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803Y1 - 호신용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호신용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803Y1
KR200258803Y1 KR2020010030938U KR20010030938U KR200258803Y1 KR 200258803 Y1 KR200258803 Y1 KR 200258803Y1 KR 2020010030938 U KR2020010030938 U KR 2020010030938U KR 20010030938 U KR20010030938 U KR 20010030938U KR 200258803 Y1 KR200258803 Y1 KR 200258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mergency
phone
main controll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분순
Original Assignee
김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분순 filed Critical 김분순
Priority to KR2020010030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803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신용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대전화기를 휴대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긴급구조 상황 발생 시에 리모트 콘트롤러의 스위칭 작동에 따라 특정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고, 긴급상황을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의 수신자에게 음성으로 고지할 수 있도록 한 호신용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통상의 휴대전화기(1)와 코드(7)로 연결되는 메인콘트롤러(3)와, 상기 메인콘트롤러(3)에는 휴대전화기(1)에서 가장 최근 통화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별도 전원으로 구동되는 PCB(12)가 내장되어 별도 휴대가능한 리모트 콘트롤러(2)의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PCB(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릴레이스위치(13)를 회로설치하며, 상기 메인콘트롤러(3)에는 휴대전화기(1)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4)와 이너폰(9)을 연결할 수 있도록 출력잭(10)을 설치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위급상황 발생 시에 휴대전화기(1) 휴대자는 별도로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2)만 작동시키면 최근 통화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구조요청을 행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구조요청이 가능하여 위급상황으로부터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호신용 휴대전화기{Hand-held phone for self-protection}
본 고안은 호신용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대전화기를 휴대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긴급구조 상황 발생 시에 리모트 콘트롤러의 스위칭 작동에 따라 특정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고, 긴급상황을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의 수신자에게 음성으로 고지할 수 있도록 한 호신용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전화기는 근자에 들어 다수 보급되어 있지만, 이는 전화나 문자메세지 발신 및 수신, 인터넷 등의 다양한 기능 등은 부가되고 있지만, 휴대전화기 휴대자가 구조를 받아야 하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전화를 걸 수 없어, 긴급상황 발생 시에 이를 주위 고지자(가족이나 경찰서 등)에게 긴급고지 할 수 있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휴대전화기 휴대자가 긴급구조를 요하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 시에 리모트 콘트롤러의 스위칭 작동에 따라 사전에 메모리된 특정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고, 긴급상황을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의 수신자에게 음성으로 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을 주위에 신속하게 고지하고, 그로 인하여 위급상황에서 신속하게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한 호신용 휴대전화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휴대전화기 2:리모트 콘트롤러
3:메인콘트롤러 4:마이크
5:출력잭 6:연결플러그
7:코드 8:자석부착수단
9:이너폰 10:출력잭
11:플러그 12:PCB
13:릴레이스위치 14:건전지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호신용 휴대전화기(1)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의 휴대전화기(1)와 연결하여 휴대전화기(1)에서 최종적으로 통화한 특정의 전화번호 상으로 다이얼링을 무선제어수단인 리모트 콘트롤러(2)를 사용하여 제어토록 하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2)의 무선제어에 따라 메인콘트롤러(3)에서 휴대전화기(1)를 제어하여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발신자의 목소리는 메인콘트롤러(3)에 설치된 마이크(4)를 통하여 수신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전화기(1)의 출력잭(5)상에 연결플러그(6)를 갖는 코드(7)를 사용하여 휴대전화기(1)와 메인콘트롤러(3)를 상호 연결한다.
메인콘트롤러(3)와 휴대전화기(1)는 상호 휴대 편의성을 위하여 자석부착수단(8)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그리고 이너폰(9)을 콘트롤러(3)에 설치된 출력잭(10)과 플러그(11)로 연결토록 하여 휴대전화기(1) 사용자의 귀에 꽂아서 수신자의 목소리가 이너폰(9)을 통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콘트롤러(3)의 내부에는 PCB(12)가 내장되어 상기 PCB(12)를 원격으로 무선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2)를 별도로 구비하여 PCB(12)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스위치(13)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메인콘트롤러(3)는 별도의 전원인 건전지(14) 등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휴대전화기(1)와 메인콘트롤러(3)는 휴대전화기 휴대자가 핸드백 등에 휴대보관토록 하며, 리모트 콘트롤러(2)는 목에 목걸이 형태로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호신용 휴대전화기(1)는 주로 여성들이 핸드백 속에 보관, 휴대하다가 긴급구조 상황 등이 발생시에는 리모트 콘트롤러(2)의 ON 신호에 의해 휴대전화기(1)로 최근 통화한 전화번호로 신속하게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긴급구조 상황을 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여성이 밤길을 가다가 괴한 등의 습격을 받게 될 경우 위급한 상황에서 휴대전화기(1)를 인출하여 가족이나 경찰 등에서 신속하게 연락한다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지만, 본 고안의 호신용 휴대전화기(1)를 이용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위급상황이 발생할 시에 목걸이 등으로 휴대하고 있던 리모트 콘트롤러(2)만 ON 작동시키면 휴대전화기(1) 휴대사용자가 통화한, 또는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로 신속하게 휴대전화기(1)를 다이얼링시켜 통화가능 상태로 휴대전화기(1)와 특정전화번호를 연결하게 되고, 위급상황에 몰려 있는 정황을 신속하게 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전화기(1)와 메인콘트롤러(3)를 상호 코드(7)로 연결한 상태에서 핸드백 등에 보관, 휴대하다가 휴대전화기(1)로 가장 최근에 통화한 번호를 확인 한 후 대기상태로 전환시켜 업무 등을 행하거나 귀가 길에 오른다. 이때 리모트 콘트롤러(2)는 목걸이 형태로 목에 걸어서 휴대하거나 주머니 등에 별도로 휴대하다가 긴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리모트 콘트롤러(2)를 ON 작동시킨다.
리모트 콘트롤러(2)의 ON 작동신호에 의해 메인콘트롤러(3)의 수신부에서 이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릴레이스위치(13)를 ON 작동으로 전환함으로서 제어부에서 휴대전화기(1)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휴대전화기(1)를 사용하여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토록 제어한다.
최근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이 이루어지고 통화가능한 상태가 되면 휴대전화기(1) 휴대자는 자신의 위급상황을 구두로 얘기하면 메인콘트롤러(3)에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4)를 통하여 위급상황이 수신자에게 고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수신자는 위급상황이 발생한 장소 등으로 신속하게 출동하게 되어 위급상황에 처한 휴대전화기(1) 휴대자를 구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1) 휴대자가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주위에 이를 신속하게 고지하여 위급상황으로부터 구조를 요청할 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호신용 휴대전화기(1)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위급상황 발생 시에 휴대전화기 휴대자는 별도로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2)만 작동시키면 최근 통화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구조요청을 행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구조요청이 가능하여 위급상황으로부터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휴대전화기(1)와 코드(7)로 연결되는 메인콘트롤러(3)와,
    상기 메인콘트롤러(3)에는 휴대전화기(1)에서 가장 최근 통화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별도 전원으로 구동되는 PCB(12)가 내장되어 별도 휴대가능한 리모트 콘트롤러(2)의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PCB(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릴레이스위치(13)를 회로설치하며,
    상기 메인콘트롤러(3)에는 휴대전화기(1)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4)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콘트롤러(3)에는 이너폰(9)을 연결할 수 있도록 출력잭(1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휴대전화기.
KR2020010030938U 2001-10-10 2001-10-10 호신용 휴대전화기 KR200258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38U KR200258803Y1 (ko) 2001-10-10 2001-10-10 호신용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38U KR200258803Y1 (ko) 2001-10-10 2001-10-10 호신용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803Y1 true KR200258803Y1 (ko) 2001-12-29

Family

ID=7311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938U KR200258803Y1 (ko) 2001-10-10 2001-10-10 호신용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8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455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US6792291B1 (en) Interface device for control of a cellular phone through voice commands
JPH07273843A (ja) 携帯無線機の着信通報方法及び通報装置
CA2427197A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enter apparatus for emergency calls
KR100274091B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위치 추적 보조장치
CN102833415A (zh) 通讯终端信息提示方法和便携终端配件、通讯终端及装置
JPH10215302A (ja) 携帯電話機
KR200258803Y1 (ko) 호신용 휴대전화기
AU6108000A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set-integrated emergency audible beacon
ES2282584T3 (es) Radiotelefono portatil y sistema de radiocomunicacion que comprende dicho radiotelefono.
JP2006217259A (ja) 携帯電話装置
JP2007043626A (ja) 携帯電話装置
JPH11150762A (ja) ハンズフリー移動通信システム
RU2004124014A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зова экстренной помощи, оперативной связи и подачи скрытого радиосигнала
KR200252843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및 핸즈프리와 한 조가된 운전대 부착 장치
KR200258275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KR200258286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장치
JP2004260540A (ja) 携帯電話装置
KR200262696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장치
CA2509435A1 (en) Penfone and locketfone
JP3691991B2 (ja) 無線通話装置
KR20010108607A (ko) 손목 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340080Y1 (ko) 헤드셋 무선 전화기
KR200249939Y1 (ko)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핸즈프리 장치
JPH0629240U (ja) ネックレス型コードレス電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