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567Y1 - 오일 여과기 - Google Patents

오일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567Y1
KR200259567Y1 KR2020010030145U KR20010030145U KR200259567Y1 KR 200259567 Y1 KR200259567 Y1 KR 200259567Y1 KR 2020010030145 U KR2020010030145 U KR 2020010030145U KR 20010030145 U KR20010030145 U KR 20010030145U KR 200259567 Y1 KR200259567 Y1 KR 200259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um
filter
oil
housing
meta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영
Original Assignee
허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영 filed Critical 허진영
Priority to KR2020010030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567Y1/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불순물에 대한 여과와 오일중에 잔존하는 미세한 입자상의 금속분말에 대한 여과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일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20)의 중공부(21)에 각종 불순물을 걸름방식으로 여과해주기 위한 제1 여과재(30)를 삽입한 다음 하우징(20)의 개구부(22)에 밀폐캡을 결합시켜 중공부가 밀폐되도록 하되, 상기 하우징(20)내에 자성체의 제2 여과재(50)를 삽입하여 금속분말을 흡착방식으로 여과해주도록 하고, 상기 제1 여과재(30)의 중앙에 마련되는 중공영역에 다수의 통공(39)을 구비한 유도관(38)을 직립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엔진오일에 함유된 각종 불순물에 대한 여과는 물론 미세한 입자상의 금속분말에 대한 여과까지 이루어지므로 엔진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으며 엔진오일에 함유된 금속분말에 의한 공해물질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일 여과기{oil filter}
본 고안은 오일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각종 불순물에 대한 여과는 물론 오일중에 잔존하는 미세한 입자상의 금속분말에 대해서도 정교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일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동력에 의해 기동하는 각종 운수기계 및 선박과 산업기계 등에는 오일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오일 여과기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하는 오일 여과기는 다수종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사용이 이루어지는 오일 여과기는 하우징내에 부직포 등에 의해 주름관 형태로 제작되는 여과재를 삽입하고, 오일유입구 및 오일배출구를 구비하는 밀폐캡을 하우징에 결합한 것이다.(위 오일 여과기는 특히 차량 등의 엔진오일 여과에 주로 사용되고 있음.)
상기와 같은 종래 오일 여과기는 오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부직포 등으로 된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오일중에 함유된 불순물에 대한 여과가 이루어져 오일취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엔진실로 공급되도록 한 것인데, 위 오일 여과기는 여과재의 조직보다 작은 미세한 금속분말과 같은 잔유물에 대해서는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실질적으로 엔진실내에는 엔진의 작동에 따른 각 부품의 마모로 인해 다량의 금속분말이 발생하는데, 위 발생된 금속분말은 상당히 미세한 입자상을 이루고 있어 기존하는 오일 여과기에 의해서는 금속분말에 대한 완전한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에 있다.
오일 여과기에 의해 여과되지 않은 다량의 금속분말은 엔진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엔진오일의 사용기한을 단축시키게 되며, 또한, 엔진오일에 잔유하고 있는 금속분말은 다량의 공해물질을 배출시키게 되는 등 기존하는 오일 여과기는 그 폐해가 심각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오일 여과기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1 여과재에 의해 각종 불순물에 대한 걸름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2 여과재에 의해 금속분말이 흡착여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불순물과 금속분말에 대한 여과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오일 여과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오일 여과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오일 여과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여과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여과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여과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일 여과기 20: 하우징
30: 제1 여과재 31: 상부 플레이트
32: 인출구 33: 하부 플레이트
34: 인입구 35: 지지대
36: 탄발스프링 37: 개폐판
38: 유도관 39: 통공
40: 패킹 50: 제2 여과재
60: 밀폐캡 61: 오일유입구
62: 오일배출구
도 1에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오일 여과기(1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공영역(21)을 구비하는 하우징(20)과, 상기 중공영역(21)에 삽입되며 각종 불순물을 걸름방식으로 여과해주기 위한 제1 여과재(30)와, 상기 중공영역(21)에 삽입되며 금속분말을 흡착할 수 있는 자성체로 제작되는 제2 여과재(50)와, 하우징(20)의 개구부(22)에 결합되어 중공부(21)를 밀폐시켜 주기 위한 밀폐캡(60) 등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오일 여과기(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중공부(21)내에 삽입된 제1 여과재(30)와 하우징(20)의 내벽간에는 다소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여과재(30)와 하우징(20)의 내벽 간에 형성된 공간에 제2 여과재(50)가 개재되어 제2 여과재(50)가 하우징(20)의 내벽면에 부착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부(22)에 결합되는 밀폐캡(60)과 제1 여과재(30) 사이에는 하우징(20)내를 순환하는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40)이 개재되도록 하며, 상기 밀폐캡(60)에는 오일유입구(61)와 여과된 오일의 배출을 위한 오일배출구(62)를 형성한다.
이때, 밀폐캡(60)과 제1 여과재(30)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40)은 제1 여과재(30)에 형성된 인입구(32)와 밀폐캡(60)에 형성된 오일배출구(62)를 중심으로 개재되도록 하며, 밀폐캡(60)에 형성되는 오일유입구(61)는 패킹(40)에 의해 덮여지도록 한다.
도 3에 본 고안에 따른 제1 여과재(3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과재(30)는 상,하부 플레이트(31.33) 사이에 부직포 등으로 제작되는 여과지(30a)를 주름지게 개재시켜 여과지(30a)의 중앙에 중공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31,33)에 여과된 오일이 인출되는인출구(32)와 오일이 인입되는 인입구(34)를 각각 형성하며, 하부 플레이트(33)에 형성된 인입구(34)의 내측(중공역역내)으로 지지대(35)를 부착한 다음 지지대(35)와 인입구(34) 주변의 내벽간에 탄발스프링(36)을 탄력설치하고 탄발스프링(36)과 인입구(34) 간에 개폐판(37)을 개재시켜 탄발스프링(36)의 탄성에 의해 개폐판(37)이 인입구(34)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1 여과재(30)내의 중공영역에 다수개의 통공(39)을 구비한 유도관(38)을 직립되게 설치한다.
도 4에 본 고안에 따른 제2 여과재(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를 끌어당겨 흡착시킬 수 있는 자성체로 제2 여과재(50)를 구성하되 제2 여과재(50)가 제1 여과재(30)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링'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2 여과재(50)는 제1 여과재(30)와 하우징(20)의 내벽 간에 형성되는 공간에 제2 여과재(50)를 개재시켜 제2 여과재(50)가 하우징(20)의 내벽면에 부착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본 고안에 따른 제2 여과재(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를 끌어당겨 흡착시킬 수 있는 자성체로 제2 여과재(50)를 구성하되 제2 여과재(50)는 제1 여과재(30)의 중공부(S)에 마련된 지지대(33)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2 여과재(50)는 제1 여과재(30)의 중공영역내에 설치하여 지지대(35)를 감싸는 직립형태로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2 여과재(50)를 소망하는 형태를 이루게끔 별도로 제작한 다음 하우징(20)의 내벽이나 제1 여과재(30)의 중공영역 등에 부착하는 구성에 대해 설시하였으나, 본 고안이 향유하는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는 제1 여과재(30)의 중앙영역에 마련되는 중공영역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유도관(38)을 자성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각종 불순물 및 금속분말에 대한 여과의 기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밀폐캡(60)의 오일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하우징(20)내에 설치된 제1 여과재(30)와 하우징 내벽 간에 형성된 공간을 경유하여 제1 여과재(30)의 인출구(32)를 통해 밀폐캡(60)에 마련된 오일배출구(62)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오일중에 함유된 불순물은 제1 여과재(30)에 의해 걸러지게 됨과 아울러 오일중에 함유된 금속분말은 제2 여과재(50)에 흡착되어 각종 불순물과 금속분말에 대한 여과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오일 여과기(10)는 제1 여과재(30)에 의해 엔진오일에 함유된 각종 불순물에 대한 여과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2 여과재(50)에 의해 미세한 입자상의 금속분말에 대한 여과까지 이루어지므로 엔진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음은 물론 엔진오일의 사용기한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분말에 의한 공해물질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다대한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중공영역(21)을 구비하는 하우징(20)과, 상기 중공영역(21)에 삽입되며 각종 불순물을 걸름방식으로 여과해주기 위한 제1 여과재(30)와,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부(22)에 결합되어 중공부(21)를 밀폐시켜 주기 위한 밀폐캡(60)과, 상기 밀폐캡(60)과 제1 여과재(30)사이에 개재되는 패킹(40) 등의 구성요소로 오일 여과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중공영역(21)에 제2 여과재(50)를 설치하여 금속분말을 흡착방식으로 여과해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여과재(30)의 중앙에 마련되는 중공영역에 다수개의 통공(39)을 구비한 유도관(38)을 직립설치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여과재(30)의 중공영역내에 직립설치되는 유도관(38)은 자성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여과재(50)는 자성체이고, 상기 제2 여과재(50)는 제1 여과재(30)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도우넛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여과재(50)는 제1 여과재(30)를 감싸며 하우징(20)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여과재(50)는 자성체이고, 상기 제2 여과재는 제1 여과재(30)의 중공영역에 설치된 지지대(35)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여과재(50)는 제1 여과재(30)의 중공영역내에 지지대(35)를 감싸는 직립형태로 부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기.
KR2020010030145U 2001-09-29 2001-09-29 오일 여과기 KR200259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45U KR200259567Y1 (ko) 2001-09-29 2001-09-29 오일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45U KR200259567Y1 (ko) 2001-09-29 2001-09-29 오일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567Y1 true KR200259567Y1 (ko) 2002-01-05

Family

ID=7310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45U KR200259567Y1 (ko) 2001-09-29 2001-09-29 오일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5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7477A (en) Airline vapor trap
EP1275828B1 (en) Flat low profile diesel engine crankcase ventilation filter
US4619764A (en) Repelling-action filter unit and assembly
US20020100464A1 (en) Multi-peripheral perimeter sealed flat panel coalescing filter element
US5228990A (en) Oil filter
US7048848B2 (en) Hybrid spin-on filter
US20040031252A1 (en) Filter element for filtering liquids from a stream of gas
US20070157808A1 (en) Filter with enhanced media area utilization
US6962615B2 (en) Filter element, particularly for separating a liquid from a gas stream
JP5510430B2 (ja) 燃料フィルタ装置
CA2210978C (en) Flow inverter for filters
US6287355B1 (en) Air filter for cars having separate inlet guide tubes and a commo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elements
US6423225B2 (en) Liquid filter with centrifugal separator
KR200259567Y1 (ko) 오일 여과기
EP0044720A2 (en) Air pre-cleaners
CN100502996C (zh) 滤清器滤芯总成
JPH0953588A (ja) 油冷式圧縮機の油分離装置
GB2327624A (en) Pleated filter elements
CN103321795A (zh) 一种空气滤清器
CN2348103Y (zh) 曲轴箱与机油滤清器结合的装置
EP0487231A2 (en) Oil filter
JPH07119564A (ja) ストレーナ兼用の燃料高純度改質装置
GB2356825A (en) A fuel filter with suspended filter element
JP3988344B2 (ja) エンジンのエアブリーザ
EP3749847B1 (en) Engine air cleaner with integrated compressor sup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