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465Y1 -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 Google Patents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465Y1
KR200261465Y1 KR2020010033969U KR20010033969U KR200261465Y1 KR 200261465 Y1 KR200261465 Y1 KR 200261465Y1 KR 2020010033969 U KR2020010033969 U KR 2020010033969U KR 20010033969 U KR20010033969 U KR 20010033969U KR 200261465 Y1 KR200261465 Y1 KR 200261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edge
tape
attached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2020010033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465Y1/ko

Link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앨범에 사진이 첨부되었을 시 앨범 대지간 간격이 이격되지 않아 미관상 수려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내측으로 말려 중첩된 이형지(20)가 부착되는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20)가 중공(26)이 형성되도록 제 1절곡부(22)와 제 2절곡부(24)를 구비하며 내측으로 말려 테이프(10)의 일면 중앙부에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테이프장치를 앨범대지의 테두리에 부착함으로써, 각각의 대지에 사진을 첨부시 각 대지간 간격이 발생하지 않아 미관상 수려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어 매우 유용한 것이다.
또한, 앨범대지의 테두리를 보호함으로써 앨범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테두리가 손상되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버려지는 이형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Tape device for adhesion of album edge}
본 고안은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의 접착부에 이형지를 중첩 부착한 후 대지의 테두리에 부착함으로써, 앨범대지의 테두리를 보호하고 앨범에 사진을 첨부하였을 때 대지간의 간격이 이격되지 않아 미관상 수려하도록 한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다시피 제본식 앨범은 낱장의 대지가 다수개 중첩되어 제본된 채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각의 대지는 합지된 종이로써 동 대지가 여러개 겹쳐서 제본이 되며, 이렇게 제본된 앨범의 대지에는 사진이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앨범의 대지는 손으로 파지하는 테두리 부분이 취약할 수밖에 없어 손상되거나 구겨지는 일이 빈번하였다. 또한, 각각의 앨범 대지에 사진을 부착하면 사진의 두께만큼 각각의 앨범 대지간의 간격이 발생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들이 침투하기가 용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미관손상은 물론 사진의 표면에 긁힘 등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앨범대지의 테두리를 돌출시키는 여러 방안이 고안되었는데, 그 중 앨범대지 테두리의 일부를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대지의 두께만큼의 돌출부가 각각의 앨범 대지에 형성되므로 앨범 전체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불가피하였고 대지의 불필요한 낭비와 작업공수의 발생으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를 대지의 일측에 부착하였던 바, 미관을 훌륭히 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켰지만 이 또한 원하는만큼의 돌출부위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테이프 내측으로의 또 다른 부재 첨가가 불가피하였다. 이에 따라 통상 별도의 비닐지 등을 상기 테이프의 접착부에 부착하여 비닐지와 함께 상기 테이프를 상기 대지의 테두리에 부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별도 부재를 사용함으로 인한 원가상승을 초래하였고, 앨범의 테두리를 돌출시키기 위한 적합한 부재를 선정하기도 난해하였다.
더구나, 상기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의 일면에는 본래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형지로 보호되고 있던 바, 상기 테이프를 사용할 때 상기 이형지를 떼어내 버림으로 해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앨범 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의 일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활용하고, 앨범에 사진이 첨부되었을 시 앨범 대지간 간격이 이격되지 않아 미관상 수려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테이프에서 이형지가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테이프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테이프장치가 앨범의 대지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테이프장치를 앨범의 대지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프 12 : 접착부
20 : 이형지 30 : 대지
50 : 테이프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으로 말려 중첩된 이형지가 부착되는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20)는 중공이 형성되도록 제 1절곡부와 제 2절곡부를 구비하며 내측으로 말려 테이프의일면 중앙부에 부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내측으로 말려 중첩된 이형지(20)가 부착되는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20)는 중공(26)이 형성되도록 제 1절곡부(22)와 제 2절곡부(24)를 구비하며 내측으로 말려 테이프(10)의 일면 중앙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이형지(20)는 상기 테이프(10)에서 분리 후 내측으로 말기 위해서 별도의 공지된 공정인 중첩기(미도시)를 통과함으로써 내측으로 말려 중첩된 채 상기 테이프(10)의 접착부(12)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20)를 대신하여 별도의 재료, 예를 들어 비닐지나 폐지를 원하는 두께만큼 접어서 상기 테이프(10)의 접착부(12)에 부착하여 사용함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 테이프(10)의 이형지(20)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대지(30)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50)는 상기 대지(30)의 테두리를 지칭하는 삼면 즉, 상측, 하측, 외측 모두에 부착될 수도 있고, 이 중 어느 일측의 테두리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테이프(10)의 일면에 부착된 이형지(20)를 활용하고, 앨범의 대지(30)간 간격이 이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하고 대지(30)간 간격발생으로 인해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미관을 훌륭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테이프(10)의 일면 접착부(12)에 부착된 이형지(20)를 떼어낸 후, 내측으로 말아 중첩시켜 다시 상기 테이프(10)의 접착부(12) 중앙부에 접착하여 상기 대지(30)의 테두리에 부착시키면 본 고안의 앨범대지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5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형지(20)는 중공(26)이 형성되도록 제 1절곡부(22)와 제 2절곡부(24)를 구비하여 상기 테이프(10)에 부착되어 상기 대지(30)의 테두리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제 1절곡부(22)와 제 2절곡부(24)가 중첩되어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테이프(10)로부터 상기 이형지(20)를 떼어내고 내측으로 말아 중첩시킨 뒤 다시 상기 테이프(10)의 접착부(12)에 접착시키는 과정은 공지의 장치인 중첩기(미도시)를 사용하면 자동화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형지(20)를 내측으로 말아 중첩시키는 횟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통상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2회 이상 말아 중첩시키는 것이 적당한 돌출부의 형성과 미관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테이프장치(50)는 각각의 앨범대지(30)가 앨범으로 제본되기 전인 낱장상태일 때 대지(30)의 테두리에 부착하여도 되고, 앨범으로써 제본된 후에 각각의 대지(30) 테두리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테이프장치를 앨범대지의 테두리에 부착함으로써, 각각의 대지에 사진을 첨부시 각 대지간 간격이 발생하지 않아 미관상 수려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어 매우 유용한 것이다.
또한, 대지의 테두리를 보호함으로써 앨범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테두리가 손상되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버려지는 이형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으로 말려 중첩된 이형지(20)가 부착되는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20)는 중공(26)이 형성되도록 제 1절곡부(22)와 제 2절곡부(24)를 구비하며 내측으로 말려 테이프(10)의 일면 중앙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KR2020010033969U 2001-11-06 2001-11-06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KR200261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969U KR200261465Y1 (ko) 2001-11-06 2001-11-06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969U KR200261465Y1 (ko) 2001-11-06 2001-11-06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465Y1 true KR200261465Y1 (ko) 2002-01-23

Family

ID=7311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969U KR200261465Y1 (ko) 2001-11-06 2001-11-06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4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1500A1 (en) A Binding Method
KR200261465Y1 (ko) 앨범대지의 테두리 부착용 테이프장치
JP4328270B2 (ja) アルバム
JP2011056781A (ja) 冊子、及びその表紙
JP5030597B2 (ja) 製本方法、製本用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合本
US20100187802A1 (en) Loose leaf pages suitable for binding
KR200166186Y1 (ko) 앨범
KR200278201Y1 (ko) 앨범 대지의 제본 구조
US20050230957A1 (en) Photo album sheet
JP2987550B2 (ja) 製本工程における紙葉の綴じ合わせ方法
KR100309563B1 (ko) 앨범의 제조방법
KR200300423Y1 (ko) 앨범 속지
JP2002019331A (ja) カレンダー帳
KR200172205Y1 (ko) 앨범
KR200164917Y1 (ko) 앨범용대지
KR200191975Y1 (ko) 앨범용 시트 및 앨범
JP2607026Y2 (ja) 壁掛け式カレンダー
KR200172204Y1 (ko) 앨범
EP0696520B1 (en) Book-binding structure
KR200257260Y1 (ko) 앨범대지
KR200261466Y1 (ko) 제본식 앨범의 대지
KR200270582Y1 (ko) 앨범
KR200180064Y1 (ko) 앨범대지
KR20030056488A (ko) 앨범
KR200180065Y1 (ko) 앨범대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