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115Y1 - 가축용 젖병 - Google Patents

가축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115Y1
KR200261115Y1 KR2020010031731U KR20010031731U KR200261115Y1 KR 200261115 Y1 KR200261115 Y1 KR 200261115Y1 KR 2020010031731 U KR2020010031731 U KR 2020010031731U KR 20010031731 U KR20010031731 U KR 20010031731U KR 200261115 Y1 KR200261115 Y1 KR 200261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livestock
bottle body
feed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래
Original Assignee
기한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한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한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1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1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115Y1/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젖병을 직접 잡고 일일이 가축에게 수유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축의 수나 수유 시간에 관계없이 자동 수유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축용 젖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우유가 담아지며 외주면으로 손잡이(16)가 구비된 소정 형상의 병 본체(10)와, 상기 병 본체(10)의 개구부(12) 주연의 받침단턱(14)에 안착됨과 동시에 흡인관(22)이 구비된 고정관체(20)와, 상기 고정관체(20)의 상부로 플렌지(32)가 올려지고 흡유를 위한 연장관(34)이 일체로 형성된 젖꼭지(30) 및 상기 적꼭지(30)를 상기 병 본체(10)의 개구부(12)로부터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 결합되는 캡(40)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병 본체(10)로는 축사에 형성된 병 홀더(6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착탈 자재되는 끼움요구(50)를 형성하여 자동 수유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유시 상기 병 홀더(60)로부터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축용 젖병{A nursing bottle domestic}
본 고안은 어린 젖소나 송아지와 같은 가축에게 수유하기 위한 가축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을 직접 잡고 가축마다 일일이 인위적으로 수유하던 것과는 달리 젖병을 축사에 꽂아 줌으로서 가축의 수나 수유 시간에 관계없이 자동 수유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축용 젖병에 관한 것이다.
어린 젖소의 경우 양질의 우유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료 이외에도 우유를 수유하여 기르고 있는 바, 수유방법에는 젖소가 직접 어미 소의 젓을 빨아먹도록 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젖병을 이용하여 수유하고 있는 데, 특히 전자의 경우에는 어린 젖소의 과다한 자연 수유로 인하여 필요 이상의 우유가 손실되는 문제로 인해 젓의 생산량이 감소하게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관계로 인해 주로 후자의 젖병을 이용한 수유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젖병은 통체의 외부로 단순히 손잡이만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어서 부득이 사육사가 직접 젖병의 손잡이를 잡고 각 가축마다 젖병의 젖꼭지를 물려 일일이 수유하였기 때문에 수유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특히 가축수가 많은 경우 많은 인력의 동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또한 수유 시간의 과다로 인한 수유의 비효율성과 비생산적인 문제가 초래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장시간 젖병을 집적 잡고 먹여야 하는 관계로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수유가 매우 어렵고, 신체 위험의 초래도 전혀 배제할 수 없어 대부분 수유자가 숙련자에 한정된다는 문제가 초래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육사가 일일이 어린 가축을 상대로 우유를 직접 먹이는 것이 아니라축사에 경사 설치된 홀더에 젖병을 꽂아주면 어린 가축이 자연적으로 흡유 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 수유가 가능하도록 한 가축용 젖병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조립 측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자동 수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병 본체 12: 개구부
14: 손잡이 16: 받침단턱
20: 고정관체 22: 우유 배출관
24: 흡인관 30: 젖꼭지
32: 플렌지 34: 연장관
40: 캡 50: 끼움요구
60: 축사에 형성된 병 홀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우유가 담아지며 외주면으로 손잡이가 구비된 소정 형상의 병 본체와, 상기 병 본체의 개구부 주연의 받침단턱에 안착됨과 동시에 흡인관이 구비된 고정관체와, 상기 고정관체의 상부로 플렌지가 올려지고 흡유를 위한 연장관이 일체로 형성된 젖꼭지 및 상기 적꼭지를 상기 병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병 본체로는 축사에 형성된 병 홀더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착탈 자재되는 끼움요구를 형성하여 자동 수유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유시 상기 병 홀더로부터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병 본체는 끼움요구를 중심으로 그 하단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좁아지게 형성하여 상기 병 홀더에 대하여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병 본체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여 상기 축사의 병 홀더에 대하여 끼움요구가 상호 탄력적으로 착탈 자재되도록 구성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수유가 가능한 가축용 젖병(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조립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이 축사의 병 홀더에 장착되는 상태를 예시적이고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병 본체(10)는 개구부(12)를 통해 우유가 담아지며, 그 외주면으로는 수동 수유시나 운반 취급시 잡기 위한 손잡이(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병 본체(10)의 개구부(12) 내주면으로 형성된 받침단턱(16)으로는 고정관체(20)가 안착되는 바, 이 고정관체(20)로는 우유 배출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우유 배출관(22)으로는 병 본체(10)내의 우유를 흡인하기 위한 유연성 재질의 흡입관(24)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병 본체(10)의 바닥부로 배치되는 흡입관(24)으로는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시 우유의 흡인이 가능한 구(球) 형상의 중량체를 매 달아 병 본체(10)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우유의 흡인이 용이하도록 유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2에 확대 도시된 조립 단면도와 같이 병 본체(10)의 개구부(12)와 고정관체(20)로는 우유의 흡인시 병 본체(10)의 진공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소통공(18)(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유시 가축이 입으로 물게되는 젖꽂지(30)는 조립시 고정관체(20)의 상면에 올려지는 플렌지(32)와, 이 플렌지(32)에 대하여 상부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 상태인 연장관(34)으로 이루어지고 이 연장관(34)의 정상부에는 우유의 흡출을 위한 소정 형태의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40)은 병 본체(10)의 개구부(12)로부터 고정관체(20)와젖꼭지(30)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병 본체(10)의 개구부(12)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며, 이의 결합시 젖꼭지(30)의 연장관(34)은 캡(40)의 관통공(42)을 통해 외부로 길게 노출되게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캡(40)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관체(20)와 젖꼭지(30)는 병 본체(10)의 개구부(12)에 밀착 조임되어져 수유시 우유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병 본체(10)의 외주면 둘레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에 형성된 병 홀더(6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착탈 자재되는 끼움요구(5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우유가 든 병 본체(10)를 종래와 같이 사육사가 직접 들고 수유하는 것이 아니라 축사에 설치된 병 홀더(60)에 별도로 꽂아 자동 수유가 가능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가축이 해당 젖병(1)의 젖꼭지(30)를 입으로 물고 빨더라도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병 본체(10)는 도2와 같이 끼움요구(50)를 중심으로 그 하단 외주면이 소정의 경사각(Θ)으로 좁아지게 형성하여 병 본체(10)가 병 홀더(60)에 대하여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한 바, 이는 병 본체(10)의 하단부 둘레 직경이 병 홀더(60)의 내부 둘레 직경보다 적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서 병 본체(1)를 병 홀더(60)에 대하여 위에서 아래로 눌러 꽂을 때 병 홀더(60)에 대한 진입 및 꽂음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병 본체(10)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여 상기 축사의 병 홀더(60)에 대하여 끼움요구(50)가 상호 탄력적으로 착탈자재 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축의 수유시 병 본체(10)가 병 홀더(6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끼움요구(50)가 병 본체(10)의 외주면 보다 직경이 작아지게 내 측으로 요설되어 있기 때문에 끼움요구(5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병 홀더(60)에 대하여 병 본체(10)를 끼우기 위해서는 병 본체(10)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져야만 병 홀더(60)에 대한 착탈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가축의 수유시 젖병(1)이 병 홀더(60)로부터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젖병(1)을 꽂기 위한 축사의 병 홀더(60)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바, 이는 통상 가축의 신체 구조를 감안하여 젖병(1)이 약 45°정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꽂아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는 특정의 기울기에 전혀 구에 받지 않으며, 수유 대상이 되는 가축의 신체 구조에 따라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젖병(1)을 이용하여 가축에게 자동 수유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2와 같이 병 본체(10)내에 우유를 담은 다음 개구부(12)의 받침단턱(16)으로 흡인관(24)이 구비된 고정관체(20)와 젖꼭지(30)의 플렌지(32)를 차례대로 올려놓고 캡(40)으로 나사 결합하되 젖꼭지(30)의 연장관(34)이 외부로 노출되게 조립하여 준다.
그런 다음 병 본체(10)의 손잡이(14)를 잡고 젖병(1)을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된 병 홀더(60)에 대하여 위에서 아래로 눌러 꽂아 설치하면 되는 바, 이 때 젖병(1)은 병 본체(10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끼움요구(50)가 병 홀더(60)에 상호 탄력적으로 꽂아지게 되고, 젖병(1)은 가축의 수유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상태로 병 홀더(60)에 꽂아있게 된다.
따라서 가축은 병 홀더(60)에 경사지게 꽂아진 해당 젖병(1)의 젖꼭지(30)를 입에 물고 병 본체(10)내에 담겨진 우유를 흡유하게 되는 바, 이 때 병 본체(10)내에 담겨진 우유는 가축의 흡유 동작에 따라 흠인관(24)과 고정관체(20)의 우유 배출공(22) 및 젖꼭지(30)의 연장관(34)과 이에 형성된 구멍(36)을 통해 제공되어지며, 흡유시 병 본체(10)와 고정관체(20)로 형성된 공기 소통공(18)(26)에 의해 공기의 소통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원활한 흡유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젖병(1)은 병 본체(10)로 형성된 끼움요구(50)가 축사의 병 홀더(60)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탄성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흡유시 가축이 젖꼭지(30)를 무리하게 빨더라도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수유가 가능하게되는 것이며 수유가 완료되면 다시 빈 젖병(1)을 단순히 병 홀더(60)로부터 분리시켜 회수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수유형 젖병(1)을 이용하여 가축에게 수유하는 경우 젖병(1)을 축사에 형성된 병 홀더(60)에 단순히 꽂아만 주면 자동 수유가 가능한 것이어서 가축의 수나 수유 시간에 전혀 구애받지 않을 뿐 아니라 종래 처럼 젖병(1)을 직접 잡고 가축마다 일일이 수유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젖병(1)은 병 본체(10)로 손잡이(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종래 처럼 수동 수유도 가능하게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 수유가 가능하도록 젖병의 구조가 개선됨으로 인하여 가축의 수나 수유시간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동시 다발적인 수유가 가능하여 인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수유 작업의 높은 효율성을 기대 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병 홀더(60)의 형태는 병 본체(10)의 형태에 맞추어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서 특정의 형태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병 본체(10)로 형성된 끼움요구(50)는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병 본체(10)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상 하부로 복수개 형성하고, 축사의 병 홀더(60)도 이에 맞도록 설치하여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우유의 흡유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액상의 먹이를 병 본체(10)내에 담아 먹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우유가 담아지며 외주면으로 손잡이(16)가 구비된 소정 형상의 병 본체(10)와, 상기 병 본체(10)의 개구부(12) 주연의 받침단턱(14)에 안착됨과 동시에 흡인관(22)이 구비된 고정관체(20)와, 상기 고정관체(20)의 상부로 플렌지(32)가 올려지고 흡유를 위한 연장관(34)이 일체로 형성된 젖꼭지(30) 및 상기 적꼭지(30)를 상기 병 본체(10)의 개구부(12)로부터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 결합되는 캡(40)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병 본체(10)로는 축사에 형성된 병 홀더(6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착탈 자재되는 끼움요구(50)를 형성하여 자동 수유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유시 상기 병 홀더(60)로부터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젖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 본체(10)는 끼움요구(50)를 중심으로 그 하단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좁아지게 형성하여 상기 병 홀더(60)에 대하여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젖병.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 본체(10)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여 상기 축사의 병 홀더(60)에 대하여 끼움요구(50)가 상호 탄력적으로 착탈자재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젖병.
KR2020010031731U 2001-10-17 2001-10-17 가축용 젖병 KR200261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731U KR200261115Y1 (ko) 2001-10-17 2001-10-17 가축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731U KR200261115Y1 (ko) 2001-10-17 2001-10-17 가축용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115Y1 true KR200261115Y1 (ko) 2002-01-19

Family

ID=7311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731U KR200261115Y1 (ko) 2001-10-17 2001-10-17 가축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1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3166B2 (en) 2005-09-13 2011-01-18 Avaya Inc. Method for undetectably impeding key strength of encryption usage for products exported outside the U.S
KR102353502B1 (ko) 2021-07-21 2022-01-20 이안스(주) 송아지용 급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3166B2 (en) 2005-09-13 2011-01-18 Avaya Inc. Method for undetectably impeding key strength of encryption usage for products exported outside the U.S
KR102353502B1 (ko) 2021-07-21 2022-01-20 이안스(주) 송아지용 급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796A (en)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JP2883740B2 (ja) 哺乳瓶
US5105956A (en) Nursing bottle with an extendible nipple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5797505A (en) Debris immune animal feeding nipple
US4010861A (en) Nursing bottle
KR101940684B1 (ko) 젖꼭지 유닛
US20050258124A1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8146759B2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anted vent tube
GB213990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eeding bottles
US5478325A (en) Solution feeder with a nipple
US8720712B1 (en) Feeding bottle
KR200261115Y1 (ko) 가축용 젖병
US4761160A (en) Human milk retrieval system
TWM589054U (zh) 吸乳器及餵食套組
EP0063033A2 (en) Baby bottle liner
US2887239A (en) Nursing bottle
US4633814A (en) Floating calf feeder for feeding calves
RU2420256C2 (ru) Полностью вентилируемая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с широким ободом и профилированным вентиляционным патрубком
EP1297814A1 (en) Thick feed baby teat
US5660359A (en) Device for eliminating air from a nursing bottle
CA2714171C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KR950010266Y1 (ko) 유아용 우유병
JP3021965U (ja) 哺乳瓶
KR200244876Y1 (ko)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