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89Y1 - 플로어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로어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89Y1
KR200259889Y1 KR2020010029240U KR20010029240U KR200259889Y1 KR 200259889 Y1 KR200259889 Y1 KR 200259889Y1 KR 2020010029240 U KR2020010029240 U KR 2020010029240U KR 20010029240 U KR20010029240 U KR 20010029240U KR 200259889 Y1 KR200259889 Y1 KR 200259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asing
floor
floor hinge
hin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삼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9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89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지지하면서 개폐를 조절하는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지지상태를 확고하게 유지하며 도어의 하중에 의하여 힌지 조립체가 케이싱을 변형 시키면서 함몰 침하되는 경우를 견고하게 방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플로어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플로어 힌지의 힌지축부분에 가해지는 도어의 집중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케이싱이 수직 하중으로 변형되어 함몰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고, 케이싱에 조립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평철을 휨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높이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며, 현장 시공이 간편하고 높이 조절이 용이한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본 고안은 힌지 몸체(1)의 힌지 축(2) 선단에 형성된 높이 조절나사(3a)를 가로 지르는 평철(10)을 마련하고 상기 평철(10)을 높이 조절 나사(3a)의 중간 힌지 몸체에 나합하여 높이 조절 나사에 의해 평철이 고정된 중심부를 기축으로 휘어져 변형되면서 힌지축(2)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어 힌지 조립체{A floor hinge accembly}
본 고안은 도어를 지지하면서 개폐를 조절하는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지지상태를 확고하게 유지하며 도어의하중에 의하여 힌지 조립체가 케이싱을 변형 시키면서 함몰 침하되는 경우를 견고하게 방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플로어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플로어 힌지는 통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거운 하중의 도어를 지지하며 개폐를 조절하도록 바닥에 매입 시공되어 사용된다.
상기 플로어 힌지는 대별하여 바닥에 매입되며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싱과 도어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며 회전 개폐를 조절하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로어 힌지 조립체는 케이싱에 내장되어 종 방향과 횡방향으로 지지하며 조절 가능하도록 조절 나사로 이루어지고,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나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나사에 의하여 케이싱 벽면과 밀접하게 면접시켜 위치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종래 플로어 힌지 조립체와 케이싱의 지지 고정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몸체(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선단에는 도어를 지지하며 회전을 제어하는 힌지 축(2)이 마련된다.
상기 몸체(1)를 케이싱 내에 유동 없이 고정하기 위하여 몸체의 종방향 양측으로 조절 나사(4)가 결합되고, 횡방향 양측으로 복수의 조절나사(5)가 마련되며, 몸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높이 조절나사(3)가 전, 후 양측으로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종방향 조절나사(4)와 횡방향 조절나사(5)는 케이싱(6)의 내측 벽면과 맞닿아 몸체(1)가 도어의 개폐 회전력으로 인하여 유동치 아니하고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설치 시공되는 현장에 따라서 힌지 축(2)의 중심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케이싱의 사방 내측 벽면과 맞닿은 나사를 조절하여 맞추게 된다.
한편,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상하 조절은 힌치축(2)의 바닥면 노출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몸체(1)에 상하로 관통 조립된 높이 조절나사(3)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높이 조절나사(3)는 그 단부가 케이싱(6)의 바닥면에 지지되면서 몸체(1)의 수평 상태로 떠 받치고 있도록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높이 조절 나사(3)의 선단 나사부의 직경이 매우 작고 케이싱(6)은 얇은 철판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플로어 힌지 조립체에 결합되는 도어는 자중이 매우 무거우며 특히 도어의 개폐 회전시 하중이 배가되어 플로어 힌지 조립체에 상당한 하중을 가하게 된다.
상기 도어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힌지축(2) 부분에 집중적인 하중을 가하게 되므로 높이 조절나사(3) 중에서도 힌지축(2)의 좌우에 마련된 선단부 나사가 케이싱(6)의 얇은 철판을 변형시키면서 내려 앉고(도 3참조), 이에 플로어 힌지 조립체가 도어 하중으로 내려 앉으면서 도어가 바닥에 끌리거나 비틀려 개폐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가 빈발한다.
이는 케이싱의 얇은 철판에 나사의 작은 직경의 단부로 지지하므로 도어 하중으로 변형됨에 기인하며 변형이 이루어진 케이싱(6) 부분에 계속 사용에 따른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면서 변형이 심하게 이루어지고 습기와 침수에 의해 발청에 의하여 케이스가 파손되어 더 이상의 높이 조절을 어렵게하거나 조절하여도 다시 내려 앉는 등의 폐해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시공 현장에서는 높이 조절나사(3)의 단부와 케이싱 접촉면 사이에 철편이나 심지어 동전을 위치시켜 작은 직경의 나사 단부가 케이싱의 얇은 철판을 찍어 누르지 아니하도록 임시 방편으로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별도의 철편을 삽입하거나 동전을 깔아 시공하는 경우에도 그 위치가 밀려나므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한다는 보장은 없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플로어 힌지의 힌지축부분에 가해지는 도어의 집중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케이싱이 수직 하중으로 변형되어 함몰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케이싱에 조립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평철을 휨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높이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현장 시공이 간편하고 높이 조절이 용이한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힌지 몸체의 힌지 축 선단에 형성된 높이 조절나사를 가로 지르는 평철을 마련하고 상기 평철을 높이 조절 나사의 중간 힌지 몸체에 나합하여 높이 조절 나사에 의해 평철이 고정된 중심부를 기축으로 휘어져 변형되면서 힌지축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종래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플로어 힌지가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플로어 힌지가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요부 발췌 단면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힌지 몸체 2 : 힌지 축
3, 3a, 3b : 높이조절나사 4 : 종 방향 조절 나사
5 : 횡 방향 조절 나사 6 : 케이싱
10 : 평철 10a : 중심부
12 : 나사 a : 접촉면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힌지 축(2) 선단에 형성된 높이 조절나사(3a) 사이를 가로 지르는 평철(10)을 마련하고 상기 평철을 상기 높이 조절 나사(3a) 사이의 중간, 힌지 몸체(1)에 나사(12)로서 나합하여 높이 조절 나사에 의해 평철이 고정된 중심부를 기축으로 휘어져 변형되면서 힌지축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평철(10)은 양단에 비하여 중심부(10a)를 소폭으로 형성하여 이루어 양단의 접촉면(a)에 높이 조절 나사(3a)에 의하여 휨 변형을 용이하도록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제 작용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조립 방법대로 케이싱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케이싱(6)의 좁은 폭 방향으로는 횡방향 조절 나사(5)가 좌우 유동이 없도록 케이싱 내측 벽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케이싱(6)의 길이 방향으로는 종방향 조절 나사(4)로서 역시 케이싱 내측 벽면에 지지 고정한다.
이때, 본 고안의 평철(10)은 케이싱(6)의 바닥면과 접하여 탑재되는 상태가된다.
시공시의 오차나 또는 사용중의 도어 하중에 의하여 힌지 축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높이 조절 나사(3a)를 돌려 힌지 몸체(1)의 저면으로 신장시켜주게 되면 나사(12)로서 몸체(1)에 일점 고정된 평강(10)은 접촉면(a)이 밀리면서 양측이 휘어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6)의 바닥면에 지지되면서 힌지 몸체(1)를 밀어올려 위치 교정을 이루게 한다.
여기서 평강(10)은 표면적이 넓은 양단부에 비하여 중심부(10a)는 표면적을 좁게 형성하여 휨 작용을 용이하게 하며, 넓은 표면적의 양단부는 케이싱(6) 바닥면에 안정되게 접하면서도 표면적이 넓어 비교적 얇은 두께(약 1.5㎜)의 케이싱(6) 바닥을 함몰시키는 경우가 확실하게 방지되어 교정된 위치가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고 지속적인 하중으로 파손되는 종래 기술의 단점이 해소되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힌지 축 전방에 한정하여 평강을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도어의 하중이 대부분 힌지 축(2)을 통하여 가해지므로 힌지 축 부근의 높이 조절나사(3a)에서 집중적인 하중을 받게되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기는 하나 필요한 경우에는 힌지 축 후방의 높이 조절나사(3b)의 하부에도 전술한 평강을 형성하여 높이 조절시 지지 표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음은극히 용이하게 변형 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플로어 힌지의 힌지축부분에 가해지는 도어의 집중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케이싱이 수직 하중으로 변형되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내려 앉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케이싱에 조립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평철을 휨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현장 시공이 간편하고 케이싱을 보강하는 간단한 구조의 평철을 채택하여 제작이 용이한 등의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힌지 축 선단에 형성된 높이 조절나사를 구성하여 플로어 힌지 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나사(3a) 사이를 가로 지르는 평철(10)을 마련하고,
    상기 평철을 상기 높이 조절 나사(3a) 사이의 중간, 힌지 몸체(1)에 나사(12)로서 나합하여 높이 조절 나사에 의해 평철이 고정된 중심부(10a)를 기축으로 휘어져 변형되면서 힌지축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철(10)은 양단에 비하여 중심부(10a)를 소폭으로 형성하여 이루어 양단의 접촉면(a)에 높이 조절 나사(3a)에 의하여 휨 변형을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2020010029240U 2001-09-21 2001-09-21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200259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240U KR200259889Y1 (ko) 2001-09-21 2001-09-21 플로어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240U KR200259889Y1 (ko) 2001-09-21 2001-09-21 플로어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889Y1 true KR200259889Y1 (ko) 2002-01-05

Family

ID=7310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240U KR200259889Y1 (ko) 2001-09-21 2001-09-21 플로어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200259889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ATE254419T1 (de) Einheitlicher verstellbarer sitzkorb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200259890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JP2002339925A (ja) 家具用留め金具を、例えば家具用ヒンジのヒンジアーム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プレート
JP2006506295A (ja) 階段昇降機用改良ガイドレール
KR200407888Y1 (ko) 창호재용 높이 조절장치
KR20080050137A (ko)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
KR200169480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0255656Y1 (ko) 플로어 힌지 케이싱
KR200438463Y1 (ko) 미세위치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KR200255655Y1 (ko) 플로어 힌지 케이싱
JP4009231B2 (ja) 調整可能なヒンジ
JP7233064B1 (ja) 作動装置及び吊戸装置
JP2002121957A (ja) 蝶 番
KR200262839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200172188Y1 (ko)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0192833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롤러를 장착한 가구용 레일
JP7366704B2 (ja) ブラケット及びカウンター部の施工方法
KR200277322Y1 (ko)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JP3991806B2 (ja) 床パン支持架台の架設構造
KR20010096436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롤러를 장착한 가구용 레일
JP3555715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JPH10259682A (ja) ヒンジ及びフエンス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