호퍼(40)의 하부에 연결된 크기가 작은 사각 깔때기 형태로, 많은 양의 고체연료(43)가 한꺼번에 고체연료 공급장치(3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1차 호퍼(40)와 2차 호퍼(41)의 연결지점에는 스톱 밸브(44)가 연결되어지는데, 이는 1차 호퍼(40)에서 과도한 고체연료(43)가 유입되면 고체연료 공급장치(30)에 과부하가 걸릴 우려가 있어서 이를 미연에 방지하며, 필요에 따라고체연료(43)의 완전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1차 호퍼(40)의 전면부에는 컨트롤 패널(42)을 장착하되, 컨트롤 패널(42)에는 각종 on, off 스위치와 온도 조절 장치 및 온도 표시부가 구비되어, 본 고안을 작동 혹은 정지시키거나 온도의 조절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각 구성 장치에 보내는 역할을 하며, 실내에 구비된 바이메탈(bimetal)식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점화되거나 소화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점화용 버너(23)는 점화장치(24)가 내설된 형태로 상기 고체연료 공급장치(30)의 하측에 설치되고, 액체연료 이송관(52)에 의해 액체연료 저장탱크(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액체연료 공급펌프(51)에 의해 연소실(20)내로 액체연료가 주입되면 점화장치(24)에 의해 점화되어 최초로 투입되는 고체연료(43)의 연소를 돕고, 10분간의 예열과정이 지나면 액체연료의 주입은 정지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내설되는 점화장치(24)는, 전원을 접속한 1차코일을 단속하고 2차코일에서 발생한 고압전류를 점화장치(24)의 중심전극에 유도하여 접지쪽 전극사이에 불꽃을 튀겨서 점화하는 불꽃점화방식을 사용한다.
본 고안 도 2는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배면측 중앙 하부에는 연소용 송기장치(14)가 설치되는데, 이는 외부의 공기를 연소실 내로 유입시켜서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돕고,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CO)에산소(O2)를 공급하여 이산화탄소(CO2) 형태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연소용 송기장치(14)의 측부로는 연통(13)이 입설되어 연소 후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의 배출통로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 보일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밀폐된 원통형의 연소실(20)이 본체(10) 내부에 수장되어진 형태를 취한다. 연소실(20)의 자세한 형태는 일정한 두께의 코어(core) 형태를 가지되, 상하면으로 공급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연소실(20)의 중하단에는 중공부(中空部)(21)가 형성되어 투입된 고체연료(43)가 연소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고, 중공부(21) 중상단에는 공급수의 가열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연기 배출구가 천공된 가열 탱크(22)로 구성된다.
상기 중공부(21) 후측 하부에는 상기 연소용 송기장치(14)와 연결된 수평 송기관(25)이 관통되어 있으며, 그와 연결된 수직 송기관(26)은 중공부(21) 중앙에 입설된 형태를 취하되, 수직 송기관(26)의 외주면 사방으로는 다수개의 산기공(27)이 천공되어 있어서 연소실(20) 내부 전체에 골고루 산소(O2)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 송기관(26)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는 연료분산 받침(28)이 설치·고정되어 지는데, 이는 고체 연료 공급장치(30)에 의해 공급되어진 고체연료(43)가 골고루 분산되어 연소장치에 낙하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연소용 송기장치(14)의 측면으로는 연통(13)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연소 후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의 배출을 가능케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연소실(20)의 전면측 상부에는 고체연료 공급장치(30)가 관통되어 있어서 1·2차 호퍼(40, 41)를 통해 공급된 고체연료(43)가 스크루(31)에 의해 서서히 이송·투입되는 구성을 가지며, 연소실(20) 전면측 하부에는 점화용 버너(23)와 연결된 액체연료 이송관(52)이 관통되어 있어서, 액체연료가 연소실(20) 바닥부에 위치한 점화장치(24)로 분사되어질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연소실(20)의 하측에는 입수관(11)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는 출수관(12)이 연결된 구성을 가지는데, 이는 물을 가열하게 되면 비중차에 의해 따뜻한 물은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찬물은 하부에 남게되는 대류현상을 이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본 고안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호퍼(40)에 고체연료(43)를 장입하고, 액체연료 저장탱크(50)에 액체연료를 주입하며, 냉각수 저장탱크(60)에 냉각수를 충분히 주입한 후, 1차 호퍼(40) 하단의 스톱 밸브(44)를 개방시켜 2차 호퍼(41)에 고체연료(43)가 장입되게 한 다음, 컨트롤 패널(42)의 스위치를 on시키면, 연소용 송기장치(14)를 제외한 각종 모터와 펌프 및 팬이 동시에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우선, 액체연료 공급펌프(51)는 액체연료를 연소실(20)내로 공급하며, 점화장치(24)에 의해 스파크를 발생시켜 점화용 버너(23)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와 동시에 고체연료 공급장치(30)의 모터(34)가 작동하며, 이는 감속기(33)를 거쳐 스크루(31)를 회전시키므로 고체연료(43)를 연소실(20) 내부로 이송시키며, 모터(34)에 연결된 환기용 소형팬(35)이 작동하여 스크루(31)내의 환기 및 모터(34)와 감속기(33)의 냉각을 시키게 된다.
또한, 냉각수 순환펌프(61)가 구동되어 냉각수 저장탱크(60)로부터 냉각수(62)를 스크루 케이스(32)의 내로 순환시켜서 스크루(31)와 고체연료(43)의 냉각이 동시에 시작된다.
그 후, 점화용 버너(23)에 의해 고체연료(43)가 연소되는 약 10분간의 예열단계를 지나면 점화용 버너(23)는 자동 소화되며, 점화용 버너(23)가 자동 소화되기 1~2분전부터는 본체(10) 배면에 구비된 연소용 송기장치(14)가 작동하여 산소를 공급하므로 고체연료(43)의 연소를 가속화시키면서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화용 버너(23)가 소화되면, 고체연료(43)만으로 연소가 이루어지며, 입수관(11)을 통해 유입된 공급수는 가열된 후, 출수관(12)을 통해 난방 및 온수가 필요한 적소에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진다.
그 후,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실내에 설치된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되어 컨트롤 패널(4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냄으로써 그신호에 의해 스크루(31)와 연결된 모터(34)가 정지하게 되며, 그에 의해 고체연료(43)의 공급이 중단됨과 동시에 온수의 순환도 정지하게 되고, 기 투입된 고체연료(43)가 완전히 연소될 만큼의 시간, 즉, 약 15분 동안 연소된 후 연소용 송기장치(14)가 정지하고 냉각수 순환펌프(61)도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체연료 공급장치를 통해 고체연료가 투입될 때, 연소실 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공급장치 내에서 고체연료가 녹거나 엉겨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정확한 양의 고체연료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입된 고체연료는 발열량이 대단히 높아서 열효율이 뛰어나며, 지속적인 산소의 공급으로 완전연소를 가능케 하여 일산화 탄소 및 다이옥신 등의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이 없으며, 또 대규모의 보일러를 제작하여 중앙 집중식 난방을 하는 다세대 주택과 대량의 온수를 필요로 하는 대중 목욕탕 등에 사용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10) 전면부 중앙 상측에 설치되는 고체연료 공급장치(30)는 호퍼(40)의 저부와 연통되도록 설치하되, 내·외관체로 구성된 스크루 케이스(32)의 내관체에는 이송용 스크루(31)가 내장되어 고체연료를 이송가능케 하는 형태를 취하며, 내·외관체 사이로는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측단으로는 감속기(33)와 모터(34) 및 환기용 소형팬(35)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타측단은 연소실(20) 내부로 삽입되어져서 컨트롤 패널(42)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모터(34)가 작동하고, 감속기(33)를 거친 회전력이 스크루(31)를 회전시켜서 고체연료(43)가 자동적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케이스(32)의 내관체와 외관체사이 공간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는,
    본체(10) 전면 일측에 구비된 냉각수 저장탱크(60)와 연결된 순환펌프(61)와 연결관을 통해 냉각수(62)를 스크루 케이스(32) 상측 유입시키면, 스크루(31)와 고체연료(43)를 냉각시킨 후, 스크루 케이스(32)의 하측으로 배출·순환되는 구성으로, 스크루(31)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고체연료(43)가 녹아 붙는 현상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공급장치.
  3.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10)의 전면 하부에는 점화용 버너(23)가 구비되어 있고, 그 상측으로 호퍼(40)가 고체연료 공급장치(30)와 연통된 형태로 설치되며, 전면 일측 하단으로는 액체연료 저장탱크(50)와 냉각수 저장탱크(60)가 구비되며, 배면 하측으로는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통(13)이 입설되고, 그 측부로는 연소용 송기장치(14)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10)의 내부로는 원통형태의 연소실(20)이 구비되며, 그 하단에는 입수관(11)이 연결되고, 그 상단에는 출수관(12)이 연결되어 별도로 구비된 순환 모터에 의해 공급수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며,
    상기 고체연료 공급장치(30)에 의해 연소실(20) 내로 투입된 고체연료(43)가 점화용 버너(23)에 의해 점화되고, 연소용 송기장치(14)로부터 주입된 산소에 의해 완전연소 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통해 난방 및 온수 발생을 가능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연소실(20)내에 구비되는 온수 순환 수단은,
    일정한 두께의 원통형 코어(core) 형태로, 상하면에 구비된 공급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는 입수관(11)과 출수관(12)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연소실(20)의중하단에는 중공부(21)가 형성되어 고체연료(43)가 연소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고, 중공부(21) 상부로는 공급수의 가열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연기 배출구가 구비된 가열 탱크(22)로 구성되며,
    중공부(21) 후측 저면에는 연소용 송기장치(14)와 연결된 수평 송기관(25)이 관통되어 있고, 그와 연결된 수직 송기관(26)은 중공부(21) 중앙에 입설된 형태를 취하며, 수직 송기관(26)의 절반 위치에는 연료분산 받침(28)이 설치되며,
    중공부(21) 바닥부에는 점화장치(24)가 설치되고, 전면 하단으로부터 관통된 액체연료 연료 이송관(52)에 의해 액체연료가 공급되며, 그 상부로는 고체연료 공급장치(30)가 관통되어 고체연료(43)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KR2020010032243U 2001-10-22 2001-10-22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KR200262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43U KR200262064Y1 (ko) 2001-10-22 2001-10-22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43U KR200262064Y1 (ko) 2001-10-22 2001-10-22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131A Division KR20010104761A (ko) 2001-10-22 2001-10-22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064Y1 true KR200262064Y1 (ko) 2002-02-06

Family

ID=7311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243U KR200262064Y1 (ko) 2001-10-22 2001-10-22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0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111B1 (ko) * 2009-02-18 2011-06-28 박성수 고체연료 보일러
KR101216492B1 (ko) 2010-05-13 2012-12-31 (주) 에코프론트 대용량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111B1 (ko) * 2009-02-18 2011-06-28 박성수 고체연료 보일러
KR101216492B1 (ko) 2010-05-13 2012-12-31 (주) 에코프론트 대용량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97614A (zh) 产生负离子的燃气式便携干燥机及该干燥机的负离子产生方法
KR100270921B1 (ko) 비닐하우스용 온풍기
KR200262064Y1 (ko)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KR100917098B1 (ko) 고체연료 보일러용 연소장치
EP1359372B1 (en) A burner for pellet fuel
KR20010104761A (ko) 고체연료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일러
KR101535772B1 (ko) 펠릿을 이용한 스팀보일러시스템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20150012845A (ko) 수소가스 혼합 연료 보일러의 연소장치
KR101213718B1 (ko) 고체연료 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010112134A (ko) 난방용 온풍기
KR20130011653A (ko) 고형연료를 이용한 저공해 및 고효율 연소장치
KR200437991Y1 (ko) 화로와 수조가 분리된 보일러
KR200492272Y1 (ko) 화목 보일러
KR101267961B1 (ko) 펠릿보일러용 연소장치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KR101625577B1 (ko) 난방굴뚝을 갖는 펠릿 난방기
KR101358790B1 (ko) 목재 펠릿을 이용한 스팀 보일러
KR101483879B1 (ko) 무연통식 열풍난로
CN113958975B (zh) 一种水基氢燃气燃料的专用灶具
KR100594380B1 (ko) 이동 가능한 폐기물 소각장치
KR102434304B1 (ko) 분말 연료 소각용 버너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KR200238349Y1 (ko) 보일러
KR20010074070A (ko) 보일러
JP2004138257A (ja) ペレット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