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876Y1 -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876Y1
KR200244876Y1 KR2020010016508U KR20010016508U KR200244876Y1 KR 200244876 Y1 KR200244876 Y1 KR 200244876Y1 KR 2020010016508 U KR2020010016508 U KR 2020010016508U KR 20010016508 U KR20010016508 U KR 20010016508U KR 200244876 Y1 KR200244876 Y1 KR 200244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nipple
milk
sto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호
Original Assignee
이윤
유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 유용호 filed Critical 이윤
Priority to KR2020010016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876Y1/ko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젖꼭지와 마개사이를 이격시키는 별도의 외부스트로우를 구비함으로서 편리하게 우유를 흡입할 수 있는 젖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2)와, 상기 개구(102')에 결합되고 관통구(104a)가 형성된 마개(104)와, 상기 마개(104)의 관통구(104a)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케이스(102) 내부 저면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마개(104)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 스트로우(108,109)와, 상기 스트로우(108,109)의 상단에 결합되는 젖꼭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마개(104)와 이격된 거리에서도 상기 젖꼭지부(120)를 통해 우유를 편리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로우(108,109)의 하단에는 우유의 흡입을 중지할 때 상기 스트로우(108,109) 내의 우유가 하방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 무게추(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상기 스트로우(108,109)를 통해 재차 우유를 흡입할 때 용이하게 우유를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젖병{a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하단은 내부에 담겨진 우유에 잠겨 있고 상단은 마개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스트로우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마개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도 우유를 흡입할 수 있는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젖병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젖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스(2)의 상단부에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우유를 담을 수 있는 개구(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의 형상은 그 횡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에 형성된 개구(2')의 외주면에는 마개(4)가 결합되고, 상기 마개(4)의 중심부에는 관통구(4a)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4)의 상단부에는 젖꼭지(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4a)의 하부에는 스트로우(8)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담긴 우유에 그 하단이 잠기고 상단이 상기 관통구(4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우(8)의 하단에는 무게추(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무게추(10)의 자중에 의해 항상 상기 스트로우(8)의 하단을 상기 케이스(2)내부의 우유에 잠기게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젖병의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유아가 입으로 상기 젖꼭지(6)를 물고 흡입하게 되면 상기 스트로우 (8)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스트로우(8)의 하단으로부터 흡입된 우유는 상기 젖꼭지(6)를 향해 빨려 올라가게 된다.
한편, 상기 스트로우(8)의 하단에 장착된 무게추(10)는 상기 하단을 항상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우유에 잠기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무게추(10)는 자중에 의해 항상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2)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면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우유도 자중에 의해 하부에 모이기 때문에, 상기 무게추(10)는 항상 우유에 잠기게 되어 상기 무게추(10)가 장착된 스트로우(8)의 하단도 항상 우유내부에 잠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젖병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 된다.
첫째, 상기 젖꼭지(6)가 상기 마개(4)의 상단부에 직접 부착되어 있으므로상기 젖꼭지(6)를 통해 우유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2)를 손으로 계속 잡고 있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밤에도 수시로 유아에게 우유를 먹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를 계속해서 잡고 우유를 먹여야 한다는 것은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스트로우(8)의 하단을 통해 흡입된 우유는 상기 젖꼭지(6)로부터 입을 떼는 순간 상기 스트로우(8) 내부에 흡인력이 상실되어 상기 스트로우(8)의 내부로부터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역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가 상기 젖꼭지(6)로부터 입을 떼었다가 다시 젖꼭지(6)를 통해 우유를 흡입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스트로우(8)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젖꼭지(6)까지 우유를 다시 흡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선 상기 케이스를 잡고 있지 않고서도 상기 젖꼭지를 통해 용이하게 우유를 흡입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젖꼭지로부터 입을 떼더라도 상기 스트로우내에 우유가 역류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갖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젖병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바라 본 무게추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에 있어서, 젖꼭지를 마개에 직접 결합한 형상을 보여주는 바람직한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에 있어서, 케이스를 기울였을 경우의 형상을 보여주는 바람직한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젖병에 있어서, 젖꼭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젖꼭지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케이스 102' : 개구
104 : 마개 104a : 관통구
106a : 돌출부 108 : 내부스트로우
109 : 외부스트로우 120 : 젖꼭지부
122 : 젖꼭지 122' : 원통관
124 : 입마개 126 : 젖꼭지 세척용마개
126' : 수유관 200 : 무게추
210 : 상반추 212 : 통구
212' : 입구 220 : 하반추
220' : 흡입구 222 : 수용홈
224 : 차단구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우유를 담을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결합되고 관통구가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 저면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마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 스트로우와,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에 결합되는 젖꼭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를 잡고 있지 않고서도 상기 젖꼭지를 통해 우유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우는 상기 마개의 관통구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설치되는 내부 스트로우와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상기 내부스트로우와 결합되는 외부스트로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로우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을 항상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트로우를 굽히는 무게추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담긴 우유 내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젖꼭지를 통해 우유를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상기 스트로우와 연결되며 그 입구가 하부면의 지름방향으로 장형인 통구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과 결합되는 상반추와, 상기 상반추와 결합되며 그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내로 우유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갖는 하반추와,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하고 우유가 흡입 시 상기 입구의 일부에 걸리고 우유가 흡입되지 않을 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차단하는 차단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아가 상기 젖꼭지로부터 입을 떼면, 상기 차단구가 상기 흡입구를 차단하게 되므로 상기 스트로우내에 우유가 그대로 유지되어 다시 상기 젖꼭지를 통해 우유를 흡입할 때 용이하게 흡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젖꼭지부는 젖꼭지와 상기 젖꼭지에 착탈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과 연결되는 수유관을 구비한 젖꼭지세척용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젖꼭지세척용마개를 탈거시킨 체 상기 젖꼭지의 내면을 용이하가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젖꼭지부에는 상기 젖꼭지가 입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입마개가 더욱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구성에 관해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부에 우유를 담을 수 있는 케이스(102)의 상단부에는 개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02')의 외주면에는 마개(10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마개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기공 (10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마개(104)에는 관통구(104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관통구 (104a)는 상기 마개(104)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2) 내부에 담겨진 우유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트로우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관통구(104a)의 상단부에는 외부스트로우(109)의 하단(109a)이 끼워져 있고, 상기 관통구(104a)의 하단부에는 내부스트로우(108)의 상단(108a)이 끼워져 있다.
그러나, 상기 관통구(104a)에 끼워지는 스트로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04a)를 관통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외부스트로우(109)의 상단(109b)에는 젖꼭지부(1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젖꼭지부(120)는 젖꼭지(122)와 상기 젖꼭지(122)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유아가 상기 젖꼭지를 빨때 상기 젖꼭지가 유아의 입안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입마개(124)와 상기 젖꼭지(122)에 착탈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젖꼭지(122)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젖꼭지세척용마개(1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젖꼭지(122)의 상단부에는 수유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수유공(122')을 통해 상기 젖꼭지(122)의 내부공간을 지난 우유가 유아의 입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젖꼭지세척용마개(126)에는 상기 외부스트로우(109)의 상단(109b)과 일단이 결합되는 수유관(126')이 상기 젖꼭지세척용마개(126)를 관통하여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유관(126')의 일단은 상기 관통구(104a)에 직접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104a)의 지름보다 작게 그 지름을 결정한다.
한편, 상기 내부스트로우(108)와 외부스트로우(109)의 재질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스트로우(108)와 외부스트로우(109)가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젖꼭지부(120)를 사용하기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무게추(200)의 자중이 용이하게 상기 내부스트로우(108)를 휘게하여 상기 내부스트로우(108)의 하단이 상기 케이스(102)내에 담긴 우유에 잠기도록 해준다.
그리고, 상기 내부스트로우(108)의 하단(108b)에는 무게추(200)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상기 무게추(200)는 상반추(210)와 하반추(2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반추(210)와 상기 하반추(220)는 각각 그 횡단면이 원형의 형상이지만, 그 횡단면이 다각형 형상의 변형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상반추(21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구의 하부면에는 장형의 입구(212')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입구(212')는 상기 반구의 하부면에 소폭을 가지며 그 지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구(212')의 내부에는 그 종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통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통구(212)의 형상은 상기 입구(212')를 통해 유입되는 우유가 상기 통구(212)를 통해 상기 내부스트로우(108)내로 유입될 수만 있다면 그 형상은 어떠한 경우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상반추(210)와 상기 하반추(220)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반추(220)의 일측에는 흡입구(2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수용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22)은 상기 하반추(220)의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공간으로 상기 흡입구(220')를 통해 흡입된 우유가 상기 통구(212)의 입구(212')로 흘러들기 전에 거치는 공간이다.
그러나, 상기 수용홈(222)의 형상은 상기 상반추(210)와 하반추(220)의 형상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반추(210)와 상기 하반추(220)가 다각형을 이루고 있다면, 상기 수용홈(222)은 다각형 형상의 공간으로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홈(222)의 내부에는 차단구(224)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차단구(224)는 구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차단구(224)의 단면적은 상기 흡입구(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차단구(224)가 상기 흡입구(220')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구(224)의 지름은 상기 통구(212) 입구(212')의 소폭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차단구(224)가 상기 입구(212')내로 삽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통구(212) 입구(212')의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시켜 상기 차단구(224)가 상기 입구(212) 전체를 차단하지는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A방향을 기준으로 한 무게추(2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220')의 내부에 차단구(224)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차단구(224)의 내측에는 장형의 입구(212')가 구비된 통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구(212)의 내측에는 내부스트로우(미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에 있어서 상기 외부스트로우(미도시)를 제거하고 상기 젖꼭지부(120)를 직접 상기 관통구(104a)의 상단부에 끼운 변형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상기 케이스(2)를 기울였을 시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무게추(20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에 담긴 우유내에 항상 잠기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젖꼭지부에 있어 상기 젖꼭지세척용마개를 분리시킨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젖꼭지(122)의 하단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체 개구되어 있는 원통관(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젖꼭지세척용마개 (126)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통관(122')의 암나사산과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아가 우유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통관(122')에 상기 세척용마개(126)가 결합되어 있지만, 상기 젖꼭지(122)의 내면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원통관(122')으로부터 상기 세척용마개(126)를 분리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상기 젖꼭지(122)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젖꼭지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젖꼭지(122)의 측방에는 입마개(124)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입마개는 유아가 상기 젖꼭지(122)유아의 입주위에 걸릴 수 있는 넓은 면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입마개(124)는 상기 젖꼭지(122)를 빨며 우유를 흡입할 때 지지체의 역할을 하여 용이하게 우유를 흡입할 수 있게 할 뿐만아니라 상기 젖꼭지 (122)가 유아의 입속으로 삽입되어 호흡을 곤란하게 함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부모가 유아에게 상기 젖꼭지(122)를 물리는 경우 부모는 상기 케이스(102)를 손으로 굳이 잡고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케이스(102)를 세워둔 체 상기 젖꼭지(122)만을 상기 케이스(102)의 마개(104)로부터 이격시켜 유아에게 물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유아가 상기 젖꼭지부(120)를 물고 빨게 되면, 상기 내외부 스트로우(108,109)의 내부에는 흡입력이 생기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력은 상기 통기공을 통해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서 원활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무게추(200)의 흡입구(220')를 통해 우유가 상기 무게추(200)의 수용홈(222)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222)내의 차단구(224)는 우유의 유입과 동시에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통구(212)의 입구(212')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차단구(224)는 상기 입구(212')의 전체를 차단하지 못하게 됨으로 우유는 상기 입구(212')를 통해 상기 통구(212)로 유입되고 다시 내외부 스트로우(108,109)를 통해 젖꼭지부(120)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유아가 상기 젖꼭지(122)로부터 입을 떼면 상기 내외부 스트로우 (108,109)내의 흡입력이 상실되어 상기 내외부 스트로우(108,109)내의 우유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200)의 수용홈(222)내에 삽입되어 있는 차단구(224) 역시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흡입구(220')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외부 스트로우(108,109)내에 유입된 우유는 더 이상 하부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내외부 스트로우(108,109)내에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젖꼭지(122)를 통해 우유를 재 흡입하게 되면, 상기 내외부 스트로우(108,109)내에 유지된 우유가 그대로 빨리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2)를 기울였을 경우 상기 무게추(200)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해 항상 우유에 잠기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젖꼭지(122)의 내면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젖꼭지부 (120)를 상기 외부스트로우(109)의 상단(109b)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세척용마개(126)를 상기 원통관(122')으로부터 탈거시켜 용이하게 상기 젖꼭지 (122)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젖병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상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스트로우의 하단을 마개의 관통구에 결합시키고 상기 외부스트로우의 상단에 젖꼭지를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마개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도 상기 젖꼭지를 통해 우유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외부스트로우에 의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젖꼭지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상기 젖꼭지를 통해 우유를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째, 상기 외부 스트로우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상기 젖꼭지를 빨 수 있는 각도에 제한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네째, 상기 젖꼭지로부터 입을 뗀 경우라도 상기 차단구에 의해 흡입구가 차단되게 됨으로 상기 스트로우내에 유입된 우유가 그대로 스트로우내에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유연한 재질의 상기 내부스트로우와 상기 내부스트로우의 하단에 자중을 받는 무게추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케이스의 기울어진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무게추가 상기 케이스내에 담긴 우유에 항상 잠기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젖꼭지와 착탈되는 별도의 세척용마개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젖꼭지의 내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젖꼭지부에는 별도의 입마개가 형성되어 유아가 상기 젖꼭지를 빨때 상기 젖꼭지가 입안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젖꼭지부를 상기 외부스트로우의 상단으로 부터 분리했을 경우에는 상기 젖꼭지부를 공갈젖꼭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6)

  1. 우유를 담을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결합되고 관통구가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 저면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마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 스트로우와;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에 결합되는 젖꼭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는,
    상기 마개의 관통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설치되는 내부 스트로우와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상기 관통구와 결합되는 외부스트로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로우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을 항상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트로우를 굽히는 무게추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담긴 우유 내에 항상 존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스트로우와 연결되며 그 입구가 하부면의 지름방향으로 장형인 통구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과 결합되는 상반추와;
    상기 상반추와 결합되며 그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내로 우유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갖는 하반추와;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하고, 우유를 흡입 시 상기 입구의 일부에 걸리고 우유를 흡입하지 않을 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차단하는 차단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부는,
    젖꼭지와,
    상기 젖꼭지에 착탈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과 연결되는 수유관을 구비한 젖꼭지세척용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부에는 상기 젖꼭지가 입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입마개가 더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KR2020010016508U 2001-06-02 2001-06-02 젖병 KR200244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508U KR200244876Y1 (ko) 2001-06-02 2001-06-02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508U KR200244876Y1 (ko) 2001-06-02 2001-06-02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876Y1 true KR200244876Y1 (ko) 2001-10-17

Family

ID=7310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508U KR200244876Y1 (ko) 2001-06-02 2001-06-02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8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3168A1 (en) * 2003-12-31 2005-07-14 Kyo Hoon Ahn Thermosensitive color changeable baby bottle and air valve for su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3168A1 (en) * 2003-12-31 2005-07-14 Kyo Hoon Ahn Thermosensitive color changeable baby bottle and air valve for su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3740B2 (ja) 哺乳瓶
US5570796A (en)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20090039046A1 (en) Sucker for drinking purposes
US4754887A (en) Nursing bottle with a check valve
KR20090010114A (ko) 우유병에 끼우는 젖꼭지
GB2067416A (en) Feeding device
KR200244876Y1 (ko) 젖병
GB2297317A (en) Feeder of baby's bottle type
US10932991B2 (en) Feeding bottle
RU2420256C2 (ru) Полностью вентилируемая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с широким ободом и профилированным вентиляционным патрубком
EP1297814A1 (en) Thick feed baby teat
KR101524413B1 (ko) 젖병
RU2806665C2 (ru) Соск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емкостью для вмещения жидкости
KR200261115Y1 (ko) 가축용 젖병
RU2806665C9 (ru) Соск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емкостью для вмещения жидкости
CN210056830U (zh) 一种不倒冲不漏奶不易损坏的奶嘴
CN214484131U (zh) 防误吸一口量饮水杯
CN218606053U (zh) 吸管和吸管杯
KR100623902B1 (ko) 약 먹이는 젖병
CN217724124U (zh) 一种防呛防胀气ppsu奶瓶
JPH0731788Y2 (ja) 哺乳瓶
TWM638414U (zh) 多孔滴管改良結構
KR850000904Y1 (ko) 유아용 젖병
KR200287994Y1 (ko) 통기성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