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014Y1 - 복합자전거 - Google Patents

복합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014Y1
KR200259014Y1 KR2020010015773U KR20010015773U KR200259014Y1 KR 200259014 Y1 KR200259014 Y1 KR 200259014Y1 KR 2020010015773 U KR2020010015773 U KR 2020010015773U KR 20010015773 U KR20010015773 U KR 20010015773U KR 200259014 Y1 KR200259014 Y1 KR 200259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icycle
fixed
hole
loos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복
Original Assignee
변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복 filed Critical 변상복
Priority to KR2020010015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014Y1/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로만 작동하는 종래의 자전거에 손작동으로도 달릴 수 있는 장치를 접목한 복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전거는 보조 교통수단으로서 다리운동은 될 수 있으나, 팔,어깨, 허리 심폐기능 등 상체운동은 전혀 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자전거 핸들(1)축(2)이 관통된 보스(Boss)(3)의 양측벽에 수평축(4)(4')를 고정하고 이 수평축(4)(4')에는 긴 손지렛대(hand Lever)(5)(5')를 직립토록 그 중간구멍(6)을 헐겁게 삽입하여 체결하고 그 말단의 끝구멍(11)(11')에는 연간(12)(12')의 한 끝이 연결되고 그 반대쪽 끝구멍(13)(13')에는 통상의 체인기어(chain gear)(14)의 크랭크 팔(crank arm)(15)(15')에 밖힌 폐달(18)축(9)에 헐겁게 삽입하여서 된 것인데, 종래와 같이 폐달(18)을 밟고 달리다가 다리가 피로할 때는 자전거 핸들 축(2)에 설치한 방향 조종발판(20)을 발로 조정하면서 보스(3)의 수평축(4)(4')에 직립으로 설치된 양측의 손지렛대(5)(5')를 앞으로 당겼다가 뒤로 밀치는 전후 왕복운동을 교대로 반복케 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다리힘 보다 오히려 적은 팔힘으로 자전거 뒤바퀴를 회전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거리를 달릴때도 피로가 적으면서 전신운동이 되게 때문에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자전거{Compound bicycle}
본 고안은 발운동기능만 하는 종래의 자전거에 팔,어깨,허리 등 상체운동 기능까지 하는 장치를 조합하여, 스포츠 레저 분야의 종합운동을 목적으로 안출한 것으로 종래 자전거의 핸들 축(軸)의 보스(Boss)양측벽에 고정된 수평축에 긴손지레대(hand lever)의 중간 구멍을 약간 헐겁게 삽입하여 체결하고 그 밑의 끝구멍에는 긴 연간(connecting rod)의 한쪽 끝이 헐겁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구멍은 체인기어(chain gear)의 크랭크팔(crank Arm)의 고정축에 헐겁게 삽입하고 이 고정축의 끝나사 에는 종래 폐달축의 중심에 뚫은 나사구멍이 틀어 밖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핸들축의 아래쪽에는 반원형의 조종발판을 고정한다.
구조를 간단하게 내구성을 높이고 긴 손지렛대의 상방부는 접을 수 있게 하고, 종래 자전거의 발운동기능에 팔 운동기능을 첨가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 는 도1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 요부의 실시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연간(連桿)과 종래 자전거 폐달부분과의 조합 상태를 상세히 표시한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핸들 2 : 축 3 : 보스(Boss)
4,4' : 수평(水平軸) 5,5' : 손지렛대(hand Lever)
6,6' : 구멍 7,7' : 톱니 8,8' : 클러치판(clutch tube)
9 : 스프링 10,10' : 나비 너트(nut) 11,11': 끝구멍
12,12' : 연간(連桿)(Connecting rod) 13,13' : 끝구멍
14 : 체인기어(Chain gear) 15,15' : 크랭크팔(Crank Arm)
16 : 고정축 17 : 끝나사 18 : 페달
19 : 축 19' : 나사구멍 20 : 방향 조종발판
종래 자전거의 핸들(1)축(2)이 관통된 보스(Boss)(3)의 양측벽에 수평축(水平軸)(4)(4')을 고정하고, 이 수평축(4)(4')에는 긴 손지렛대(hand Lever)(5)(5')의 중간 아래쪽 구멍(6)을 헐겁게 삽입하여 체결하고 그 말단의 끝구멍(11)(11')에는 긴 연간(Connecting rod)(12)(12')의 한쪽끝이 헐겁게 연결되고 그 반대쪽 끝구멍(13)(13')에는 체인기어(chain gear)(14)의 크랭크팔(crank arm)(15)(15') 끝에 고정된 고정축(16)이 헐겁게 삽입되고 이 고정축(16)의 끝나사(17)부분에는 종래 폐달(18)축(19)의 중심에 뚫은 나사구멍(19')을 틀어박히게 하고, 또 핸들(1)축(2)아래쪽에는 반원형의 방향조종발판(20)을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1은 지름이 작은 앞바퀴, 22는 지금이 큰 뒤바퀴, 23은 보조바퀴, 24는 새들, 24'는 새들지주(支柱)를 표시한 것임.
본 고안의 작용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축(4)(4')을 지점으로 하는 양측의 손지렛대(5)(5')의 상단 손잡이를 잡고 앞으로 당겼다가 뒤로 밀치는 왕복운동을 서로 엇갈리게 반복하면 그 말단의 끝구멍(11)(11')에는 긴 연간(Connecting rod)(12)(12')의 한쪽 끝이 헐겁게 연결되고 그 반대쪽 끝구멍(13)(13')에는 체인기어(14)축에 고정된 크랭크 팔(15)(15')의 고정축(16)이 헐겁게 삽입 되었기 때문에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연간(12)(12')에 의하여 큰 뒤바퀴(22)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손지렛대(5)(5')의 지점(支点)이 되는 구멍(6)(6')의 아래 부분 길이는 위부분 길이의 1/3정도로 짧기 때문에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종래 자전거의 페달(18)을 밟는 다리힘보다 오히려 작은 팔힘으로 뒤바퀴(22)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운행방향은 핸들(1)축(2)에 고정된 방향 조종발판(20)을 좌,우로 돌려서 조종한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손지렛대(hand Lever)(5)(5')의 위부분은 넓게 하고 아래부분은 좁게 고정되고 톱니(7)(7')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 중공(中空)의 두 클러치관(clutch tube)(8)(8')내부에 스프링(9)을 내장(內裝)한 상태로 양측벽의 구멍(6)(6')을 두 수평축(4)(4')에 각각 삽입하고 톱니(7)(7')가 맞물리도록 양측벽의 나비너트(10)(10')를 체결한 것인데 이 나비너트(10)(10')를 반대로 돌려서 풀면 내부의 스프링(9)이 늘어나는 탄력때문에 맞물렸던 톱니(7)(7')가 버러지므로 손지렛대(5)(5')의 상부를 수평축(4)(4')아래쪽으로 돌려 떨어지게 하면 긴 부분이 짧게 절첩된다.따라서 긴 손 지렛대(5)(5')가 거치장스럽지 않아 좋고, 또 폐달(18)로 주행할 때 핸들(1)조작이 더욱 편리해 진다.
본 고안은 보조 교통수단으로서 다리와 팔을 교대로 작동하여 자전거를 운행하게 되므로 몸전체의 헬스효과가 클뿔만 아니라 장거리를 달려도 종래 자전거 보다 피로가 적기 때문에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기능이 확실하므로 실용성이 높고, 또 부피가 적도록 절첩이 가능하므로 휴대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종래의 자전거 핸들(1)축(2)이 관통된 보스(Boss)(3)의 양측벽에 수평축(水平軸)(4)(4')을 고정하고 이 수평축(4)(4')에는 긴 손지렛대(hand Lever)(5)(5')의 중간 아래 구멍(6)을 헐겁게 삽입하여 체결하고, 그 말단의 끝구멍(11)(11')에는 연간(Connecting rod)(12)(12')의 한끝이 헐겁게 연결되고 그 반대쪽 끝구멍(13)(13')에는 통상의 체인기어(chaing gear)(14)의 크랭크 팔(Crank arm)(15)(15')끝의 고정축(16)이 헐겁게 삽입되고, 이 고정축(16)의 끝나사(17)에는 종래 폐달(18)축(19)중심에 뚫은 나사구멍(19')을 틀어 박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손지렛대(hand Lever)(5)(5')가 위는 넓게 아래는 좁게 부착되고, 톱니(7)(7')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중공(中空)의 두 클러치관(clutch tube)(8)(8')을 그내부에 스프링(9)를 내장한 상태로 양측벽에 뚤린 구멍(6)(6')을 두 수평축(4)(4')에 각각 삽입하고 두 클러치관(8)(8')의 톱니 (7)(7')가 서로 맞물리도록 양측의 나비너트(10)(10')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서,
    지름이 작은 앞바퀴(21)와 지름이 큰 뒤바퀴(22)로 구성된 자전거의 핸들(1)축(2)아래쪽에 방향 조종발판(20)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전거.
KR2020010015773U 2001-05-28 2001-05-28 복합자전거 KR200259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73U KR200259014Y1 (ko) 2001-05-28 2001-05-28 복합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73U KR200259014Y1 (ko) 2001-05-28 2001-05-28 복합자전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797A Division KR100435280B1 (ko) 2001-05-24 2001-05-24 복합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014Y1 true KR200259014Y1 (ko) 2001-12-31

Family

ID=7306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773U KR200259014Y1 (ko) 2001-05-28 2001-05-28 복합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0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646B1 (ko) 손발 구동 주행장치
AU2008229809B2 (en) A Steering Mechanism for a Push and Pull Vehicle
KR101250018B1 (ko) 전륜부조향자전거
JP3168259B2 (ja) 揺動支点型てこ装置を用いた自転車
US8876135B2 (en) Combined-drive bicycle
US6032970A (en) Upper body activated cycle
US5290054A (en) Linear drive recumbent cycle
JP3101174U (ja) 自転車
US20190002055A1 (en) All Limb Powered And Steered Front Wheel Drive Land Vehicle
WO2017053836A1 (en) Rack-driven seated handcycle
JPH1053186A (ja) 両手駆動機構を有する自転車
KR200259014Y1 (ko) 복합자전거
US4664400A (en) See saw exercise vehicle
US4779882A (en) See saw exercise vehicle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KR100435280B1 (ko) 복합자전거
CN103950501B (zh) 手驱动前轮脚控制前轮代步器
KR200276452Y1 (ko) 개량 복합자전거
KR100854586B1 (ko) 왕복동식 페달을 가지는 자전거
JPH11310186A (ja) 両手駆動機構を有する自転車
CN104890797A (zh) 脚控制方向组合驱动双人自行车
JPH0349115Y2 (ko)
CN111483543B (zh) 大腿用力的高效自行车
CN219927908U (zh) 一种自行车
KR100824292B1 (ko) 개량 복합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