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545Y1 -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545Y1
KR200261545Y1 KR2020010029187U KR20010029187U KR200261545Y1 KR 200261545 Y1 KR200261545 Y1 KR 200261545Y1 KR 2020010029187 U KR2020010029187 U KR 2020010029187U KR 20010029187 U KR20010029187 U KR 20010029187U KR 200261545 Y1 KR200261545 Y1 KR 200261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jaw
food
present
fo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재
Original Assignee
임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재 filed Critical 임진재
Priority to KR2020010029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54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제과류등의 식품을 수납 보관함과 아울러, 상,하 적층구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적정 용적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바닥면에 요홈부를 갖는 받침턱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와, 그 하부 몸체의 상부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어 개폐 기능을 가지며 상측에 요홈부의 내부로 압입 결합되도록 끼움턱이 돌출 형성된 상부 뚜껑으로 대별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부 뚜껑과 하부 몸체가 간편하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식품의 수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투명재질의 식품 용기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외관상 디스플레이의 기능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식품 용기{a food case}
본 고안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제과 또는 빙과류의 식품이 수납됨과 아울러, 동일 용기로 상,하 적층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이나 과자 등과 같은 식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판매하고자하는 빵이나 과자의 형태에 따라 대응되는 구조의 용기에 넣어 유통하거나 보관 또는 진열대 상에 놓아 진열 및 판매하고 있다.
종래 제과 또는 빙과류의 식품을 수납하는 식품 용기는 대체로 내부에 빵이나 과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사각함체형, 원통형, 막대형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식품 용기는 소비자 본인이 원하는 내용의 장식이 표현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소비자는 직접 본인이 원하는 장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없도록 일방적으로 장식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통일된 규격 상품보다도 개성과 독창성이 있는 상품을 원하는 현대의 소비생활패턴에 비추어 볼 때, 이와 같은 각종 장식식품에 있어서의 획일적인 장식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에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에 식품을 용이하게 수납함과 아울러, 상,하로 복수개 적층시켜 장식적인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식품 용기 110 : 하부 몸체
112 : 플랜지부 114 : 받침턱
114a : 요홈부 120 : 상부 뚜껑
122 : 고정턱 122a : 단턱
124 : 끼움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적정 용적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 요홈부를 갖는 받침턱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밀폐하며 상측에 상기 받침턱의 내부에 압입 결합되도록 끼움턱이돌출 형성된 상부 뚜껑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내부에 식품이 수납되는 보관기능뿐만 아니라, 복수개를 상호 적층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장식적인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식품의 보관이 가능한 적정 용적의 수납공간을 갖는 하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상부 뚜껑(120)으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 몸체(110)는 그 바닥면에 요홈부(114a)를 갖도록 받침턱(114)이 연장 형성되고, 상부면 테두리에 외측으로 플랜지부(112)가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부 뚜껑(120)은 그 하측 테두리에 내측으로 하부 몸체(110)의 플랜지부(112)와 대응되는 고정턱(122)이 형성되고, 그 상부면 중앙에 하부 몸체(110)의 요홈부(114a)에 대응되는 끼움턱(124)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뚜껑(120)과 하부 몸체(110)는 그 고정턱(122)과 플랜지부(112)의 끼움 결합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끼움턱(124)과 요홈부(114a)의 압입 결합에 의해 상,하로 다른 식품 용기(100)와 적층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하부 몸체(110)의 요홈부(114a)와 상부 뚜껑(120)의 끼움턱(124)이 압입 결합되도록 받침턱(114)의 내경과 끼움턱(124)의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받침턱(114)의 하부 테두리의 내경을 끼움턱(124)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하되, 그 재질 자체가 적정 탄력을 갖는 것을 채용하여 압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식품 용기(100)는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소비자가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부호 '122a'는 고정턱(122)의 내측면에 하부 몸체(110)의 플랜지부(112)와 결합을 위해 돌출 형성된 단턱(122a)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식품 용기(100)를 하나 사용할 경우, 상부 뚜껑(120)을 하부 몸체(110)로부터 이탈시켜 개방킨 후에 하부 몸체(110)의 수납공간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고, 상부 뚜껑(120)을 하부 몸체(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시켜 밀폐시킨 상태로 진열장(미도시됨)등의 장소에 진열하게 된다.
이때, 하부 몸체(110)의 플랜지부(112)는 상부 뚜껑(120)의 고정턱(122)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단턱(122a) 부분을 통과하면서 록킹결합되어 수납공간을 견고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부 몸체(110)의 받침턱(114)은 진열장의 진열대 위에 안착되어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식품 용기(100)를 여러개 적층시키는 경우, 식품이 수납된상태에서 위에서와 같이 상부 뚜껑(120)이 하부 몸체(110)에 결합된 상태로 하나의 식품 용기(100)의 요홈부(114a)에 다른 식품 용기(100)의 끼움턱(124)을 압입시키면, 상,하로 복수개 적층된다.
이때, 끼움턱(124)은 다른 식품 용기(100)의 받침턱(114)의 내부로 적정 압력을 가해 삽입시키면, 끼움턱(124)의 외경부위가 받침턱(114)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압입되는 과정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과류 또는 빙과류등의 식품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용기들을 상,하로 적층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위의 기술적 사상이 가지는 개념과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 식품 용기(100)의 끼움턱(124)과 요홈부(114a)가 상,하면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게 각각 형성하여 상호 측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제과류등의 식품을 수납 보관함과 아울러, 상,하 적층구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상부 뚜껑과 하부 몸체가 간편하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식품의 수납성이 향상된다.
둘째,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투명재질의 식품 용기를 상,하 적층시켜 진열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 디스플레이의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내부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적정 용적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 요홈부(114a)를 갖도록 받침턱(114)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110)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부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밀폐하며 상측에 상기 받침턱(114)의 내부에 압입 결합되도록 끼움턱(124)이 돌출 형성된 상부 뚜껑(12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부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플랜지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뚜껑(120)의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플랜지부(112)에 대응되며 내측면에 플랜지부(112)와 결합을 위한 단턱(122a)이 돌출 형성된 고정턱(122)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KR2020010029187U 2001-09-21 2001-09-21 식품 용기 KR200261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87U KR200261545Y1 (ko) 2001-09-21 2001-09-21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87U KR200261545Y1 (ko) 2001-09-21 2001-09-21 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545Y1 true KR200261545Y1 (ko) 2002-01-24

Family

ID=7310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187U KR200261545Y1 (ko) 2001-09-21 2001-09-21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5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1935A (en) Stackable case assembly
US20040033338A1 (en) Party tray
US7159760B2 (en) Package for delicacies and method for packaging delicacies
US20040040570A1 (en) Cosmetics container
USD525488S1 (en) Condiment kit
USD517318S1 (en) Storage container for packaged collectible items
IE20080346A1 (en) A container
KR200261545Y1 (ko) 식품 용기
EP1007417A1 (fr) Bo te d'emballage pour produits alimentaires
CN200988651Y (zh) 巧克力包装体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US20030150860A1 (en) Structure of top cap for containers
JP3210640U (ja) 玉子型収納構造
KR100302647B1 (ko) 포장용 상자
KR200320633Y1 (ko) 다각김밥 성형용기
KR200220186Y1 (ko)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는 반찬용기
KR200297717Y1 (ko) 장식물 보관케이스
KR200485119Y1 (ko) 식품 포장용기
KR200380068Y1 (ko) 물품포장용기의 콤팩트디스크 수납구조
KR200257014Y1 (ko) 포장용 상자
KR200365580Y1 (ko) 진열대가 내장된 포장용 상자
USD913092S1 (en) Domed lid for a container
KR200354395Y1 (ko)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KR200259314Y1 (ko) 식품용기
KR200301399Y1 (ko) 다수개의 용기가 결합된 통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