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926Y1 - 분말세제용계량스푼 - Google Patents

분말세제용계량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926Y1
KR200261926Y1 KR2019980020401U KR19980020401U KR200261926Y1 KR 200261926 Y1 KR200261926 Y1 KR 200261926Y1 KR 2019980020401 U KR2019980020401 U KR 2019980020401U KR 19980020401 U KR19980020401 U KR 19980020401U KR 200261926 Y1 KR200261926 Y1 KR 200261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etergent
spoon
detergent
measuring spo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629U (ko
Inventor
김종관
Original Assignee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 경 식
Priority to KR2019980020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92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926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정량의 분말세제를 사용하기 위해 상, 하의 체적이 다른 몸체가 형성되고 또한 보관이 용이하도록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와 이 끝단에 가변 폭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것인 바, 그 목적은 분말세제의 사용 시 적정량을 담을 수 있게 상, 하의 체적이 다르게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에 가변 폭을 갖는 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분말세제의 적정량을 체적에 따라 판단하기 편리하고 서로 다른 폭으로 손잡이에 대향되게 형성된 홈은 계량스푼을 보관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분말세제용 계량스푼{Spoon calculating quantity for powdered detergent}
본 고안은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정량의 분말세제를 사용하기 위해 상, 하의 체적이 다른 몸체가 형성되고, 또한 보관이 용이하도록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와 이 끝단에 가변 폭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홈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적정량의 세제를 가늠하지 못하거나 육안으로 판단, 사용하게 되어 불필요한 세제의 낭비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됐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분말세제를 정량 사용하도록 계량스푼을 갖는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세탁을 하는 방법에서 도구들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들 중 세탁 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적지 않은 양의 세제를 사용하고 있다. 세제로는 액체로 된 세제가 사용되었으나 사용상의 문제가 많아 분말로 된 세제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분말세제도 필요한 만큼의 세제를 사용하려면 소비자가 육안으로 판단하여 양을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습기가 많은 장소에 오래 보관하게되면 세제가 습기나 물에 젖어 굳는(케이크화:caking)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분말세제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스푼의 형태로 된 도구를 사용한다. 이 스푼은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분말세제를 담는 몸체와 이 몸체와 일체로 손잡이가 형성되어 실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계량 스푼의 사시도로서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몸체(100)와 이 몸체(100)와 일체로 길이방향으로 손잡이(20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따른 계량 스푼은 몸체의 크기만큼 분말세제를 담기 때문에 너무 많은 량을 사용하게 되어 환경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고, 반대로 적은 량의 세제를 사용하게 되면 오염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문제점이 상존 하였으며, 사용 시 계량스푼이 물에 젖거나 분말세제를 보관하는 박스가 습기에 의해 젖으면 안에 있는 분말세제가 굳어져(caking)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을 겪었다. 또한 스푼을 보관함에 있어 사용이 끝나면 박스내부에 넣어 보관하였는데 이 때 스푼에 잔여 분말세제가 묻어나게 되어 소비자의 손에 묻게 되어 제거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말세제의 사용 시 적정량을 담을 수 있게 상, 하의 체적이 다르게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에 가변 폭을 갖는 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분말세제의 적정량을 체적에 따라 판단하기 편리하고 서로 다른 폭으로 손잡이에 대향되게 형성된 홈은 계량스푼을 보관하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 하의 체적이 다른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에 가변 폭을 갖는 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달성되며 특히 몸체의 상단에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손잡이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계량 스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돌기
20 : 손잡이 21 : 홈
22 : 리브 23 : 내부공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의 평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양 측 끝단에 대칭되게 형성된 돌기(11)와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의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의 사시도를 나타낸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각각 다른 체적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대칭되게 형성된 돌기(11)와 상기 몸체(10)와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끝단이 원형으로 형성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끝단에 형성된 원형에 대향되게 가변 폭을 갖는 홈(21)이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과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의 A - A선 단면도로써,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된 몸체(10)와 이 몸체(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손잡이(20)와 이 손잡이(20)의 저면 중앙으로 몸체(10)와 일체로 보강 리브(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의 사용상태도로 경사지게 하부로 다단 절곡된 내부공간(23)에 필요한 만큼의 분말세제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세탁 시 세탁물의 양과 물의 양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분말세제용 계량스푼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 하의 체적이 다르게 상부에서 하부로 다단 절곡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대칭되게 형성된 돌기와 가변 폭의 홈이 형성된 손잡이를 실시함으로써, 체적에 맞는 양을 기준으로 하여 적정량을 판단할 수 있고, 종래에 분말세제가 습기나 물에 의해 젖어 굳어지게 되면 몸체의 상단면에 형성된 돌기로 굳은 분말세제를 떼어내어 사용이용이하고 스푼의 보관 시 일반적으로 박스내부에 넣어 보관하던 것을 가변 폭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2)

  1. 계량부 및 상기 계량부의 일측에 연결된 손잡이부(20)로 이루어진 분말세제용 스푼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 양측에 상이한 폭의 걸림홈(21)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세제용 계량스푼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의 좌우 상단에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돌기(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세제용 계량스푼"
KR2019980020401U 1998-10-19 1998-10-19 분말세제용계량스푼 KR200261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401U KR200261926Y1 (ko) 1998-10-19 1998-10-19 분말세제용계량스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401U KR200261926Y1 (ko) 1998-10-19 1998-10-19 분말세제용계량스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629U KR20000008629U (ko) 2000-05-15
KR200261926Y1 true KR200261926Y1 (ko) 2002-05-13

Family

ID=6951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401U KR200261926Y1 (ko) 1998-10-19 1998-10-19 분말세제용계량스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655A (ko) 2022-06-21 2023-12-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단백질 측정 스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655A (ko) 2022-06-21 2023-12-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단백질 측정 스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629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865A (en) Measuring scoop with molded reusable fit clip
US6276554B1 (en) Paint tray with holding means ensuring improved stability
US8991659B2 (en) Compartmentalized laundry caddy for dispensing dosed volumes
JP2007068945A (ja) 流し台排水口用洗浄ブラシ
KR200261926Y1 (ko) 분말세제용계량스푼
WO2000020676A1 (en) Improved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NZ247711A (en) Soap powder carton having a lid with a recessed cavity to enable the grasping of a measuring scoop handle
US3433383A (en) Laundry carryall or totebasket
JP2006111294A (ja) スプーン付き容器
JP2001336965A (ja) 洗剤用計量スプーン
KR200184337Y1 (ko) 분말세제 계량용 종이 스푼
KR0132657Y1 (ko) 분말세제용 스푼
KR790001985Y1 (ko) 개량 바가지
JP5155050B2 (ja) 計量スプーン
KR200235104Y1 (ko) 수채화용 물통
KR200215107Y1 (ko) 구두약 보관함
KR200393738Y1 (ko) 저장용기 손잡이
KR950005367Y1 (ko) 바가지
JPH0339172Y2 (ko)
JPS5823351Y2 (ja) 洗濯かご
JPS6239163Y2 (ko)
KR860002222Y1 (ko) 계량부가 형성된 분말 또는 액체 용기
KR200176038Y1 (ko) 튜브용기
US3028041A (en) Painting accessory
JP2545355Y2 (ja) 硯石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