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027Y1 - 소각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소각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027Y1
KR200262027Y1 KR2020010031450U KR20010031450U KR200262027Y1 KR 200262027 Y1 KR200262027 Y1 KR 200262027Y1 KR 2020010031450 U KR2020010031450 U KR 2020010031450U KR 20010031450 U KR20010031450 U KR 20010031450U KR 200262027 Y1 KR200262027 Y1 KR 200262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nerator
waste
primary
exhaust gas
inciner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2020010031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02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소각로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소각열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소각로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소각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각로 설치구조는 1, 2차 소각로(1)(2)가 분리되어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소각로(1)(2)에 별도의 버너장치를 설치시켜야 함은 물론 각 소각로 내부의 적정한 연소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1, 2차 소각로(1)(2)가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서 소각장치의 설치면적이 크게되어 설치에 많은 제한이 있는 것인 바, 본 고안은 공급되는 폐기물을 1차연소시키는 1차 소각로(1)와, 1차연소된 폐기물을 공급받아 2차로 연소시키는 2차소각로(2)와, 1, 2차 소각로(1)(2)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장치(3)와, 열교환장치(3)를 통과한 배기가스로부터 분진을 집진 회수하는 집진장치(4)와, 집진장치(4)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에 방출하는 굴뚝(5)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2차 소각로(1)(2)를 수직선상으로 직립 설치시키고, 1차소각로(1)의 하부와 2차소각로(2)의 상부를 연결하는 이송스크류(10)를 설치시키고, 1차 소각로(1)의 상부에 배기가스를 열교환장치(3)로 이동시키는 관로(11)를 설치시키고, 2차 소각로(2)의 하부에 연소가 완료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이송스크류(20)를 설치시켜 구성함으로써, 소각열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의낭비를 방지 할 수 있으며, 소각로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소각로 설치구조{Establishment construction of incinerator}
본 고안은 폐기물을 소각시켜 처리하는 소각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각로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소각열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소각로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소각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대부분은 매립(63%)에 의존하여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와 같이 협소한 면적의 제한된 토지에서 매립장 부지확보문제와 매립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해소는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위생적이며 장기간 안정적인 쓰레기처리를 위하여는 매립위주의 쓰레기 처리정책을 바꾸지 않을 수 없다.
선진국인 일본(72%), 스위스(76%), 스웨덴(55%), 독일(31%), 프랑스(40%) 등에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매립방식에서 벗어나 소각방식으로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을 소각하여 처리시킴에 있어서는 소각할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소각로가 결정된다.
즉, 연소가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폐기물, 연소가 가능한 물질과 불 연소물질이 혼합된 폐기물 또는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의 량 등 많은 조건에 따라 소각로가 결정된다.
폐기물을 소각 처리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열에너지이다.
소각에 소요되는 열에너지량에 따라 폐기물의 처리방법이 다르게 되고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료 및 산소가 충분하다고 해서 연소반응이 완전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연료와 산소는 일차적인 필수요건이며, 이들과 더불어 연소반응이 시작되기 위한 최소한의 온도, 소각로내에서 충분한 체류시간, 가연분과 산소의 충분한 접촉 등이 충족되어야 비로소 완전한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소각로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의 소각로 설치구조는 공급되는 폐기물을 1차연소시키는 1차 소각로(1)와, 상기 1차 소각로의 일측에 1차연소된 폐기물을 공급받아 2차로 연소시키는 2차소각로(2)가 설치되고, 1, 2차 소각로(1)(2)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장치(3)와, 열교환장치를 통과한 배기가스로부터 분진을 집진 회수하는 집진장치(4)와, 집진장치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에 방출하는 굴뚝(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소각로는 1차소각로(1)의 상부로 투입된 폐기물이 다수의 회전판(12)을 통과하면서 건조와 연소되고, 1차소각로(1)의 하부에서 이송스크류(10)와 이송펌프(13)를 통하여 2차 소각로(2)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2차 소각된다.
2차소각로(2)의 하부로 이동된 폐기물은 이송스크류(20)에 의해 소각로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종래의 소각로 설치구조는 1, 2차 소각로(1)(2)가 분리되어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소각로(1)(2)에 별도의 버너장치를 설치시켜야 함은 물론 각 소각로 내부의 적정한 연소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1, 2차 소각로(1)(2)가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서 소각장치의 설치면적이 크게되어 설치에 많은 제한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소각로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소각열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소각로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소각로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공급되는 폐기물을 1차연소시키는 1차 소각로와, 1차연소된 폐기물을 공급받아 2차로 연소시키는 2차소각로와, 1, 2차 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장치와, 열교환장치를 통과한 배기가스로부터 분진을 집진 회수하는 집전장치와, 집진장치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에 방출하는 굴뚝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2차 소각로를 수직선상으로 직립 설치시키고, 1차소각로의 하부와 2차소각로의 상부를 연결하는 이송스크류를 설치시키고, 1차 소각로의 상부에 배기가스를 열교환장치로 이동시키는 관로를 설치시키고, 2차소각로의 하부에 연소가 완료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이송스크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소각로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소각로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차소각로 2. 2차소각로
3. 열교환장치 4. 집진장치
5. 굴뚝 10, 20. 이송스크류
11. 관로 12. 회전판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소각로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급되는 폐기물을 1차연소시키는 1차소각로(1)와, 1차연소된 폐기물을 공급받아 2차로 연소시키는 2차소각로(2)와, 1,2차 소각로(1)(2)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장치(3)와, 열교환장치(3)를 통과한 배기가스로부터 분진을 집진 회수하는 집진장치(4)와, 집진장치(4)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에 방출하는 굴뚝(5)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2차 소각로(1)(2)를 수직선상으로 직립 설치시키고, 1차소각로(1)의 하부와 2차소각로(2)의 상부를 연결하는 이송스크류(10)를 설치시키고, 1차 소각로(1)의 상부에 배기가스를 열교환장치(3)로 이동시키는 관로(11)를 설치시키고, 2차 소각로(2)의 하부에 연소가 완료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이송스크류(20)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1차소각로(1)의 상부로 투입된 폐기물이 다수의 회전판(12)을 통과하면서 건조와 연소되고, 1차소각로(1)의 하부에서 이송스크류(10)를 통하여 2차 소각로(2)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2차 소각된다.
이때 2차소각로(2)의 연소열을 상부에 설치된 1차소각로(1)의 내부로 유입되어 1차소각로(1)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1차소각로(1)의 적정온도 유지를 위한 열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각열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소각로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급되는 폐기물을 1차연소시키는 1차 소각로(1)와, 1차연소된 폐기물을 공급받아 2차로 연소시키는 2차소각로(2)와, 1, 2차 소각로(1)(2)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장치(3)와, 열교환장치(3)를 통과한 배기가스로부터 분진을 집진 회수하는 집진장치(4)와, 집진장치(4)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에 방출하는 굴뚝(5)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2차 소각로(1)(2)를 수직선상으로 직립 설치시키고, 1차소각로(1)의 하부와 2차소각로(2)의 상부를 연결하는 이송스크류(10)를 설치시키고, 1차 소각로(1)의 상부에 배기가스를 열교환장치(3)로 이동시키는 관로(11)를 설치시키고, 2차 소각로(2)의 하부에 연소가 완료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이송스크류(20)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 설치구조.
KR2020010031450U 2001-10-15 2001-10-15 소각로 설치구조 KR200262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50U KR200262027Y1 (ko) 2001-10-15 2001-10-15 소각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50U KR200262027Y1 (ko) 2001-10-15 2001-10-15 소각로 설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838A Division KR20030031391A (ko) 2001-10-16 2001-10-16 소각로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027Y1 true KR200262027Y1 (ko) 2002-02-06

Family

ID=7311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450U KR200262027Y1 (ko) 2001-10-15 2001-10-15 소각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0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2027Y1 (ko) 소각로 설치구조
KR100226989B1 (ko) 스토커식 소각로의 화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
KR0140806Y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20030031391A (ko) 소각로 설치구조
US6729246B2 (en) Interlinked synthetic garbage incinerator with a plurality of inlets
KR101547796B1 (ko) 소각 장치
KR100339484B1 (ko)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KR200189422Y1 (ko) 폐기물 처리 시에 발생되는 소각회를 처리할 수 있는장치를 구비하는 소각로
KR100704176B1 (ko) 재연소 소각보일러
KR20130040001A (ko) 분해 조립식 연소실 구조
KR100239087B1 (ko) 이동식 쓰레기 소각장치
KR0114474Y1 (ko) 조립식 소각로
CN213040561U (zh) 一种分散式控氧垃圾焚烧炉
CN220038473U (zh) 一种具有余热回收功能的焚烧炉
KR100314342B1 (ko) 축열 소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소각로
JP3087736U (ja) ブラウンガスを利用した側方向表面熔融システム
KR960000449Y1 (ko) 열풍 및 온수공급이 가능한 폐기물 소각장치
KR100209768B1 (ko) 수냉식 소형소각로에서 세라믹을 사용하는 완전연소기
KR20130040013A (ko) 공기 순환식 집진장치
KR19990013203A (ko) 쓰레기 소각로
KR200193794Y1 (ko) 폐기물 소각처리장치
KR200167005Y1 (ko) 소각로용 로스톨
KR820000502Y1 (ko)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KR0128502Y1 (ko) 소각로의 보조 송풍장치
KR960007914Y1 (ko) 2중 소각장치를 갖는 폐기물 소각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