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699Y1 - 유아용 흔들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흔들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699Y1
KR200259699Y1 KR2020010029617U KR20010029617U KR200259699Y1 KR 200259699 Y1 KR200259699 Y1 KR 200259699Y1 KR 2020010029617 U KR2020010029617 U KR 2020010029617U KR 20010029617 U KR20010029617 U KR 20010029617U KR 200259699 Y1 KR200259699 Y1 KR 200259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rocking
infant
frame
ope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혜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바
Priority to KR2020010029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699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흔들침대에 관한것으로서, 이동바퀴(7)를 가지는 프레임(2)과; 침대(1)로 구성되는 유아용 흔들침대에 있어서, 프레임(2)상면과 침대(1)저면 일측 사이 중앙부에 지지구(101)및 지지축(301)이 회동가능케 결합됨으로써 구성도는 흔들지지장치(3)를 설치하고 그 타측의 침대(1)저면에는 흔들작동판(4)내측을 보울트 고정하면서 그 외측은 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장치(5)에 연결 고정하되, 흔들작동판(4)의 보울트 관통공(401)을 수직 트랙형으로 형성하고 흔들작동판(4)의 슬라이드관부(402)는 프레임(2)에 고정되는 안내봉(201)에 끼워지도록 하여 침대(1)에 유아를 눕혔을 때 머리부는 흔들리지 않도록 하면서 하체는 양측으로 흔들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안정적으로 수면을 재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흔들침대(1)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뇌기능 장애나 발육장애등과 같은 염려를 없앨 수 있게 하고 또한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유아용 흔들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흔들침대{The rocking bed of infant}
본 고안은 주로 유아를 잠재우거나 달랠 때 사용되는 유아용 흔들침대에 관한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흔들침대에 눕혀지는 유아의 머리부에 흔들림 작용이 거의 없으면서 잠재기우기 기능과 달래기 기능이 뛰어나고 정서적으로도 유아에에 도움이 되는 유아용 흔들침대를 얻을 수 있도록 있도록 한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유아용 흔들침대가 많이 보급되고는 있으나 이들은 대분분 침대 전체를 양측으로 흔들어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즉, 침대 프레임과 흔들침대를 수개의 흔들줄 또는 흔들봉을 연결하여 전후 좌우로 흔들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기계적인 흔들장치를 이용하여 좌우로만 흔들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흔들침대는 침대 전체가 흔들리므로, 다시 말하자면 침대에 눕혀지는 유아의 머리가 흔들리기 때문에 유아는 정서적으로 상당히 불안한 상태가 되고 이는 유아에게 제공되어야 할 편안하고 안락한 기분을 느낄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이 있어 유아의 잠재우기 기능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뇌가 완전하게 성숙되지 않은 유아가 흔들침대를 장기간 사용하였을 경우 뇌 기능 장애 및 발육장애등과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는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의 유아용 흔들침대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를 두고 안출된 고안으로서 특히, 유아의 머리부가 위치되는 침대 일측은 고정되게하고 그 타측은 양측으로 흔들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크랭크장치부 평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흔들지지장치부 전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프레임 사시도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대 101 : 지지구
2 : 프레임 201 : 안내봉
3 : 흔들지지장치 301 : 지지축
4 : 흔들작동판 401 : 관통공
402 : 슬라이드관부 5 : 크랭크장치
501 : 크랭크장치케이스 6 : 모터
7 : 이동바퀴
이동바퀴(7)를 가지는 프레임(2)과; 침대(1)로 구성되는 유아용 흔들침대에 있어서, 프레임(2)상면과 침대(1)저면 일측 사이 중앙부에 지지구(101)및 지지축(301)이 회동가능케 결합됨으로써 구성되는 흔들지지장치(3)를 설치하고 그 타측의 침대(1)저면에는 흔들작동판(4)내측을 보울트 고정하면서 그 외측은 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장치(5)에 연결 고정하되, 흔들작동판(4)의 보울트 관통공(401)을 수직 트랙형으로 형성하고 흔들작동판(4)의 슬라이드관부(402)는 프레임(2)에 고정되는 안내봉(201)에 끼워지도록 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프레임(2)일측에 설치되는 모터(6)를 기동시켜 크랭크장치(5)를 작동시키면 이와 연결된 흔들작동판(4)이 첨부도면 도 2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유동되게되어 침대(1)일측을 양측으로 흔들 수 있게되고 여기서 침대(1)일측의 흔들작동은 그 타측의 침대(1)저면 중앙에 설치되는 흔들지지장치(3)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즉, 침대(1)의 흔들작동이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채형으로 작동되게되고, 상기에서 흔들지지장치(3)는 지지축(301)과 지지구(101)가 회동 가능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기능을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으며,
한편 상기에서 침대(1)저면과 흔들작동판(4)이 보울트 결합되더라도 보울트가 관통하는 흔들작동판(4)의 관통공(401)이 트랙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지지장치(3)에 의거한 침대(1)의 원호작동을 흔들작동판(4)의 수평작동으로 피동 시킬 수 있게되며 ,다시말해서 흔들작동판(4)이 수평으로 이동할 때 관통공(401)은 보울트에 지지되면서 침대(1)의 원호작동 유격 만큼 움직일 수 있게되어 수평 안내봉(201)에 안내되는 흔들작동판(4)의 수평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침대(1)에 유아를 눕힐 때 머리부를 흔들지지장치(3)방향으로 향하게 한 다음 모터(6)를 기동시키면 머리부는 흔들리지 않지만 하체는 양측으로 흔들리게 되어 유아는 안정적으로 수면을 재촉할 수있게되는 이점이 있고 이는 정서적으로도 유아에게 많은 도움이 되어 흔들침대(1)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뇌기능 장애나 발육장애등과 같은 염려를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유아용 흔들침대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이동바퀴(7)를 가지는 프레임(2)과; 침대(1)로 구성되는 유아용 흔들침대에 있어서, 프레임(2) 상면과 침대(1) 저면 일측 사이 중앙부에 지지구(101)및 지지축(301)이 회동가능케 결합됨으로써 구성되는 흔들지지장치(3)를 설치하고 그 타측의 침대(1)저면에는 흔들작동판(4)내측을 보울트 고정하면서 그 외측은 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장치(5)에 연결 고정하되, 흔들작동판(4)의 보울트 관통공(401)을 수직 트랙형으로 형성하고 흔들작동판(4)의 슬라이드관부(402)는 프레임(2)에 고정되는 안내봉(201)에 끼워지도록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흔들침대.
KR2020010029617U 2001-09-26 2001-09-26 유아용 흔들침대 KR200259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617U KR200259699Y1 (ko) 2001-09-26 2001-09-26 유아용 흔들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617U KR200259699Y1 (ko) 2001-09-26 2001-09-26 유아용 흔들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699Y1 true KR200259699Y1 (ko) 2002-01-09

Family

ID=7310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617U KR200259699Y1 (ko) 2001-09-26 2001-09-26 유아용 흔들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6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324A (ko) 2018-03-08 2019-09-18 최흥만 유아용 흔들침대
KR20190002473U (ko) 2019-09-23 2019-10-02 최흥만 유아용 흔들침대
CN114848338A (zh) * 2022-07-08 2022-08-05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一种儿科病患用无极摇晃式多功能舒缓放松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324A (ko) 2018-03-08 2019-09-18 최흥만 유아용 흔들침대
KR20190002473U (ko) 2019-09-23 2019-10-02 최흥만 유아용 흔들침대
CN114848338A (zh) * 2022-07-08 2022-08-05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一种儿科病患用无极摇晃式多功能舒缓放松装置
CN114848338B (zh) * 2022-07-08 2023-07-25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一种儿科病患用无极摇晃式多功能舒缓放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2980A (en) Apparatus for imparting motion to cradles or the like
US6485442B2 (en) Crib mounted baby soothing device
KR200259699Y1 (ko) 유아용 흔들침대
WO2005122839A1 (ja) ベッド
CN109106146A (zh) 一种婴儿助睡眠装置及使用方法
US20060207022A1 (en) Baby crib with oscillating mechanism
CN217185439U (zh) 一种婴儿床
JP2700098B2 (ja) 揺動装置付きゆりかご
KR930003815Y1 (ko) 요동안내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침대
CN211212301U (zh) 一种摆动安抚装置
KR20050048442A (ko) 아기요람의 스윙구동장치
CN217827353U (zh) 一种婴幼儿电动摇摆载具
KR200343371Y1 (ko) 아기요람의 스윙구동장치
KR200312044Y1 (ko) 스윙요람의 스윙작동구조
CN220109468U (zh) 一种摇床的横向摇摆结构
KR200312042Y1 (ko) 스윙방식의 아기요람
KR860003695Y1 (ko) 유아용 자동흔들 침대
CN108852681B (zh) 一种可升降翻转的婴儿护理床
CN211299231U (zh) 一种摇篮椅
RU2348339C2 (ru) Люлька-качалка
KR930003814Y1 (ko) 요동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침대
KR100525951B1 (ko) 스윙요람의 스윙작동구조
KR100737737B1 (ko) 스윙요람 작동구조
KR930003816Y1 (ko) 요동장치와 카세트를 겸비한 유아용 침대
CN211511211U (zh) 一种智能家具非接触式婴儿摇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