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357Y1 - 미생물 접촉메디아 - Google Patents

미생물 접촉메디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357Y1
KR200258357Y1 KR2020010029533U KR20010029533U KR200258357Y1 KR 200258357 Y1 KR200258357 Y1 KR 200258357Y1 KR 2020010029533 U KR2020010029533 U KR 2020010029533U KR 20010029533 U KR20010029533 U KR 20010029533U KR 200258357 Y1 KR200258357 Y1 KR 200258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present
microbial contact
contact media
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엔바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엔바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엔바이로
Priority to KR2020010029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357Y1/ko

Links

Landscapes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 폐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부착성장 미생물에 의한 생물막공법에 의한 오수 및 폐수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의 옆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그물 망 구조의 단위체 메디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생물 접촉메디아{A CONTACT MEDIA FOR MICROORGANISM}
본 고안은 미생물 접촉메디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부착성장 미생물에 의한 생물막공법에 의한 오수 및 폐수의 정화장치내에 사용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수 및 폐수에 존재하는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에는 활성슬러지공법과, 생물막공법이 있다.
상기 생물막공법은 부유성장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수 및 폐수를 처리하는 활성슬러지공법을 개량한 것으로 현재 그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는 바, 이러한 생물막공법은 여재(Media)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하여 그 처리효율을 얻게 된다.
따라서, 부착성장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공법에서는 미생물을 부착하는 기술에 따라 처리효율이 상이하게 되므로 미생물을 부착시킬 수 있는 접촉메디아의 역활이 굉장히 중요하다.
이에 따라, 오수 및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공법에 사용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가 최대의 처리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정한 조건들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정화조내에서 미생물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메디아는 가능한한 큰 비표면적을 가져야 한다.
둘째,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극이 커야 한다.
셋째, 어느 정도의 비중을 보유하고 있어 수면 위로 부상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시설의 개조없이 용이하게 추가 설치가 가능하여야 한다.
다섯째, 시설내의 물과 공기의 분배가 용이해야 한다.
여섯째, 생산된 슬러지의 처리가 용이해야 한다.
일곱째, 작동하중에 의한 기계적 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메디아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흡착작용으로 수질을 정화하는 미생물 접촉산화용으로만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며, 메디아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비표면적을 크게 하는 경우 공극율이 너무 작아져 통수를 방해하거나, 폐색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위면적당 미생물의 부착 비표면적을 크게 하여 유기오염물질과 미생물과의 접촉량을 높여 접촉산화작용을 효율적으로 함과 동시에, 공극을 크게 형성시켜 유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적게하여 통수를 원활하게 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가적으로 오수 및 폐수내의 부유물질의 여과 및 침전작용까지 겸할 수 있는 미생물 접촉메디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미생물 접촉메디아의 단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미생물 접촉메디아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미생물 접촉메디아를 복수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단위체 메디아
10 : 원통형 몸체
11 : 홀
20a,20b,20c,20d : 배플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생물 접촉메디아의 특징은,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의 옆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그물 망 구조의 단위체 메디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부면에 다수개의 배플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체 메디아를 복수개 적층결합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미생물 접촉메디아의 단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미생물 접촉메디아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미생물 접촉메디아를 복수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생물 접촉메디아는 사출성형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바, 먼저, 설계도에 의한 금형에 원재료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녹여서 부은 후, 내부와 표면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식히게 되면 미생물 접촉메디아가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미생물 접촉메디아는 양단부가 개방된 그물 망 구조의 원기둥 형상으로써, 그 구성은 크게 사각 또는 원통형 몸체(10)와, 배플(20a,20b,20c,20d)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몸체(10)는 양단부가 개방되고, 옆면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홀(11)이 형성되고, 상기 배플(20a,20b,20c,20d)은 상기 원통형 몸체(10)의 내부면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생물 접촉메디아는 50개로 결합되어 L500mm×W1000mm×H500mm의 기본 크기를 갖는 메디아군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메디아군은 비표면적이 100㎡/㎥∼200㎡/㎥ 정도로 커서 미생물이 충분히 부착성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원 고안은 본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정화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접촉메디아 단위체의 크기 및 갯수는 가감 조정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부착성장 미생물에 의해 폐수 및 오수를 생물학적 처리하는생물막공법에 사용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로써, 상기 미생물 접촉메디아의 원통형 몸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미생물 점막에 상기 오수 및 폐수 중의 유기물이 접촉하여 흡착되면 상기 미생물 점막으로부터 이산화탄소와 무기물질 등이 방출되는 원리에 의하여 오수 및 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미생물 접촉메디아는 상기 미생물 점막에 의해 유기물을 처리하는 생물학적 처리뿐만 아니라, 옆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동일한 크기의 홀(11)에 의하여 부유물질을 여과 및 침전시키는 물리화학적 처리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홀(11)에 의하여 생성된 공극은 유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자갈 및 모래를 메디아로 사용했을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폐색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생물 접촉메디아에 의하면, 비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유기오염물질의 접촉산화작용을 효율적으로 함과 동시에, 측면에 형성되는 동일한 크기의 홀에 의하여 오수 및 폐수내의 부유물질의 여과 및 침전작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홀에 의해 생성된 공극에 의해 통수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자갈 및 모래를 메디아로 사용했을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폐색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타메디아와는 달리 다양한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취급과 적용이 간편하며, BOD55∼20㎎/ℓ정도의 오염도가 그리 심하지 않은 하천의 정화부터 BOD5100∼200㎎/ℓ정도의 오염이 심한 폐수의 정화까지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메디아 연결 및 지지를 위한 장치가 필요 없으며, 상황에 따라 크기를 변형하여 제작이 가능함으로써, 설치에 소요되는 기간이 짧으며, 시설비용도 매우 작고 추가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크기의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처리시설의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10)의 옆면에 다수개의 홀(11)이 형성된 그물 망 구조의 단위체 메디아(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0)의 내부면에 다수개의 배플(20a,20b,20c,20d)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메디아(1)를 복수개 적층결합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접촉메디아.
KR2020010029533U 2001-09-25 2001-09-25 미생물 접촉메디아 KR200258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33U KR200258357Y1 (ko) 2001-09-25 2001-09-25 미생물 접촉메디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33U KR200258357Y1 (ko) 2001-09-25 2001-09-25 미생물 접촉메디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357Y1 true KR200258357Y1 (ko) 2001-12-29

Family

ID=7306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533U KR200258357Y1 (ko) 2001-09-25 2001-09-25 미생물 접촉메디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3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24A (ko) 2019-12-16 2021-06-24 진경 여성용 흘림 방지 채뇨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24A (ko) 2019-12-16 2021-06-24 진경 여성용 흘림 방지 채뇨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rma et al. Slow sand filtration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a review
CA2642327C (en) Filtration appliance for sewage treatment using ceramic-based membrane
US20080073268A1 (en) Use of a magnetic separator to biologically clean water
KR100477367B1 (ko) 세라믹을 이용한 오수 처리시스템 및 오수 정화방법
CA2199517C (en) Installation for biological water treatment for the production of drinkable water
KR100645952B1 (ko) 폐수 정화용 중공사막 여과 장치, 여과 모듈 및 그를 이용하는 물 또는 폐수 처리 방법
KR100443407B1 (ko) 미생물 접촉여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MX2008004820A (es) Sistema de filtro aireado sumergido y metodo que implica tratamientos especificos en etapas respectivas.
CN1931750B (zh) 石油化工污水回用处理工艺
KR200258357Y1 (ko) 미생물 접촉메디아
KR200328487Y1 (ko) 기능성 세라믹을 이용한 자연정화 시스템
KR200257303Y1 (ko)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JP4019209B2 (ja) 水の浄化システム
JPH09174094A (ja) 原水の処理方法
KR101124508B1 (ko) 분리막 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510975B1 (ko) 과립담체가 충전된 간헐폭기 공정을 이용한폐·하수고도처리방법
US20060266704A1 (en) Biological filtration module for use within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N217838602U (zh) 农村饮用水一体化集成设备
CN108793636A (zh) 一种节能环保的低废水净水装置
KR200279808Y1 (ko) 미생물 접촉여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JP2755507B2 (ja) 汚水処理装置
KR100471385B1 (ko) 펄라이트 부착 폴리에틸렌망 여재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여재를 이용한 오염 하천수 정화 장치 및 공법
JPH0138557B2 (ko)
KR960002429Y1 (ko) 오수 처리장치의 미생물 배양용 접촉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