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681Y1 -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 Google Patents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681Y1
KR200260681Y1 KR2020010031696U KR20010031696U KR200260681Y1 KR 200260681 Y1 KR200260681 Y1 KR 200260681Y1 KR 2020010031696 U KR2020010031696 U KR 2020010031696U KR 20010031696 U KR20010031696 U KR 20010031696U KR 200260681 Y1 KR200260681 Y1 KR 200260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tructure
formwork
hydraulic cylinder
interna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홍
Original Assignee
삼목정공주식회사
이희규
윤석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정공주식회사, 이희규, 윤석홍 filed Critical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1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681Y1/ko

Links

Landscapes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구조물의 내부시공면에 용이하게 설치 및 탈형할 수 있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관한 것으로,
박스구조물의 사방면에 대응하는 내부거푸집패널이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성형틀과, 상기 내부거푸집패널의 내측면 상하부에 수평으로 배설되는 고정바를 가지는 내부거푸집과;
상기 성형틀의 내측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다수개의 체결부를 가지는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너클조인트를 통해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아암을 가지는 내부거푸집 폭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내부거푸집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내부거푸집의 설치 및 탈형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굳이 내부거푸집에 들어가지 않고도 내부거푸집 설치 및 탈형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고 작업인력의 감소로 보다 경제적으로 박스구조물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The system-form for making a box-structure}
본 고안은 건축물 공사 시에 요구되는 박스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내부거푸집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박스구조물의 내부시공면에 용이하게 설치 및 그 내부시공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형할 수 있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이나 항만용 호안 등의 공사에 있어서는 필수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기 운행공간이나 굴뚝, 호안블럭, 공동구 등의 박스구조물의 시공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박스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하여 축조구역 내,외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콘크리이트를 부어서 해당 축조구역의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각 층간 슬래브를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시공하여 왔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법은 내부거푸집을 시공하기 위하여 낱장의 내부거푸집패널을 일일이 설치하고 또한 박스구조물의 모서리부에 상기 패널들을 직각으로 맞물리게 조립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반면 작업능률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음 층의 박스구조물 성형을 위해서 설치된 내부거푸집을 해체하고 상기와 같은 작업을 다시 반복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특히 작업자가 좁은 작업공간 안에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부거푸집의 설치 및 탈형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 1a와 같은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도 1a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1)은 내부거푸집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의 내부거푸집(2)을 구비하고 있어 작업자가 이를 일일이 연결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b에서와 같이, 내부거푸집(2)의 중앙에, 내부거푸집(2)의 각 내측면과 연결되는 연결간(3)들이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송체(4)와, 상기 이송체(4)가 상하부에 부착된 스크류봉(5)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스크류봉(5)의 회전에 의한 이송체의 이동에 따라 연결간(3)의 경사를 조정하여 연결간(3) 일측에 연결된 내부거푸집(2)을 탈형시킬 수 있으므로 내부거푸집(2)의 설치 및 탈형이 간편한 이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은 내부거푸집(2)의 탈형수단으로 이용되는 스크류봉(5)의 회전을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시스템폼 내부에 들어가서 상기 스크류봉(5)에 부착된 회전손잡이(6)를 돌려야 했으므로 작업이 힘들고 불편하였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시스템폼 내부에 복잡하게 배치된 연결간(3)이나 회전손잡이(6) 등의 돌출부에 부딪칠 염려가 있어 작업안전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의 탈형수단을 유압실린더로 대치하여 거푸집 외부에서 손쉽고 안전하게 내부거푸집의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을 예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의한 종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이 박스구조물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의 내부거푸집 폭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이 박스구조물에서 탈형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5a는 도 2의 A부의 부분확대도,
도 5b는 도 4의 A'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내부거푸집, 11...내부거푸집패널,
12...철판, 13...성형틀
14...너클조인트, 15...고정바,
16...앵글, 17...보강부재,
20...내부거푸집 폭조절수단. 21...유압실린더,
22...유압실린더 호스, 23...이송체,
24...체결부, 25...연결아암,
30...외부거푸집, 31...연결부재,
40...콘크리이트, 100...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상기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은, 박스구조물의 사방면에 대응하는 내부거푸집패널이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성형틀과, 상기 내부거푸집패널의 내측면 상하부에 수평으로 배설되는 고정바를 가지는 내부거푸집과;
상기 성형틀의 내측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다수개의 체결부를 가지는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너클조인트를 통해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아암을 가지는 내부거푸집 폭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틀의 외측에는 탄성철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이 박스구조물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의 내부거푸집 폭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본 고안에 따른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이 박스구조물에서 탈형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A부, 즉 내부거푸집의 모서리부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5b는 도 4의 A'부, 즉 내부거푸집의 탈형시의 모서리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내부거푸집은 이미 시공된 박스구조물의 상부에 연결되는 새로운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을 성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3)은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내부거푸집패널(11)이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체의 몸체를 가지며, 박스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하여 외부거푸집(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거푸집과 연결부재(31)로 연결된다.
성형틀(13)의 외측면은 철판(12)으로 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내부거푸집패널(1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철판(12)은 내부거푸집(10)의 탈형 시에 휘어질 수 있는 탄성철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거푸집패널(11)의 양 측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내부거푸집패널(11)은 내부거푸집(10)이 탈형될 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서로 일정간격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내부거푸집패널(11) 내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고정바(15)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15)의 양측단에는 너클조인트(14)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내부거푸집패널(11)과 상기 고정바(15)는 앵글(16)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바의 양단부와 내부거푸집패널 사이에는 보강부재(17)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거푸집(10)의 중앙에는 유압실린더호스(22)가 연결된 유압실린더(21)가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2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이송체(23)가 각각 결합된다. 이송체(23)의 외주에는 다수개의 체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24)에는 그 수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연결아암(25)이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체결부(24)와 연결아암(25)은 요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아암(25)의 다른 일단은 상기 내부거푸집(10)의 고정바(15)에 부착된 너클조인트부(14)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타워크레인이나 기타 장비로 본 고안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100)을 들어올려 외부거푸집(30)의 내부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시스템폼(100)의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 (30)사이에 콘크리이트(40)를 부어 박스구조물을 성형한다.
콘크리이트(40)가 양생되어 구조물이 완성된 뒤에 내,외부거푸집(10,3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1)를 제거하고 유압실린더 작동장치(예를 들어 유압펌프)를 작동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 작동장치에 유압실린더호스(22)로 연결된 유압실린더(21)가 상하부로 이동된다. 즉 유압실린더(21) 상부의 이송체(23)는 하부로 이동하고 이와 연결된 연결아암(25)의 경사는 아래로 기울어지게 되며, 유압실린더(21) 하부의 이송체(23)는 상부로 이동하고 그와 연결된 연결아암(25)의 경사는 위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아암(25)이 부착된 내부거푸집패널(11)들은 내측으로의 인장력을 받게 되어 결국 도 4와 같이 박스구조물의 내부시공면에서 탈형된다.
도 5a에서 보여지듯, 최초 설치상태에서는 서로 일정간격 만큼 떨어져 있던 내부거푸집패널(11)들이, 내부거푸집(10)의 탈형상태를 나타내는 도 5b에서는 내측으로의 인장력을 받아 거의 접근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부거푸집패널(11)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철판 역시 내측으로의 인장력을 받게 되고, 도면과 같이 그 모서리부 근처로 갈수록 많이 휘어지게 되어 결국 내부거푸집(10) 전체가 박스구조물의 내부시공면으로부터 탈형된다.
탈형된 상기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100)은 타워크레인이나 기타 장비로 끌어올려 다음 층의 박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은 내부거푸집 외부의 유압실린더 작동장치를 통한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내부거푸집의 폭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내부거푸집을 탈형할 수 있어 내부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굳이 내부거푸집에 들어가지 않고도 내부거푸집 설치 및 탈형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고, 작업인력을 줄일 수 있어 보다 경제적으로 박스구조물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박스구조물의 사방면에 대응하는 내부거푸집패널(11)이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성형틀(13)과, 상기 내부거푸집패널의 내측면 상하부에 수평으로 배설되는 고정바(15)를 가지는 내부거푸집(10)과;
    상기 성형틀의 내측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된 유압실린더(21)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다수개의 체결부(24)를 가지는 이송체(23)와, 상기 이송체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너클조인트(14)를 통해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아암(25)을 가지는 내부거푸집 폭조절수단(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13)의 외측에는 탄성철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20010031696U 2001-10-17 2001-10-17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0260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96U KR200260681Y1 (ko) 2001-10-17 2001-10-17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96U KR200260681Y1 (ko) 2001-10-17 2001-10-17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681Y1 true KR200260681Y1 (ko) 2002-01-16

Family

ID=7311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696U KR200260681Y1 (ko) 2001-10-17 2001-10-17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6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22B1 (ko) * 2008-11-20 2011-09-29 (주)대우건설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박스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22B1 (ko) * 2008-11-20 2011-09-29 (주)대우건설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박스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2463U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200260681Y1 (ko)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CN111424968A (zh) 扶壁柱筒仓的滑模施工法
KR200479355Y1 (ko) Psc 박스거더의 스트럿 설치구간에 사용되는 거푸집
CN112140290B (zh) 一种预制桥面板浇筑方法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321886B1 (ko) 탈착기능을 갖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0405414Y1 (ko) 각형 구조체 타설용 내부거푸집
KR200354531Y1 (ko) 강관써포트용 받침판
CN206957201U (zh) 清水混凝土华夫板结构孔内早拆模
KR200265793Y1 (ko)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KR200163856Y1 (ko) 조립식아치형구조물
CN111622495A (zh) 电梯井筒模机构以及电梯井浇筑方法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200257250Y1 (ko)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장치
CN209364921U (zh) 一种空心楼盖装配箱的模具
CN213859850U (zh) 一种预制桥面板钢模支撑装置
KR20010107166A (ko)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0246015Y1 (ko) 건축용 박스구조물 성형 폼
KR100292219B1 (ko) 박스구조물성형용 시스템폼
KR200196836Y1 (ko) 배근된 철근의 지지구
KR200264188Y1 (ko) 승강기용 공동부 벽체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
KR10191518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줄눈 형성부재
KR100336710B1 (ko) 보강철근이 부착된 데크플레이트(합성데크)를 사용한슬래브 벽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용 인코너 조립장치 및아웃코너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