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029Y1 - 무노즐 폐유 연소기 - Google Patents

무노즐 폐유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029Y1
KR200262029Y1 KR2020010031500U KR20010031500U KR200262029Y1 KR 200262029 Y1 KR200262029 Y1 KR 200262029Y1 KR 2020010031500 U KR2020010031500 U KR 2020010031500U KR 20010031500 U KR20010031500 U KR 20010031500U KR 200262029 Y1 KR200262029 Y1 KR 200262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air
waste oil
nozzl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송
Original Assignee
정무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송 filed Critical 정무송
Priority to KR2020010031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02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무노즐 폐유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 3 연소구간인 화염배출구(75)의 외주면 둘레에 공기공급장치(100)가 배치되고 에어팬(101)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공기공급장치(100)에서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화염배출구(75)에서 배출되는 화염과 공기가 혼합되어 상기 화염이 완전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노즐 폐유 연소기{Waste oil burner without nozzle}
본 고안은 무노즐 폐유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염배출구 둘레에 공기공급장치가 장착되어 제 3 연소구간인 화염배출구에서 완전연소되지 않은 화염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무노즐 폐유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 2001-48322에 "무노즐 폐유 연소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무노즐 폐유 연소기는 제 3 연소구간인 화염배출구에서 화염이완전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염배출구 둘레에 공기공급장치가 장착되어 제 3 연소구간인 화염배출구에서 완전연소되지 않은 화염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무노즐 폐유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의 일례는 제 3 연소구간인 화염배출구의 외주면 둘레에 공기공급장치가 배치되고 에어팬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화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화염과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화염을 완전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의 다른 예는 2차 화염유도부재와 화염배출구 사이의 제 3 연소구간으로 에어팬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에어덕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고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의 또 다른 예는 2차 예열자켓없이 폐유공급라인의 폐유 분출구가 버너의 후방벽을 통해 버너내의 경유분사노즐이 장착된 장착구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공기공급장치 101 ; 에어팬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는 제 3 연소구간인 화염배출구(75)의 외주면 둘레에 공기공급장치(100)가 배치되고 에어팬 (101)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공기공급장치(100)에서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화염배출구(75)에서 배출되는 화염과 공기가 혼합되어 상기 화염이 완전 연소된다.
또한, 상기 무노즐 폐유 연소기는 케이스(53)가 캐스터블 내화물(castable refractory)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53)의 외주면이 단열재(55)에 의해 커버되고, 1차 예열자켓(29)이 배치된 후면벽에 감시창(57)이 구비되고, 화염의 선회 및 교반을 유도하는 1차 화염유도부재(59)가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1차 화염유도부재 (59) 다음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2차 화염유도부재(61)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버너(51)에는 후면벽과 1차 화염유도부재(59) 사이에 제 1 연소구간(71)이 형성되고, 상기 1차 화염유도부재(59)와 2차 화염유도부재(61) 사이에 제 2 연소구간(73)이 형성되고, 상기 2차 화염유도부재(61) 다음에 위치하는 화염배출구(75)에 제 3 연소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화염배출구(75)에서 배출된 화염이 공기공급장치(10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완전 연소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는 2차 화염유도부재(61)와 화염배출구(75) 사이의 제 3 연소구간으로 에어팬(105)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에어덕트(110)가 배치된다.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한 도면부호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01-48322호에 "무노즐 폐유 연소기"가 소개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로서, 도면부호 49는 2차 예열자켓, 50은 폐유분출구, 54는 지르코니아 세라믹, 77은 제 2 연소구간(73)을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제트노즐이고, 81은 경유분사노즐(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는 장착구이다.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는 2차 예열자켓없이 폐유공급라인(47)의 폐유 분출구(50)가 버너(51)의 후방벽(120)을 통해 버너(51)내의 경유분사노즐이 장착된 장착구(81) 전방에 배치된다.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는 폐유공급라인(47)이 2차 예열자켓없이 직접 장착구(81)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 길이가 짧아 막힐 수 있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노즐 폐유 연소기는 제 3 연소구간인 화염배출구에서 완전연소되지 않은 화염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며, 제 3 연소구간에 에어덕트를 설치하여 제 3 연소구간에 공기를 송풍하므로서 화염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어 불완전 연소에 따른 공해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3)

  1. 제 3 연소구간인 화염배출구(75)의 외주면 둘레에 공기공급장치(100)가 배치되고 에어팬(101)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공기공급장치(100)에서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화염배출구(75)에서 배출되는 화염과 공기가 혼합되어 상기 화염이 완전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노즐 폐유 연소기.
  2. 2차 화염유도부재(61)와 화염배출구(75) 사이의 제 3 연소구간으로 에어팬 (105)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에어덕트(11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노즐 폐유 연소기.
  3. 2차 예열자켓없이 폐유공급라인(47)의 폐유 분출구(50)가 버너의 후방벽 (120)을 통해 버너(51)내의 경유분사노즐이 장착된 장착구(81)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노즐 폐유 연소기.
KR2020010031500U 2001-10-16 2001-10-16 무노즐 폐유 연소기 KR200262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00U KR200262029Y1 (ko) 2001-10-16 2001-10-16 무노즐 폐유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00U KR200262029Y1 (ko) 2001-10-16 2001-10-16 무노즐 폐유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029Y1 true KR200262029Y1 (ko) 2002-02-06

Family

ID=7307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500U KR200262029Y1 (ko) 2001-10-16 2001-10-16 무노즐 폐유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0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6479A (zh) 带有结合的通道的燃料喷嘴和操作方法
ES2153802T1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los quemadores de llama plana.
JP2005195214A (ja) 燃焼装置
KR200262029Y1 (ko) 무노즐 폐유 연소기
JP4063174B2 (ja) 管状火炎バーナ
JP2004093115A (ja) 多段式管状火炎バーナ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JPH02106607A (ja) ラジアントガスバーナ
KR101711178B1 (ko) 알코올 수성가스용 연소장치
KR20050018472A (ko) 보조 소각로
JP3024270B2 (ja) 加熱装置および加熱装置に用いる液体燃料燃焼装置
KR200232725Y1 (ko) 소둔로 메인버너의 파이럿버너
JP3891112B2 (ja) 二段燃焼装置
JP3715496B2 (ja) 低NOxバーナ
JP2004077012A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式加熱装置
KR890004927Y1 (ko) 2단 연소용가스버너
JPH11350973A (ja) ガスタービン排ガス利用の追焚燃焼法及びこの追焚燃焼法を利用する追焚バーナ
JP3824485B2 (ja) 灰溶融バーナ
JPH0435693Y2 (ko)
KR940005104Y1 (ko) 오일버어너의 2차 연소장치
KR200162667Y1 (ko) 석유 연소기 버너링
KR0132199Y1 (ko) 온풍난방기의 연소장치
JP2895043B1 (ja) オイルバーナ
JP3651960B2 (ja) ガス燃焼装置
JPS6071812A (ja) 微粉燃焼用バ−ナ装置
KR100413284B1 (ko) 축열식버너용 점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