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965Y1 -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 Google Patents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965Y1
KR200259965Y1 KR2020010031226U KR20010031226U KR200259965Y1 KR 200259965 Y1 KR200259965 Y1 KR 200259965Y1 KR 2020010031226 U KR2020010031226 U KR 2020010031226U KR 20010031226 U KR20010031226 U KR 20010031226U KR 200259965 Y1 KR200259965 Y1 KR 200259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light
switc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윤
Original Assignee
박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윤 filed Critical 박종윤
Priority to KR2020010031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965Y1/ko

Link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텀블러 스위치의 온상태나 오프상태를 나타낸기 위하여 발광체를 전구가 아닌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발광수명을 연장하며 변환체에 산란부를 형성하거나 스위치케이스에 투명엑폭시를 충진하여 빛을 확산을 효율적으로 하여 발광의 효과를 향상시키 수 있는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다수의 연결단자가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수용홈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의 저면에는 접속단자를 형성한 고정케이스의 수용홈 내측으로 접속편을 수용하고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상측으로는 수용벽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수용하고 발광다이오드의 외측에 투명엑폭시수지를 충진하여 온 또는 오프시 접속단자에 접속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상측으로는 커버되는 변환체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의 확산을 위하여 확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발광체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발광체를 발광다이오드로 대체하고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확산부와 확산용 투명엑폭시를 사용하므로서 식별력을 우수하게 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LUMINESCENCE STRUCTURE OF TUMBLER SWITCH}
본 고안은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텀블러 스위치의 온상태나 오프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발광체를 전구가 아닌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발광수명을 연장하며 변환체에 산란부를 형성하거나 스위치케이스에 투명엑폭시를 충진하여 빛을 확산을 효율적으로 하여 발광의 효과를 향상시키 수 있는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란 전기기를 인가시키거나 끊는 기구로서 보통은 30A 이하의 개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푸시 버튼 스위치, 회전스위치, 나이프스위치, 변환스위치, 텀블러 스위치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와같은 스위치중 텀블러 스위치는 변환체를 상하로 젖힘으로써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기로서 저압의 옥내 배선로에 사용된다.
상기의 텀블러 스위치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0은 고정케이스, 11은 접속단자, 12는 수용홈, 13은 연결단자, 20은 접속편, 30은 스위치케이스, 31은 탄력스프링, 32는 중심축, 33은 발광전구, 34는 전구수용홈, 40은 변환체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텀블러 스위치는 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10)의 중앙에는 저면에 접속단자(11)가 형성된 수용홈(1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기기의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편(11)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다수의 연결단자(13)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고정케이스(10)의 수용홈(12)에는 좌우측의 시소운동에 의하여 단락되는 접속편(2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2)의 내측에 수용되어 접속편의 단락시켜주는 스위치케이스(30)를 수용한다.
이러한 스위치케이스(30)는 일측의 연결단자(13)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30)를 탄설하도록 탄력스프링(31)에 의해 형성되고 중앙에는 시소운동의 중심축(32)이 탄설되어 접속편(20)의 중앙에 접촉한 상태에서 시소운동을 하게된다.
또한 상측에는 발광전구(33)를 수용하는 전구수용홈(34)을 형성하여 상기 전구수용홈(34)에 형성된 발광전구(33)가 스위치케이스의 시소운동에 점등 및 소등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30)의 상측 전구수용홈(34)의 외측을 커버하며 발광전구(33)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하는 변환체(40)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수용홈(12) 전후방 중앙에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형성된다.
이러한 텀블러 스위치는 변환체(40)를 온의 위치로 누르면 접속편(20)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접속되며 오프위치로 이동시키면 접속이 끊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때 발광전구(33)는 단자의 위치에 따라 온상태에 발광할 수 도 있으며 오프상태에 발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텀블러 스위치는 발광되는 수단이 전구로 형성되어 있어 전구의 수명이 짧아 여러가지 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발광상태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했으며 변환체나 스위치케이스에 발광전구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보조수단이 없어 변환체 내부에서 발산되는 빛의 확산이 미비하여 식별이 잘 않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광체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로 대체하고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확산부와 확산용 투명엑폭시를 사용하므로서 식별력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연결단자가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수용홈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의 저면에는 접속단자를 형성한 고정케이스의 수용홈 내측으로 접속편을 수용하고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상측으로는 수용벽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수용하고 발광다이오드의 외측에 투명엑폭시수지를 충진하여 온 또는 오프시 접속단자에 접속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상측으로는 커버되는 변환체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의 확산을 위하여 확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텀블러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케이스 11 : 접속단자
12 : 수용홈 13 : 연결단자
20 : 접속편 30 : 스위치케이스
31 : 탄력스프링 32 : 중심축
33 : 발광전구 34 : 전구수용홈
35 : 수용벽 36 : 투명엑폭시
40 : 변환체 41 : 확산부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는 전자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10)의 하측으로는 다수의 연결단자(13)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저면에 접속단자(11)가 형성된 수용홈(12)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수용홈(12) 내측으로 접속편(20)을 수용하고 상기 스위치케이스(30)의 상측으로 발광다이오드(50)를 수용하여 온 또는 오프시 접속단자(11)에 접속되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은 텀블러 스위치의 상기 스위치케이스(30)의 상측으로는 커버되는 변환체(4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50)에서 발광되는 빛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하기위하여 다수의 굴곡이 형성된 확산부(41)를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위치케이스(30)의 일측에 수용벽(35)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50)를 수용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50)의 외측으로 투명엑폭시(36)를 충진시켜 발광다이오드(50)의 발광시 확산의 효과를 높여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가정용 벽체등에 사용되는 텀블러 스위치는 오프의 위치에서 발광다이오드가 접속되어 발광하도록 형성하고 다른 전기기기에서는 온의 위치에서 접속되어 발광하도록 형성하되 발광체를 발광다이오드로 사용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였으며 변환체(40)의 확산부(41)나 투명엑폭시수지(36)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의 빛의 확산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발광체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발광체를 발광다이오드로 대체하고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확산부와 확산용 투명엑폭시를 사용하므로서 식별력을 우수하게 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연결단자(13)가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수용홈(11)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의 저면에는 접속단자(11)를 형성한 고정케이스(10)의 수용홈(12) 내측으로 접속편(20)을 수용하고 상기 스위치케이스(30)의 상측으로 발광다이오드(50)를 수용하여 온 또는 오프시 접속단자(11)에 접속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30)의 상측으로는 커버되는 변환체(4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50)에서 발광되는 빛의 확산을 위하여 확산부(4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케이스(30)의 일측에 수용벽(35)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50)를 수용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50)의 외측으로 투명엑폭시(36)를 충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KR2020010031226U 2001-10-12 2001-10-12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KR200259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226U KR200259965Y1 (ko) 2001-10-12 2001-10-12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226U KR200259965Y1 (ko) 2001-10-12 2001-10-12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965Y1 true KR200259965Y1 (ko) 2002-01-09

Family

ID=7311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226U KR200259965Y1 (ko) 2001-10-12 2001-10-12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9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83B1 (ko) * 2006-10-23 2007-12-24 김동진 판 스프링 구조의 통전판을 갖는 텀블러 스위치
KR200452444Y1 (ko) 2008-02-12 2011-02-28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텀블러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83B1 (ko) * 2006-10-23 2007-12-24 김동진 판 스프링 구조의 통전판을 갖는 텀블러 스위치
KR200452444Y1 (ko) 2008-02-12 2011-02-28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텀블러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9136A1 (en) Lighted plug apparatus
EP1429395A3 (en) LED light source mimicking a filamented lamp
JP2012018923A (ja) 懐中電灯
KR200259965Y1 (ko) 텀블러 스위치의 발광구조
WO2002010639A1 (en) Lamp
AU2001284539A1 (en) Lamp
EP1958299B1 (en) Touch-safe socket
KR101406448B1 (ko) 핸드헬드 발광봉
TWI271762B (en) Switch device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EP3008379A1 (en) A lighting device assembly and a method of mounting a lighting device assembly
CN211182132U (zh) 一种微型断路器用按键结构
KR200388974Y1 (ko)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선풍기
US20030117079A1 (en) Emergency illuminator
TW201730906A (zh) 按壓開關結構
US20060011460A1 (en) Switch structure
CN219832485U (zh) 一种按钮开关
CN212062889U (zh) 带夜灯的插座
KR19990071365A (ko) 소형전기발광체
CN215527505U (zh) 用于开关的led指示灯组件及开关
CN217287027U (zh) 一种可充电发光绳及跳绳机
CN214848295U (zh) 一种导光按键
AU2006100304A4 (en) Light emitting diode based light
RU59321U1 (ru) Выключатель
CN211376472U (zh) 一种单断式按钮带灯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